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 뿐인 인생, 두 세상 살아가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한 번 뿐인 인생, 두 세상 살아가기

0 개 789 한일수

947d65dbdf7339b0205474ee4360fc0f_1736902112_0476.jpg
 

지나간 과거는 두 번 다시 찾아오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언젠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다. 우리는 지나간 과거를 후회해도 소용없고 지나간 과거에 사로잡혀 미래로 향하는 길목이 닫혀서도 안 된다. 잘 된 과거든 잘 못된 과거든 그것을 거울삼아 미래로 향하는 방향을 올바로 설정해서 차근차근 앞으로 나아갈 때 한 번 뿐인 인생을 최적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최적화란 의사결정을 내리는 주체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상태를 만들기 위해 해결 방안 중 가장 바람직한 것을 찾아가는 것(Optimization)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오늘날 경영, 행정 분야, 인공 지능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이론이다. 


인생의 주체는 자기 자신이다. 물론 유아기 까지는 부모나 다른 보호자가 주체를 대신해주기도 하겠지만 자의식이 발달되는 청소년기부터는 자기 자신이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자기 인생의 진로를 어떠한 의도로 어떤 방향으로 설정해야할 것인지를 스스로 결정해야할 일이다. 자기 인생의 주체는 자기 자신이며 부모의 것도 아닐뿐더러 국가나 사회의 것도 아니다. 한 번 뿐인 인생을 한 세상에서 일관되게 살아갈 것인가, 아니면 여러 세상에서 다양한 삶을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서도 각자 인생의 주체가 알아서 판단할 일이다. 물론 최적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자신이 충분한 검토를 하고 가족이나 사회적 선배, 스승, 전문가 그룹들과 상담해서 결정해야 될 것이다. 


해외 이민은 확연히 다른 두 세상을 살아가는 과정이다. 우리는 한반도에서 태어나 삶의 기반을 형성해오다가 어린 자녀들을 데리고 남반구의 끝자락에 있는 뉴질랜드로의 이민을 결행한 이민 1세대들이다. 모든 것이 반대로 돌아가는 생활환경에서 한국에서와 완전히 다른 세상으로 편입되어 제2의 삶을 개척해나가야 하는 처지에 봉착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제2의 삶을 결정한 것도 자기 자신이요, 새로운 삶을 어떻게 개척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주체도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누구를 원망하거나 비난 할 수도 없는 처지이다. 


최적화된 인생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행동지침으로 3C 강령이 있다. 3C란 변화(Change)를 수용하고 변화에 대한 도전(Challenge)을 감행하며 창조성(Creative)을 발휘하는 자세이다. 이는 이민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도 딱 맞는 강령이다. 동일한 패턴을 반복하는 삶에서 안일을 추구할 수는 있을지라도 그것이 삶의 질을 높여 주지는 못할 것이다. 인생에는 변화가 있어야 삶의 활력이 생길 수 있다. 한반도에서 태어나 한반도 밖으로는 한 발자국도 내딛지 못한 생활에서 기존 기득권을 완전히 포기하고 완전히 새로 시작하는 뉴질랜드에서의 변화된 환경에 부딪히게 된 것이다. 뉴질랜드는 모든 것이 한국과 반대로 흘러간다. 계절이 반대이고 기후도 다르며 인종이나 언어도 다를 뿐더러 생활양식도 다르다. 심지어는 차량 운전 방향도 반대이고 지구가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지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는지도 헷갈릴 정도로 태양의 궤도가 정 반대이다. 남쪽을 바라보고 왼편에서 뜨던 태양이 북쪽을 바라보고 오른편에서 떠서 왼편으로 지고 있다. 


