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로 멍드는 지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쓰레기로 멍드는 지구

0 개 2,998 한일수
“인간은 지구에 세 들어 사는 존재이지 그 주인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100년도 못되는 기간 동안에 온갖 형태로 지구를 더럽히고 있다.

이곳 뉴질랜드에 이주해 와 살면서 새롭게 느낀 점은 집을 세 들어 살고 나갈 때 본래의 모습 그대로 주인에게 인계해주고 떠나는 모습이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세 들어 살고 있는 이 지구도 원래의 모습대로를 유지하면서 살다가 후손들한테 물려주어야할 것이다.

동양의 종교에서 예로부터 가르치고 있는 것도 자기의 주위를 둘러싼 세계와의 조화를 도모해야 진리에 도달할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다른 자연과 일체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서양의 신학자들도 자연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봉사하는 일을 인간의 역할로 제시하였다. 헨리 버네트는 그의 저서『교회 및 생태학적 위기』에서 “성서에 있어서의 인간의 역할은 지상(地上)이라는 가정의 심부름꾼, 보호자, 관리인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면에서 언급할 수 있지만 우선 가장 우리 생활 주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쓰레기를 예로 들어보고자 한다.

교민으로 구성된 공원 봉사팀에서는 노스쇼어 시청과 협조하여 노스쇼어 일대의 공원지역을 순회하며 쓰레기 수거 작업을 해오고 있다. 매번 느끼는 점이지만 뉴질랜드가 인구밀도가 낮아서 환경이 깨끗한 편이지 일인당 쓰레기로 인한 환경 공해 조성은 결코 모범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동네 주변이나 길가에 아무렇게나 버려져 있는 휴지, 플라스틱 봉지, 마시다 남은 음료의 병이나 깡통, 플라스틱 용기 등을 볼 수 있다. 심지어는 해안가나 깊은 계곡, 호수 주변도 마찬가지이다.

푸푸케 호수 주변을 정화할 때의 일이다. 호수에 잠겨있는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서는 3인 1조가 되어 작업을 한다. 한 명은 길가에서, 다른 한 명은 둔덕 중간에서, 나머지 한 명은 호수 물이 고여 있는 직전에서 긴 잠자리채를 들고 쓰레기를 수거해서 위의 두 사람에게 전달해주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 때 세 사람은 서로 팔을 굳게 잡고 미끄러지지 않게 의지해야만 한다. 호수 안에는 썩어가는 고기, 나무토막, 비닐봉지, 생활 잡용품, 유리병, 플라스틱 제품 류 등 온갖 잡동사니들이 널려 있다. 도대체 얼마나 양심이 불량이면 호수에 이러한 쓰레기들을 버릴 수 있는지 어이가 없었다. 한 쪽에서는 키위들이 모형 요트 놀이를 하고 있고 휴일에 산책을 즐기는 가족도 있었다. 그래도 어린 아이를 데리고 산책 나온 어느 부인은 우리를 알아보고 코리안 가든에서 나왔느냐고 인사를 하기도 했다.

한 번은 포레스트 힐 리저브에서 봉사할 때였다. 큰 길에서 조금 안쪽으로 들어가니까 깊은 산 속처럼 수풀이 나오는데 그러한 곳에도 쓰레기들이 널려있는 것이다. 숲 속 깊은 곳에 텐트 같은 것이 발견 되었는데 선뜻 접근하기가 마음 내키지 않는 그러한 곳이었다. 그 텐트 안에 사람이 있을 지도 모르고 아니면 죽은 사람이 있을 지도 모르는 느낌이었다. 그래도 일행들이 모여서 텐트를 벗겨 보았다. 사람은 없었지만 그 안에서 여러 가지 살림살이들이 방치되어 있어 그곳에서 생활한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름철에 생활하다가 장마철이 되니까 퇴소한 듯싶다. 안에는 취사도구는 물론 침구도 있었고 놀랍게도 담요는 한국 제품이었다. 끙끙거리며 도로에 운반해냈지만 우리가 발견하지 않았더라면 얼마나 긴 세월을 그곳에 방치되어 있을지 의문이었다.

현대인들이 소비하며 버리는 쓰레기로 인해 지구는 그야말로 몸살을 앓고 있다. 수 억 년 동안 생성되어 온 지구가 산업화 시대 이후 인간들이 벌려놓은 지구 자원의 남용으로 순식간에 황폐화되고 있다. 특히 20세기 들어 석유 제품의 남용은 지구를 회복 불능의 상태로 몰아가고 있다.

