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재활 간병인, 육아 및 교통비 보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사회적 재활 간병인, 육아 및 교통비 보조

0 개 2,822 코리아포스트
다치게 되면 ACC에서는 종종 치료 및 주당 보상을 제공하지만, ACC는 이 이상의 다양한 도움을 제공한다.

부상을 당하게 되어 자신을 돌볼 수도 없고, 혹은 자녀를 돌볼 수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되면, ACC에서는 누군가 집을 방문해서 가족을 돌보도록 도움을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집에서 제공되는 도움

사고 전에 매일 일상적으로 하던 일에 대한 도움을 제공한다. 즉, 집안을 정돈하거나, 빨래를 하거나 혹은 식사를 준비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또, 자녀를 돌보는 일에 도움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를 '사회적 재활(social rehabilitation)'이라고 부르는데, '직업 재활'과 구분해서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의미이다.

청구인이 필요로 하는 도움을 지원하기 위해 ACC는 전문 평가인을 집에 보내 그 필요를 살피게 되고, 가장 적절한 사람을 찾아서 계약을 하게 된다. ACC는 이런 가정의 도움을 통해 '사회적 재활'을 제공하는 회사들을 확보하여 계약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가인이나, ACC 컨택트 센타(0800 101 996), 또는 지역 ACC분점에서 이런 계약 회사들의 명단을 얻을 수 있다.

육아

청구인이 회복하는 동안 ACC에서는 육아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는데, 배우자가 사고로 사망한 경우에도 육아를 도와줄 수 있다. 특히, 이런 상황에서는 육아에 대한 지원이 5년까지 지속되기도 하고, 혹은 가장 어린 자녀가 학교를 갈 때까지 지원되기도 한다.

이런 육아에 대한 지원은 부모가 사고로 사망해서 어린이가 받게 되는 다른 종류의 지원, 예를 들면 일정 퍼센트의 부모 임금 같은 것과는 별도로 지급되는 것이다.

독립적으로 다닐 수 있도록 교통편 제공

부상으로 인해 교통편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는 ACC에서 상황에 따라 대중 교통 수단이나 개인 교통 수단을 지원해 줄 수 있다. 모든 교통 비용은 미리 지급해 주지 않고, 나중에 영수증을 통해 청구를 해서 받게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다른 한 가지는 어느 곳을 갈 예정이 있으면, 사전에 ACC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교통 편의가 제공되는 상황

그러나 이런 교통편의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 한해서 적용된다.

• 치료를 위한 방문
• 재활을 위한 평가나 추가 평가를 위한 방문
• 보조 장구나 장비를 맞추기 위한 방문
• 독립적인 생활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 승인을 받은 병원내 재활 치료, 혹은 집에서의 재활 적응 훈련(병원에서 자신의 집으로 가서 받게 되는 재활 치료) 혹은 외래 재활 치료
• 승인된 직업 재활 서비스 혹은 재활 코스나 프로그램
• 다치기 전 다녔던 직장에 계속 가기 위한 경우

ACC의 다양한 혜택을 위해서는 무료 전화 0800 101 996에 전화해서 문의 및 신청

사고 후에 ACC에서 어떻게 도움을 제공하는 지를 알기 원하는 경우, 0800 101 996 번호로 전화하거나 웹사이트 www.acc.co.nz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례 1

매트씨의 경우에 정원 청소 중 무릎에 부상을 당했다. 매주 두 번씩 물리 치료를 받으러 가야 했는데 차를 몰을 수 없을 정도였기 때문에 ACC에서 교통편으로 택시를 지원해 주었다. 그러나 무릎이 계속 회복이 안되어서 정밀 검사 및 전문의의 진찰을 더 받았고, 무릎 인대 파열로 최종 진단 되었다. ACC에서 교통비 이외에 MRI 검사비, 수술비, 그리고 제반 병원 비용 및 80%의 주당 보상을 지원해 주었다. 그 이외에도 퇴원 후 집안 일을 할 수 없는 동안, ACC에서 간병인 및 파출부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서 어렵지 않게 생활을 해 나갈 수 있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영업자의 ACC 세금 보다 개선된 옵션