돛단배는 돛을 활용하여 바람의 힘을 이용해 앞으로 나아가는 배이다. 그런데 바람의 방향이 역풍(逆風)이거나 옆에서 부는 바람일 경우 난관에 부딪히고 만다. 그러나 바람의 방향이 달라지더라도 돛의 방향을 조절하여 전진하는 방법으로 목적지를 향한 항해를 계속하게 된다. 변화된 환경에서는 거기에 대응하는 도전 정신이 필요하다. 도전을 두려워 할 것이 아니라 도전을 통해 새로운 결과물을 도출해내는데서 삶의 즐거움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의욕도 떨어지고 따라서 활동력이 떨어져 간다면 삶은 더욱더 황폐해질 것이다. 자기의 주변 환경에 맞추어 가장 적합한 분야에서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보는 것이다. 교민 사회에도 도전해볼 수 있는 여러 분야가 있고 동호회 조직도 잘 조성되어 있어 본인이 마음먹기에 따라서는 얼마든지 참여할 기회가 널려 있다. 스포츠/체력 단련 분야, 미술 부문에서 여러 분야, 음악 부문의 여러 분야 등에서 목표를 설정해 생활을 창조해나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창단 된지 2년여에 불과한 ‘오클랜드 한인 합창단’의 경우는 교민사회나 현지인들 사회에서 신선한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그 동안 수차례의  발표회를 가졌으며 한인합창단 최초로 Voco(Voice Community Concert New Zealand) 무대에 초청되어 세계 각국에서 온 12개 팀과 함께 열린 콘서트에서 열띤 반응을 보였다. 또한 오클랜드 박물관, 브리토마트 역에서 공개로 열린 콘서트는 한국의 음악이 뉴질랜드의 일반 대중에게 깊이 파고드는 계기가 된 뜻깊은 행사이었다. 특히 2024년에 이건환 지휘자의 작사, 작곡으로 새로 발표된 ‘뉴질랜드 아리랑’은 우리 한인이 뉴질랜드 사회에서 자랑스러운 업적으로 평가할만하다. 한민족의 전통 민요인 ‘아리랑’이 뉴질랜드의 토양에서 한민족의 정서가 깃 들인 ‘뉴질랜드 아리랑’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더 나아가 2025년 신곡으로 지휘자께서는 마오리의 정서가 함축된 곡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기대가 된다.        

  

947d65dbdf7339b0205474ee4360fc0f_1736902166_5898.jpg
           

“행복이란 영혼에 맞게 진리를 추구하는 인간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자신이 가장 잘하고 좋아할 수 있는 것을 즐겁고 신나게 하는 것이다”라고 아리스토텔레스는 2350여 년 전에 말했다. 인생이라는 무대에서 펼쳐지는 연극의 구경꾼으로 사느냐 아니면 주인공으로 사느냐의 문제이다. 세상에는 인구 수 만큼 각기 다른 삶이 펼쳐지고 있다. 구경꾼은 아무 노력 없이도 연극이나 영화, 스포츠 경기 들을 보며 즐길 수는 있다. 그러나 자기 자신이 성취감이나 생의 보람을 느낄 수는 없다. 그런데 행복은 가치 있는 일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고 거기에서 진정한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삶의 과정에서 새로운 분야를 발견하고 노력하여 창조물을 생산해내는 기쁨을 맛볼 때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자기의 재능이나 기능을 베풀어서 다른 사람한테 나누어 줄 때 그 상대방이 기쁨을 누리고 즐거워할 수 있다면 그러한 창조적 행위에서 본인 자신도 행복감을 느끼게 될 것이고 더욱 아름다운 세상이 전개될 것이다.     


이민 초창기에 만나본 키위들이 “당신 은퇴자냐? 아니면 지금 무슨 일을 하고 있느냐?”라고 질문을 하는데 처음 온 우리들로서는 기(氣)가 죽는 질문이었다. 한국에서 고생 할 만큼 했고 어느 정도 생활 대책을 마련하고 이 나라에 왔으며 직업은 순차적으로 탐색하려는 참이었다. 젊은이들의 경우 생활 기반이 취약할 수밖에 없고 취업전선에 뛰어들기 위해서 준비 기간도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기의 주관이 뚜렷하면 어떤 상황에서도 주눅이 들지 않고 당당해질 수 있는 법이다. 이민 사회에 진입한 우리에게 은퇴(retire)는 없다. 우리는 뉴질랜드에서 제2의 인생을 새로 출발하기 위해 타이어를 교환(replaced tires for new driving)한 것이다. 