쓰레기는 지정된 장소에 버린다고 해도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 때문에 에너지를 낭비하게 된다. 쓰레기가 된 제품을 생산하는데 수 십 가지의 과정을 거쳤고 자원이 사용되었으며 또한 수집된 쓰레기를 운반해서 분류하고 썩혀야 되는 과정에서 엄청난 비용이 발생한다. 플라스틱 제품은 오랜 세월이 지나도 잘 썩지도 않는다. 과거에는 유기질(Organic) 쓰레기였기에 자연 순환 과정을 거쳐서 순기능을 발휘하며 처리되었었다.

뉴질랜드로 이민을 결심할 때는 어느 정도 자연주의적인 취향을 살려보고 싶어서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교민들이라도 모범이 되어 그래도 세계에서 제일 청정하다는 뉴질랜드 자연을 지키는데 앞장섰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발제; 인간은 자연과 일체가 되어 살아야하는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연을 보호하고 잘 관리해야 되는 사명을 잊지 말아야……

한 일 수 (칼럼니스트)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교민 교포라는 말 대신……

댓글 0 | 조회 4,617 | 2011.08.03
언어는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맺어진 일종의 계약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언어활동은 다양하고 잡다하여 여러 영역에 걸쳐있다. 언어는 늘 살아 움직이고 그래서… 더보기

건강 108세를 지향하는 다수(茶壽) 캠페인 시리즈 (1)

댓글 0 | 조회 3,394 | 2010.11.01
다수 캠페인을 시작하면서인생은 종착역을 향해 다시 돌아오지 못할 길을 달리는 기차 여행과 같다. 마치 일회용 축음기판이 마지막을 향해 빨리 돌다가 끝나버리는 것처… 더보기

현재 쓰레기로 멍드는 지구

댓글 0 | 조회 2,999 | 2010.10.11
“인간은 지구에 세 들어 사는 존재이지 그 주인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100년도 못되는 기간 동안에 온갖 형태로 지구를 더럽히… 더보기

가불만한 곳 - 물고기들의 낙원 Goat Island

댓글 0 | 조회 6,753 | 2011.01.10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가불만한 곳 - 물고기들의 낙원 Goat Island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 더보기

가볼만한 곳 - 야외조각 전시회

댓글 0 | 조회 5,005 | 2010.11.08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볼만한 식당 - 화로

댓글 0 | 조회 6,885 | 2010.11.02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tsTV] ‘앱 창작터‘ 14곳 추가 선정

댓글 0 | 조회 1,915 | 2011.01.18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중소기업청은 최근 확대되고 있는 모바일 콘텐츠 시장과 교육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4개 ‘앱 창작터’를 추가로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지정대… 더보기

변비(Constipation)

댓글 0 | 조회 3,880 | 2011.05.25
수면시간과 마찬가지로 사람마다 변을 보는 횟수도 다르다. 하루에 한 번 변을 보는 것이 가장 흔한 양상이지만 그렇게 규칙적으로 변을 보는 사람은 50% 정도에 불… 더보기

불면증

댓글 0 | 조회 2,904 | 2011.05.10
사람에 따라 필요한 수면시간은 다르다. 어떤 사람은 4시간의 수면으로도 충분하고 어떤 사람은 10시간을 꼭 자야만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따라서 6-8시간의 … 더보기

인플루엔자예방 주사

댓글 0 | 조회 3,170 | 2011.04.28
겨울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반갑지 않은 손님 인플루엔자(독감).매우 전염성이 강한 질병으로 매해 5명 중 한 명이 인플루엔자에 걸린다. 흔한 질병으로 쉽게 생각하… 더보기

감기 (Common Cold)

댓글 0 | 조회 2,733 | 2011.04.13
상부 호흡기 특히 코와 목의 바이러스성 감염을 의미한다. 보통 독감(인플루엔자 혹은 flu)이라고 하는 좀 더 강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과는 다르다.증세는?보통 … 더보기

좌골 신경통 (Sciatica)

댓글 0 | 조회 3,684 | 2011.03.23
좌골 신경통은 말 그대로 좌골 신경에 의한 통증이다. 좌골신경은 우리 몸에서 가장 긴 신경으로 어른의 손가락 크기로 다리와 발의 감각과 기능에 관여한다. 이것은 … 더보기

다리에 쥐가 나요!!!