댓글 0 | 조회 3,260 | 2009.05.27
ACC CoverPlus Extra를 선택하면 더욱 안심할 수 있습니다. 상해를 입어 일을 할 수 없게 될 경우 그 상해가 직장 일과 관계가 있든 없든 가입 시 … 더보기

친척이나 친구가 뉴질랜드 방문 중 다치게 되면

댓글 0 | 조회 3,245 | 2009.05.13
ACC에서는 모든 뉴질랜드인들과 뉴질랜드를 방문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부상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고 있다. 만약 가족이나 친구가 뉴질랜드에 와서 머물다가 사고를 당하… 더보기

해외 여행 중 상해, 귀국 후 지원

댓글 0 | 조회 3,164 | 2009.04.28
해외에 나갔다가 상해를 당하게 되면, 여행 그 자체는 말할 것도 없이 황폐해지고, 귀국할 일 마저도 까마득하게 된다. 그러나 귀국하게 되면 ACC로부터 후속 치료… 더보기

사고 사망시 유가족 지원

댓글 0 | 조회 3,899 | 2009.04.15
누군가 사랑하던 사람이 갑자기 사고를 당해 사망했다는 전화를 받게 되면 매우 슬픈 일이며, 유가족들은 말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나, 뉴질랜드에서는 … 더보기

심한 부상을 당한 분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댓글 0 | 조회 2,807 | 2009.03.24
심한 부상이란?매년 뉴질랜드에서 사고로 부상 당하는 사람들 중에서 심각한 부상을 당해서 영구적인 장애를 남기게 되거나 신체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도 있다. ACC에… 더보기

현재 사회적 재활 간병인, 육아 및 교통비 보조

댓글 0 | 조회 2,823 | 2009.03.10
다치게 되면 ACC에서는 종종 치료 및 주당 보상을 제공하지만, ACC는 이 이상의 다양한 도움을 제공한다.부상을 당하게 되어 자신을 돌볼 수도 없고, 혹은 자녀… 더보기

주당 보상 및 ACC 세금

댓글 0 | 조회 3,028 | 2009.02.25
신고된 소득을 기초로 지급되는 주당 보상ACC의 여러 가지 혜택 중에서 '주당 보상'은 일하면서 수입이 있는 사람이 부상을 당해 일을 할 수 없을 때 신고된 소득… 더보기

신체 및 직업 재활 지원

댓글 0 | 조회 2,671 | 2009.02.10
ACC는 부상당한 사람이 다시 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사고의 결과로 신체 부상을 당한 경우, 부상이 직장에서 일어났건, 집에서 일어났건, ACC는 가능한… 더보기

전문의 진료, 수술 및 여러 가지 치료 지원

댓글 0 | 조회 3,039 | 2009.01.29
ACC 접수-치료를 받게 되면 의료인이 해주게 된다. 다치게 되면, 제일 먼저 해야 할 것은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받는 것이다. 더 나아지겠지 하고 기다리지 않… 더보기

ACC 대표전화 0800 101 996 이용 방법

댓글 0 | 조회 2,724 | 2009.01.13
0800 101 996 번호는 ACC의 모든 곳으로 통하는 관문이다. 이 번호로 전화하게 되면, 해밀턴이나 더니든 전화 본부에 상주하는 100여명의 전화 상담원(… 더보기

케이스 코디네이터, 케이스 메니저 진단서

댓글 0 | 조회 2,705 | 2008.12.23
3개월 내의 단기간의 부상을 담당하는 케이스 코디네이터사고를 당한 경우 사고보상공사(ACC)의 주된 연락자가 정해 지는데 이들이 케이스 코디네이터와 케이스 매니저… 더보기

ACC 접수 방법

댓글 0 | 조회 4,375 | 2008.12.10
ACC 접수: 의사, 물리 치료사, 카이로프락터, 치과 의사를 통해 다치게 되면 첫째로 할 일은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받는 것이다. 좀 나아지겠지 하고 기다리다… 더보기

ACC(사고 보상 공사) 제도와 아시아 전략

댓글 0 | 조회 3,030 | 2008.12.10
ACC 역사4개월 전 청소일을 하다가 사다리에서 떨어져 다리를 다치면서 앞이 캄캄해진 김 선생님. 설마 이런 일이 자신에게 일어나리라고는 생각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보기

nouveau riche

댓글 0 | 조회 3,520 | 2010.12.07
오늘은 재미있는 표현을 다뤄보려하는데요, 봐도 봐도, 뜻은 커녕 읽은 법도 모르겠고, 아니, 이게 영어인지 도대체 어느 나라 말인지 조차 모르겠는 그런 말인 것 … 더보기

Like what?

