신 건축법안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신 건축법안

0 개 2,782 NZ코리아포스트
이번 호에서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부가 지난 8월 12일 전국 뉴스를 통해 발표한 현행 건축 법규 수정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Maurice Williamson 건설부 장관은 8월 12일 현행 건축 법규인 Building Act 2004를 수정하여 현재 건설업계에 만연해 있는 불만을 해소하게 하고 건축의 허가에서 완공까지의 진행과정을 원활하게 해주며 기본적인 건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추진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건설업자들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을 더 갖게 함으로써 카운슬의 관료주의적이고 경직된 행정 처리를 줄임과 동시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허가 및 인스펙션과 관련된 비용을 과감하게 줄이는 방향을 모색 중이다.

Williamson 건설부 장관은 정부는 이러한 기본 안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 수정안은 건설업자들에게 “build it right first time” 즉 공사 초기부터 제대로 짓게끔 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건물의 품질과 안전에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에서 건축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많이 강조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신 건축법규에 포함되는 내용 새로 시행될 법규는 단계적으로 시행될 예정인데 주요 골자로 다음의 내용들을 포함할 예정이다.

- 설계 도면을 작성한 설계자와 그 시공을 담당한 건설업자에게 건축 법규를 준수할 의무를 갖게 하며 그 책임을 지게 할 것이다.

- 공사비 $20,000이 넘는 모든 공사에 대해서 공사 계획, 품질보증, 하자에 대한 보증수리, 만일의 분쟁 발생 시의 해결 방안 등을 의무적으로 계약서에 포함시키도록 할 것이다.

- 하자 보증수리에 관한 금전적인 보장이나 보험계약 등을 의무화 할 것이다.

또한 누수문제 혹은 기타 안전과 관련된 위험요소가 적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건축허가를 면제해 주거나 건축허가 절차를 단순화 시키고 공사 기간 중에 있는 일련의 인스펙션의 횟수도 대폭 줄일 예정이다. 즉 최고 20제곱 미터 크기의 현관, 베란다, car port, 독립적으로 지어지는 차고, 정부에서 지정한 자재와 공법으로 지어지는 단순 형태의 위험요소가 적은 주택의 경우, 내벽 공사, 최고 50제곱 미터 크기의 shade, 일부 retaining wall, 최고 높이 2.5미터의 펜스, 실내 바닥공사 등에 대해서는 수월하게 허가와 공사가 진행되게 법규를 바꾸어 나갈 예정이다.

예를 들어 별채로 지어지는 차고는 건축허가를 요구하지 않고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는 빌더가 지을 수 있게 하여 허가와 인스펙션 등의 행정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공사가 이루어지게 하는 반면 그 책임은 빌더에게 지우는 방법이다.

정부는 건축법규의 수정을 위해서 지난 해부터 전국적으로 각계 각층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였으며 약 380개 이상의 건의안을 받아들여 충분한 검토 후에 내린 결론이라고 했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건축법규의 개정안이 현재 건설업계에 만연해 있는 카운슬에 대한 불만과 불신, 허가와 공사기간에 대한 불필요한 지연과 그에 따른 비용, 하자보수에 대한 일관성 없는 해결방안 등의 수많은 문제에서 벗어나고 소비자들을 만족시켜주는 방향으로 진행이 되고 불황으로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는 건설 및 부동산 업계에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cladding (Ⅱ)

댓글 0 | 조회 1,922 | 2012.06.27
지난 주에 이어서 recladding의 절차에 대해서 알아 보겠다. 지난 기사가 게재된 후에 공사 비용에 대한 많은 문의를 받았는데 소요될 자재의 양과 인건비 그… 더보기

Re-cladding (Ⅰ)

댓글 0 | 조회 1,895 | 2012.06.13
최근 누수주택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된 이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강구되고 실행에 옮기는 단계가 되자 주택의 Re-cladding에 관한 문의… 더보기

플라스터 집은 나쁜 집? (Ⅱ)

댓글 0 | 조회 6,785 | 2012.05.23
지난 호에 이어서 플라스터 집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보겠다. ▶ Treated Timber 대규모의 주택 개발에서 수분에 강한 화학처리가 되지 않은 목재를 집을 … 더보기

플라스터 집은 나쁜 집? (Ⅰ)

댓글 0 | 조회 7,577 | 2012.05.08
외장을 플라스터로 마감한 집은 사도 되는 집인지 아니면 절대로 사서는 안 되는 집인지에 대한 의문은 최근 대두된 누수 문제가 시발점이 되었다. 이후 플라스터 집에… 더보기

최근 주택시장의 특징과 향방

댓글 0 | 조회 2,273 | 2012.04.24
최근 TV뉴스나 신문의 1면을 장식하며 연일 보도되고 있는 내용이다. 몇 년 전 미국 발 금융위기로 인하여 전세계 경제가 암울한 분위기에 빠진 이후로 반가운 소식… 더보기

Value of sections

댓글 0 | 조회 1,752 | 2012.04.12
이 곳 뉴질랜드에서도 땅이나 집이 가장 가치 있는 재산이 되어 있고 인구의 증가로 말미암아 점점 집을 지을 수 있는 땅이 희소가치마저 갖게 된 오늘날 많은 사람들… 더보기

섹션 고르기 (Ⅱ)