‘수퍼 센티네리언’에 도전

댓글 0 | 조회 445 | 2025.02.07
인간의 수명을 성경(Bible)적 차원에서 보면, 구약성서 창세기(Genesis)에는 아담(Adam)이 930세, 셋(912세), 에노스(905세), 게난(910… 더보기

푸른 뱀의 해

댓글 0 | 조회 281 | 2025.02.03
2025 설날 福 많이 받으세요. 오늘(1월 29일 수요일)은 음력(陰曆, 太陰曆, Lunar calendar) 정월(正月) 초하루 ‘설날’이다. 4주전 수요일은… 더보기

뉴질랜드 민사소송의 국선 (civil legal aid) 제도

댓글 0 | 조회 631 | 2025.01.29
뉴질랜드는 법률과 법의 원칙이 확립된 여느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국선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재정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변호사 수임을 직접 할 수 없는 사람들… 더보기

이 넉넉한 쓸쓸함

댓글 0 | 조회 599 | 2025.01.29
시인 이 병률우리가 살아 있는 세계는우리가 살아가야 할 세계와 다를 테니그때는 사랑이 많은 사람이 되어 만나자무심함을단순함을오래 바라보는 사람이 되어 만나자저녁빛… 더보기

오늘의 웃음, 내일의 매화

댓글 0 | 조회 177 | 2025.01.29
줌머인 난민신청자 라트나·자나크 씨의 아주 특별한 증심사 템플스테이두 남자가 웃었다. 활짝 창문을 열고 온 마음을 열어 웃는웃음은 증심사 대웅전 계단에 드리운 새… 더보기

남대문 시장을 추억하다

댓글 0 | 조회 393 | 2025.01.29
최근에 어느 유튜버가 올린 남대문 시장 영상을 보게 되었다.그 것을 마주하는 순간 갑자기 정신이 번쩍 들었다. 고향집 소식을 접한것처럼 반가웠다.남대문 시장은 그… 더보기

심장 그리고 에너지

댓글 0 | 조회 301 | 2025.01.29
얼마전 저명한 이론 물리학자인 션 캐럴은 인간의 심장이 박동할 수 있는 횟수가 30억번으로 늘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아니.. 이론물리학자가 뜬금없이 심장… 더보기

설날 떡국

댓글 0 | 조회 364 | 2025.01.29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빨간 다라이에 불린 쌀머리에 인 어머니 따라줄 서서 기다리던설날 다가오는 삼거리방앗간문 밖 추운 데로 새어나가하늘로 흩어지던가래 떡 하얀 김… 더보기

2025년에 파트너쉽 비자 받기

댓글 0 | 조회 1,189 | 2025.01.28
배우자 또는 파트너와의 사실혼(파트너쉽)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영주권 또는 비영주권 비자를 신청하게 되는 파트너쉽 비자. 해가 바뀌면 이민법에도 여러가지 변화가 … 더보기

2025년, 물 품질 개선을 위한 뉴질랜드 배관 규정 변화 이해하기

댓글 0 | 조회 600 | 2025.01.28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니다. 최근 뉴질랜드에서는 소비자의 건강과 물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배관 및 배수 규정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 더보기

코로만델 타운

댓글 0 | 조회 540 | 2025.01.28
코로만델 타운은 템즈에서 불과 50km 떨어진 곳인 데도 완전 변방이다.바다건너 오클랜드가 멀찍이 보여 지척인 데도 가는 길이 돌고 돌아 200km가 넘으니 그럴… 더보기

특정 직원에 대한 특별대우

댓글 0 | 조회 607 | 2025.01.28
뉴질랜드에서 고용주가 특별한 범주에 속해 있는 피고용인들을 차별적으로 대우한다면 피고용인들이 고용주를 고소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고용주가 인권법… 더보기