댓글 0 | 조회 2,983 | 2010.11.23
오늘은 이디엄이랄껀 없지만, 한국 사람들이 그 사용에 있어서 많은 실수를 범하는 부분을 짚으려 합니다. 우선, 오늘의 like what은 귀에 많이 익었을 꺼예요… 더보기

I have done / I am done

댓글 0 | 조회 10,437 | 2010.11.10
오늘 다루게 될 표현은 have에 동사의 완료형을 붙인 현재완료입니다. 현재완료라는 문법은 일반 과거와 그 해석이나 쓰임이 매우 비슷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표현… 더보기

Couldn’t be better

댓글 0 | 조회 3,403 | 2010.10.27
우선 조동사에 대해 조금 살펴 보면, 助 (도와줄 조)가 나타내듯, 문장 속에서 동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으로 Will (할것이다), Can (할수 … 더보기

It could have been worse

댓글 0 | 조회 3,875 | 2010.10.12
조금 길어 보이긴 하지만 매우 많이 쓰이는, 입에 익히기만하면 하면 아주 유용하게 쓰일수 있는 표현입니다.조금 줄여서 It could’ve been worse 라… 더보기

Word of mouth

댓글 0 | 조회 3,192 | 2010.09.29
오늘은 예문으로 먼저 시작하겠습니다. A: 야, 너 그거 어디서 들었어? B: 그냥 들은 얘기야. 라고 할껀데.. A의 말은 어떻게라도 대충 영작할 수 있는 수준… 더보기

From scratch

댓글 0 | 조회 3,284 | 2010.09.15
이 말의 뜻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의 반응은 “음.. 잘 모르겠지만, 일단 나쁜 뜻일 것 같아..” 하곤 합니다. 사실, 저도 그랬었구요. 아마 Scrat… 더보기

Gone for the day

댓글 0 | 조회 3,594 | 2010.09.02
오늘은, 그 뜻을 표현하려면 뭐 다른 방법도 많긴 하지만, 아주 “영어스러운” 느낌을 내는 그런 표현 하나를 배워 보려고 합니다. 먼저 문제 하나를 내볼께요. 자… 더보기

오늘의 이디엄 : Through

댓글 0 | 조회 3,319 | 2010.08.11
오늘은 간단하고 쉽지만 아주 많~이 쓰이는 말인데요, 단어의 뜻이 딱 떨어지는 명사나 동사 혹은 형용사가 아닌, “전치사” 하나입니다. 전치사는 한국말에 없는 문… 더보기

Bug me

댓글 0 | 조회 3,071 | 2010.07.27
오늘도 재미있는 표현 하나 배워볼께요. Bug는 아주 많이 알고 계시는 명사, 뜻은 “벌레”입니다. 그런데 오늘 쓰임을 보니, me와 함께 쓰여 있어서 “벌레”라… 더보기

bits and pieces

댓글 0 | 조회 2,751 | 2010.07.14
먼저 몇번 읽어볼까요? 발음은, 비츠 앤드 피이시스, 빨리 읽어보겠습니다. “빗짼 피이시스” 몇번 소리내서 읽어보시면 금방 입에 붙는 것을 알수 있으실 꺼예요. … 더보기

You deserve it

댓글 0 | 조회 4,165 | 2010.06.23
예전에 다뤘었던 spoil이 좋은 뜻과 나쁜 뜻 둘 다에 쓸수 있었던 말이라면 오늘의 이디엄 또한 아주 좋거나 나쁜 뜻을 동시에 나타낼수 있으니 알고 있으면 편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