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합격후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서울대학교 합격후기

0 개 2,812 KoreaPost
서울대학교2013년도 후기 (9월 입학) 발표가 지난 4월 19일에 있었다. 한국대학들은 순수 외국인과 일부 대학에서는 12년 전과정을 해외에서 공부한 학생들에 한하여 9월 전형에서 선발한다.

오클랜드 국제고등학교에서는 지난2010년부터 매년 1명 이상 서울대학교 합격생을 꾸준히 배출하고 있으며  자매가 나란히 의예과에 합격하는 기염을 토했다. 

의예과 합격한 자매는 필자의 딸들 이기도하지만 좀더 객관적으로 이 사례들을 통하여 한국대학이 뽑는 인재상과 또 수험생으로서 학부형으로서 필수준비사항과 선택사항에 대하여 분석하고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이야기는 200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 같다. 필자의 큰 딸이 노스쇼어의 한 공립학교 10학년에 재학중이었을때 필자는 고등학교 마지막 3년은 사립으로 옮겨서 좀더 학업에 충실하고 뉴질랜드 대학 뿐만이 아닌 세계대학 진학을 생각해 보던 중이었을때 오클랜드 국제고등학교 직원이 필자가 운영하고 있던 사무실에 들러서 학교에 대한 설명을해 주었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IB 디프로마 프로그램에 대해 크리스틴 정도에서만 일부 학생들에게 가르쳤고 뉴질랜드에서는 생소한 교과과정이었기 때문에 필자도 전 세계에서 인정하여 주는 이 디프로마에 대해 관심을갖고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아직 졸업생도 없는 학교에 큰딸을 입학시키며 AIC 와 우리가정의 인연은 시작되었다. 큰 아이의 입학 수기는 이미 다른 지면을 통하여 이야기 되어졌던바 오늘은 둘째 사례에 대해 같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2010년 큰아이가 한국대학을 진학하고 교민사회에 알려지고 또 많은유학생들이 한국대학으로 지원하면서 매년 수백명의 뉴질랜드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한국대학 지원을 시도하였고 점점 더 자체 경쟁율이 심해지기시작했다. 마찬가지로 전세계어디든 의과대학은 뛰어난 학생들의 경쟁이기 때문에 그 어느누구도 합격을 장담하기 힘들다.

둘째를 준비할때도 마찬가지 9월 입학은 미국계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를 포함 6월 졸업하는 미주, 구주 계 학생들이 대거 지원하고 모집인원은 3월 입학 보다 더 적기 때문에 필자도 9월입학 지원을 처음에는 망설였었다. 그러나 AIC는 5월에 졸업하므로 시기적으로 맞기도 할 뿐만아니라 글로볼 세계대학 어플라이를 하여 이미 타 국가 대학의 입학허가서를 받아 놓은 상황이기때문에 소신지원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최소 3년의 장기 지원 계획을 세워 연도별 중요사항을 정하고 학교공부전략, 공인시험 준비, 지원대학에 필요한 필수사항 과 선택사하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준비 안해도 되는 것은 과감히 버리고 필수 준비사항 중점 분야에 대해서는 총체적으로 집중하여 대비시켜 왔다.

대표적으로  *** 시험등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미국대학 진학에 필요한 이 시험은 준비도 많이 해야하고 비용도 만만치 않다. 그러나 많은 수험생들이 한국대학 진학을 위하여 이 시험준비를 하는데 거의 대부분 학생들이 한국대학 진학에 필요한 성적을 받지 못한채 그만 둔다. 필자의 자녀는 물론 필자로 부터 한국대학 진학에 도움을 받은 학생들은 하나 같이 이 시험없이 서울대, 카이스트, 연세대, 이화여대, 성균관대등 소위 명문 한국대학에 합격하였다.  그 시간에 다른 준비를 더 시킨 것이 주요하였다고 본다.

학부모님들이 방문하여 상담하실 때 보통은 ‘우리아이는 뭐뭐를 했고요, 공인시험은 뭐뭐 얼마씩이고요, 성적은 그냥 그런데 음악 뭐하고 체육 뭐하고 그럼 이정도 스펙에 어느 대학을 합격할수 있나요?’ 질문을 한다. 필자가 늘 이야기하는 말이지만 그저그런 메뉴 수십가지 갖고 있는 분식집이 아닌 곰탕  한 그릇이라도 제대로 만드는 전문점을 만드는 것이 대학 합격의 비밀이다 라고 생각한다.

필자가 그간 5년동안 한국대학 컨설팅과 합격생들을 볼때 성공요인은 아래와 같은 요인이 중요하다고 본다.

첫번째 전체적인 타이밍 설정에 따른 지원 전략이 중요하다. 즉, 앞으로는 한국대학을 최종 목표로 할지라도 글로벌 어플라이를 통하여 수험생이 대학을 선택하여 진학 할 수 있는 일종의 Plan B 작전이 중요하다.