댓글 0 | 조회 4,368 | 2011.03.09
영어로는 cramp이라고 하며 주로 종아리 근육에 강직이 일어나는 것을 이야기하는데 간혹 발에도 생긴다. 강직된 근육이 딱딱해지고 아프며 어떻게 할 수가 없다.누… 더보기

척추증(Spondylosis)이란?

댓글 0 | 조회 15,079 | 2011.02.23
▶ 척추에 오는 퇴행성 관절염많은 한국분이 병원에서 진단을 받지만, 영어 소견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이번 호부터 한국 질병명 옆에 영어 질병… 더보기

알레르기성 비염

댓글 0 | 조회 3,605 | 2011.02.09
코는 계속해서 간질거리고, 물처럼 줄줄 흐르는 콧물, 연달아 나오는 재채기 산처럼 쌓이는 휴지, 아주 티슈 박스를 끼고 산다.심한 경우 재채기를 하다가 차 사고를… 더보기

알레르기가 있으셔요?

댓글 2 | 조회 4,578 | 2011.01.27
알레르기질환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요인이 있는 사람에게서 여러 가지 환경인자가 작용하여 생긴다. 그러나 이런 질환이 최근 긴급히 증가하는 이유는 유전적인 … 더보기

[전망대] 뉴질랜드, 심해유전으로 대박이 터질 것인가

댓글 0 | 조회 8,917 | 2011.04.29
엑손모빌은 들어봤지만 페트로브라스는 별로일 게다. 브라질 석유기업인데 매출과 순익으로 본다면 세계 2위다. BP, 쉘 등보다 덩치가 크다. 페트로브라스는 브라질 … 더보기

[전망대] 우유 가격을 놓고 왜 말이 많은가?

댓글 0 | 조회 2,740 | 2011.04.13
우유는 소의 젖이다. 뉴질랜드는 대표적인 낙농국가다. 젖소가 2010년 기준으로 6백만 마리에 달한다. 이들이 생산하는 젖은 연간 160억 리터다. 전에는 양을 … 더보기

[전망대] 이젠 럭비 월드컵 이야기를 해보자

댓글 0 | 조회 5,770 | 2011.03.23
지진과 쓰나미의 충격이 한 달째 계속되고 있다. 언론은 물론이고 만나는 사람마다 꺼내는 화제는 단연 뉴질랜드 지진과 일본의 쓰나미다. 핵 공포까지 증폭되면서 더욱… 더보기

[전망대] 웰링턴 시민들은 불안에 떨 필요가 없다

댓글 0 | 조회 6,509 | 2011.03.11
지난달 6일 새벽,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 의식이 있었다.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의식은 해마다 열린다. 헬렌 클락 전 총리는 새벽 잠이 많아서 와이… 더보기

[전망대] 마타마타 할머니의 장수비결

댓글 0 | 조회 3,546 | 2011.03.09
해밀턴에서 동쪽으로 가다보면 마타마타라는 타운이 나온다. 타운센터를 중심으로 6천여명이 거주하는 평범한 마을이다. 마타마타가 유명해진 것은 ‘반지의 제왕’ 덕분이… 더보기

RBNZ과 국민당 정부 경제성적표

댓글 0 | 조회 5,236 | 2011.03.23
3월 10일 RBNZ (Reserve Bank of New Zealand) Governor Alan Bollard는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를 50bp (0.5… 더보기

[381] 행복한 남쪽나라

댓글 0 | 조회 3,979 | 2008.05.27
우리는 그렇게 '행복한 삶'을 꿈꾸며 '따뜻한 남쪽나라'를 찾아 왔다. 그런데 막상 와 보니 모든 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제대로 된 잡(job)을 못 구해서… 더보기

[380] 지혜만이 살길이다

댓글 0 | 조회 2,924 | 2008.05.13
한국은 AI 확산과 광우병 논란으로 전국이 뒤숭숭하다. 페스트 이후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 되는, 가장 심각한 3대 재앙으로 에이즈와 AI(조류인플루엔자) 그리고 … 더보기

[379] 꿀비가 내렸어요

댓글 0 | 조회 3,519 | 2008.04.22
오랜 가뭄 끝에 단비가 내리고 있다. 단비라 칭하기엔 뭔가 2% 부족한 것 같아 아예 꿀비라 부르고 싶다. 그렇게나 목 마르게 기다리던 비인데, 몇 일을 계속해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