NCEA 성적 발표 및 2025 의대 약대 합격 특징 분석

댓글 0 | 조회 527 | 2025.01.28
▲ Pixabay free 이미지지난주는 뉴질랜드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의 NCEA 성적발표가 있던 날이다. 그동안 1년간 열심히 공부해 온 학생들의 최종 결과… 더보기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댓글 0 | 조회 506 | 2025.01.28
명상을 하면 병의 증세가 어느 정도까지는 계속 나타납니다. 몸 안의 병인(病因)이 다 나와야 낫습니다.병의 진전이 30-40%, 50% 미만일 때는 한번 명상으로… 더보기

피부암(皮膚癌)

댓글 0 | 조회 628 | 2025.01.24
▲ 지미 카터(Jimmy Carter)지미 카터(Jimmy Carter) 미국 제38대 대통령의 국가장례식(國葬, State Funeral Service)이 미국… 더보기
Now

현재 한 번 뿐인 인생, 두 세상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790 | 2025.01.15
지나간 과거는 두 번 다시 찾아오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언젠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다. 우리는 지나간 과거를 후회해도 소용없고 지나간 과거에 사… 더보기

Be brave to become a Brad

댓글 0 | 조회 341 | 2025.01.15
영어권 국가들의 이름들은 주로 그 사람의 직업에서 기인하거나 신체조건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 등장했던 최초의 외국인인 Baker… 더보기

우리 아이 의대 합격 가능할까요?

댓글 0 | 조회 1,155 | 2025.01.15
뉴질랜드에서 유학 컨설팅을 진행하면서 의대 치대 약대 등 의약 계열 전공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게 늘고 있는 현실을 많이 느끼고 있는 요즈음이다. 몇 년째 언론에… 더보기

고용관계의 첫단추 – 고용계약서

댓글 0 | 조회 431 | 2025.01.15
이번 칼럼은 뉴질랜드 한인사회에서 흔히 일어나는 예시로 시작해보겠습니다.A라는 사람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코포에서 구인글을 검색해서 지원서도 놓고, 또한 … 더보기

새해

댓글 0 | 조회 156 | 2025.01.15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신선한 각오 품고맞아야 한다는 생각더 이상하지 않습니다매양 새해 다짐을 했지만변변한 것 없이여기까지 왔습니다그저 한 번씩어려움 견디고 가다 … 더보기

자력으로 고치는 방법, 타력으로 고치는 방법

댓글 0 | 조회 293 | 2025.01.15
병을 이기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자력으로 고치는 방법과 타력으로 고치는 방법입니다.첫 번째로 자력(自力)으로 고치는 방법은, 명상으로 마음을 가라앉히고 파장… 더보기

정신 건강의 면역력, 행복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155 | 2025.01.14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새해 결심을 연말까지 성공적으로 지키는 비율은 단 8%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새해 목표를 세우는 이유는 더 나은 삶, 더… 더보기

박달나무에 상처를 숨긴 푸른 영혼의 숲

댓글 0 | 조회 120 | 2025.01.14
오대산 월정사 전나무숲사찰과 숲, 그 특별한 관계우리나라의 걷기 좋은 숲 중에서도 가장 평온하고 아름다운 숲을 꼽으라면 단연 월정사 전나무 숲길이다. 수평의 산책… 더보기

3월부터 달라지는 고용주인증 워크비자(AEWV) 이민법

댓글 0 | 조회 1,679 | 2025.01.14
몇 개월간의 이민칼럼 휴지기를 마치고 올해부터 재개할 예정인 저는 뉴질랜드 공인 정동희 이민법무사(면허번호 200800757)입니다. 1998년부터 이민컨설팅 업… 더보기

코로만델 가는 길

댓글 0 | 조회 452 | 2025.01.14
25번 도로는 템즈의 외곽을 스치며 코로만델로 이어지고 있다.서쪽으로는 간이역만한 기차역이 있어 소금창고처럼 황량하며 이국적이다.목수가 직업인 내 친구 마크가 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