댓글 0 | 조회 1,885 | 2012.03.27
지난 호에 이어서 섹션 고를 때의 주의 사항을 알아본다. 4. 이웃주민들은 주로 어떤 사람들인지 확인한다. 애완동물들을 많이 키워서 소음이 지장을 주는 경우도 있… 더보기

섹션 고르기 (Ⅰ)

댓글 0 | 조회 2,082 | 2012.03.14
최근 신규 주택의 공급이 모자라는 상황에서 섹션 투자 및 섹션 구입 후 집을 지으려고 하는 사람들의 문의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섹션을 고를 때 주의해야 할… 더보기

Granny Flat

댓글 0 | 조회 2,691 | 2012.02.29
‘Granny Flat’이 단어를 말 그대로 해석하면 할머니가 사는 작은 집이라 할 수 있다. 실제는 주택의 한 켠에 방 한 두 개와 작은 … 더보기

부동산 2012

댓글 0 | 조회 2,331 | 2012.02.14
긴 여름 휴가와 Auckland Anniversary와 Waitangi Day 등의 연휴도 지나갔고 이제는 모든 사람들이 일상으로 돌아온 것 같다. 2012년은 … 더보기

옥션으로 집 구입하기 (Ⅱ)

댓글 0 | 조회 6,006 | 2012.02.01
지난 호에서는 auction에서 집 사기에 관한 tip 중에서 첫째로 구입하고자 하는 주택의 시장 가치를 잘 파악하고 나의 예산이 얼마인지를 정해야만이 안전한 예… 더보기

옥션으로 집 구입하기 (Ⅰ)

댓글 0 | 조회 2,324 | 2012.01.18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 한 해 모든 교민 가정에 만복이 가득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지난 해의 마지막 기사에서 auction으로 집을 파는 방법에 관해서 알아… 더보기

옥션으로 집 팔기 (Ⅱ)

댓글 0 | 조회 2,631 | 2011.12.24
지난 호에서 알아 본 auction은 단순히 경매 현장(under the hammer)에서만 부동산을 매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3단계에 걸쳐… 더보기

GOING, GOING, GONE!

댓글 0 | 조회 1,956 | 2011.12.13
부동산 매매에서 가장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마케팅 방법으로 auction에 의한 매매 방법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채권 회수를 위한 방법으로 법원이 채… 더보기

LIM 리포트 (Ⅱ)

댓글 0 | 조회 2,348 | 2011.11.22
지난 주에 이어서 LIM (Land Information Memorandum) report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에 관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겠다. 지난 주에 알… 더보기

LIM 리포트

댓글 0 | 조회 2,636 | 2011.11.08
거의 모든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필수적으로 붙는 특별조항의 하나가 LIM 조건이다. Land Information Memorandum이라고 불리는 LIM은 간단히… 더보기

빌더스 인스펙션의 허와 실

댓글 0 | 조회 2,532 | 2011.10.26
주택 매매를 할 때에 계약이 체결된 후에 취소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로 최근에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 더보기

전원일기 (Ⅲ)

댓글 0 | 조회 2,383 | 2011.10.12
5. 양의 관리또한 양에 대한 관리도 필수적이다. 가지고 있는 땅의 넓이에 따라 적당한 수의 양을 키우는데 양이 풀을 뜯어 먹어 주기 때문에 전체 땅에 잔디를 깎… 더보기

전원일기 (Ⅱ)

댓글 0 | 조회 2,346 | 2011.09.28
지난 호에 이어서 전원주택 구입시 자세히 확인하여야 할 사항과 전원주택에서 살게 될 때 실제 생활에서 부딪히게 될 여러 가지 일과 주의점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 더보기

전원일기 (Ⅰ)

댓글 0 | 조회 2,448 | 2011.09.14
대부분 고층 아파트가 주를 이루는 도시에서 살아왔던 우리 교민들에게 뉴질랜드의 단독주택은 전원일기를 보면서 느꼈던 전원주택에 대한 동경을 어느 정도 만족시켜 준다… 더보기

돈 되는 집 (Ⅰ)

댓글 0 | 조회 4,563 | 2011.08.24
이번 호에서는 돈 되는 집 즉 투자가치가 있는 집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다. 특별히 투자용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현재 살고 있는 집 혹은 단순 주거용 주… 더보기

겨울철 부동산 전략 (Ⅱ)

댓글 0 | 조회 2,520 | 2011.08.09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서는 집이 팔리는 과정 중의 마지막 단계로 광고나 집의 외관을 통해 관심을 갖게 된 고객이 집안을 살펴 보고자 하는 3차 매도 단계로 … 더보기

집을 팔기 위한 준비 (Ⅰ)

댓글 0 | 조회 2,510 | 2011.07.26
매년 이맘때쯤 되면 춥고 비가 많이 온다. 이러한 계절적 요인 때문에 겨울철에는 경기까지 위축이 되어 전통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한파가 분다. 그러나 그렇다고 집을… 더보기

Under the floor (Ⅱ)

댓글 0 | 조회 2,081 | 2011.07.13
지난 호에 이어서 마루 바닥의 공간을 관리하는 요령을 알아 보겠다.2. 단열재 집의 바닥에는 보통 perforated aluminium foil 로 단열공사가 되… 더보기

Under the floor (Ⅰ)

댓글 0 | 조회 2,331 | 2011.06.29
대부분 방갈로나 빌라 스타일의 집과 그리고 스타일은 다르나 지어진 지가 오래된 집들 중에는 집의 기초가 콘크리트로 되어 있지 않고 집을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