두번째 학생의 동기유발이 필요하다. 주변사람들이 도와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인이 가고자 하는 의욕과 노력이 절실하다. 꿈은 높은데 노력은 바닥이어도 안되지만, 열심히 하긴 하지만 비젼이 없으면  결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없다.

세번째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뉴질랜드 학교들의 가장 큰 문제점이 진학 담당 교사가 없고 뉴질랜드 대학들외에는 아는게 없다는게 문제다. 그래서 학생들이 그것을 다 찾아 하라고하기는 무리다. 따라서 부모님이 발품을 팔고 귀동냥을 하고 해서 올바른 정보를 수집하고  자녀에게 전달해 주어야 한다. 무조건 공부하라 윽박지르면 학생들도 답답하긴 마찬가지이다.

네번째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선정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뉴질랜드 학교는 물론이고 우리가 알고 있는 일부 유명 사립학교조차도 대학 진학 카운셀러가 없다. 학생들에게 대학 진학 일정 준비서류 타이밍 등에 대한 안내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마지막 고등학교 3년은 이러한 대학 진학에 관한 지원 시스템과 카운셀러가 있는 학교를 다니는 것이 훨씬 성공 확율을 높일 수 있다.

한국대학 지원과 고등학교 선정에 관한 문의 solochoi0129@gmail.com

자녀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열의 방향

댓글 0 | 조회 3,475 | 2010.09.29
며칠 전 뉴스를 통해 ‘Tall Poppy Syndrome’에 대한 조사 결과가 소개된 적이 있다. 성공한 키위들 중에 많은 수가 자신의 성공을 남 앞에 보이기를… 더보기

자녀에게 책을 즐기게 하려면

댓글 0 | 조회 3,285 | 2010.09.15
아이비리그 대학에 합격한 우수한 학생들의 인터뷰 내용에는 거의 빠짐없이 독서를 즐겼다는 내용이 포함된다. 마음의 양식이라고 하듯 아이들의 정서 함양에 큰 몫을 담… 더보기

창의성 개발을 위한 가정 환경

댓글 0 | 조회 3,574 | 2010.08.24
뉴질랜드로 이민 와서 교육학을 전공할 때의 일이다. 다시 젊은 시절로 되돌아간 신선함으로 대학생활을 하면서, 키위들이 갖고 있는 문화를 간접 체험하는 일은 한국인… 더보기

SAT와 ACT

댓글 0 | 조회 3,197 | 2010.08.10
미국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치러야 하는 시험에는 SAT와 ACT가 있다. SAT Reasoning Test는 널리 알려져 있듯이 미국대학입학시험으로써 영어와 수학… 더보기

IB Diploma 분석

댓글 0 | 조회 4,396 | 2010.07.28
뉴질랜드의 고등학교는 NCEA, IB, CIE 이렇게 세가지 교육과정중 한가지 혹은 두 가지를 선택하여 운영한다. 최근 들어 오클랜드에는 IB(Internatio… 더보기

대입 원서 언제부터 시작하여야 좋은가

댓글 0 | 조회 2,887 | 2010.07.14
한인들의 뉴질랜드 이민 역사가 길어짐에 따라 전세계 명문대학의 합격장을 손에 쥐고 기뻐하는 교민 자녀가 늘고 있다. 오랜 시간의 내신 성적 올리기 끝에 수능에 의… 더보기

월반은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댓글 0 | 조회 3,821 | 2010.06.23
“아시안은 수학을 잘 한다”라는 말은 마치 상식처럼 이야기되곤 한다. 타 교과에도 고루 두각을 나타내는 많은 한국 학생들이 원어민과 당당히 경쟁하여 우수한 성적을… 더보기

올바른 학교 선정이 유학 성공의 열쇠가 된다

댓글 0 | 조회 2,494 | 2010.06.09
오클랜드에서 유학한 후 미국이나 영국의 대학으로 진학할 꿈을 안고 장기 유학을 계획하는 경우는 단기유학과는 차별화 된 사전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단기 … 더보기

제대로 분석하면 아이를 영재로 키울 수 있다

댓글 0 | 조회 2,695 | 2010.05.26
얼마나 똑똑한가를 가름하기 위한 수단으로 우리는 흔히 IQ 테스트를 생각한다. IQ 테스트는 기억력 계산력 추리력 이해력 언어능력 등에 있어서의 지적 능력을 측정… 더보기

올바른 대학 순위의 활용

댓글 0 | 조회 3,875 | 2010.05.12
해마다 각 국가별로 유수한 기관들에 의한 대학순위가 발표되고 있다. 이 자료들은 대학지원을 앞두고 교육 카운슬러들과 학생들이 대학이나 학과를 선택할 때 중요한 자… 더보기

Form 4가 된 자녀에게 대학 체험을

댓글 0 | 조회 2,862 | 2010.04.28
Form 5부터는 대학에서 자신이 전공하고 싶은 학과가 요구하는 필수과목을 이수하기 시작해야 한다. 그래서 Form 4부터는 자신이 무엇을 전공하고 싶은지 생각해… 더보기

Debating을 잘 하는 아이들 가정에서 실력을 키운다

댓글 0 | 조회 3,441 | 2010.04.14
필자가 한국에서 전공한 교육학을 20년만에 이 곳 오클랜드에서 다시 전공하면서 양국 사이의 문화의 차이와 그 동안의 시대의 변화를 크게 느낄 수 있었다. 강의실에… 더보기

입시사정관제도에 있어서의 특별활동의 의미

댓글 0 | 조회 3,580 | 2010.03.24
Extracurricular Activity는 왜 강조되는가?미국의 대학교들은 왜 지원자들의 특별활동에 관심을 갖는가?왜 한국의 대학들은 앞다투어 미국의 대입제도… 더보기

구조 공학자(Structural enginner)

댓글 0 | 조회 5,021 | 2011.11.08
구조공학분야는 실제 인간이 살아가는 주거공간에서부터 경제적, 사회적 활동을 위한 시설들을 설계하는, 인간에게 있어 가장 기본적인 의식주의 한 분야인 생활 환경에 … 더보기

[NZ 취업 성공 스토리] 면접 옷차림도 실력! (Dress for Success…

댓글 0 | 조회 5,006 | 2011.07.13
“옷차림은 혁신이죠. 첫 면접, 첫 출근에서 단정하고 세련된 복장만큼 자신감과 호감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은 없습니다.” 취업 준비생과 직장 여성을 위한 오클랜… 더보기

[NZ 취업성공스토리] 예술 상담치료 전문가

댓글 0 | 조회 4,610 | 2011.02.23
예술 치료법(Arts Therapy)이란, 심리학과 예술을 결합시킨 예술심리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미술과 음악 등의 다양한 예술기법을 사용하여 심신을 치료하는… 더보기

피부 전문의(Dermatologist)

댓글 0 | 조회 4,795 | 2011.02.09
피부전문의는 피부의 건강과 질병을 전문적으로 다루고 연구, 진료하는 직업이다. 피부전문의 ‘다이애나 퍼비스(여성, 30)’는 스타쉽 소아과 병원(Starship … 더보기

[NZ취업성공스토리] 커피 바리스타 (Barista - Espresso makin…

댓글 0 | 조회 5,760 | 2011.01.25
[NZ취업성공스토리] 커피 바리스타(Barista - Espresso making)뉴질랜드인의 커피 사랑은 특별하다. 아침에 일어나 은은한 커피 한잔을 마시며 하… 더보기

여성 와인 메이커(Winemakers)

댓글 0 | 조회 3,820 | 2010.12.13
[NZ취업성공스토리]여성 와인 메이커(Winemakers) - 화학지식의 마법, 포도주 양조법온화한 해양성 기후에 풍요로운 자연을 가진 뉴질랜드 포도원은 낮에는 … 더보기

“아티스트로서 성공하려면 반드시 비즈니스를 알아야 한다”

댓글 0 | 조회 3,951 | 2010.12.13
NZ취업성공스토리- 아티스트로서 성공하려면 반드시 비즈니스를 알아야 한다뉴질랜드 정부는 예술 교육기관에 상당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예술 분야산업의 전망… 더보기

[NZ취업성공스토리] 항해의 나라 뉴질랜드에서 요트 디자이너가 되는 길

댓글 0 | 조회 5,153 | 2010.10.12
[NZ취업성공스토리] 항해의 나라 뉴질랜드에서 요트 디자이너가 되는 길엘리엇 보트 디자인(Elliot Boat Design) 뉴질랜드에서 요트항해는 각광받는 국민… 더보기

[NZ취업성공스토리] 오클랜드 동물원 수의사 데이빗 크림프씨

댓글 0 | 조회 6,041 | 2010.10.12
동물들을 보면 편안하고 즐거운 사람들, 동물들을 관리하고 병을치료하며 사육에 열의를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동물원의 수의사를 꿈꿔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 더보기

[NZ취업성공스토리] 뉴질랜드 무역선 시스템 운영 조교

댓글 0 | 조회 4,828 | 2010.10.12
국제 무역, 수입과 수출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있다면? '무역 물자 배급사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분야의 교육 기관에서 풀타임 혹은 … 더보기

[NZ직업탐구] 수제 화장품 Lush사의 CEO '엔드류 게리'

댓글 0 | 조회 5,260 | 2010.10.12
   Lush는 전 세계 44개국에 총 680개의 분점을 가지고 있는 수제 화장품 회사이다. Lush의 CEO  엔드류 게리(Andrew Gerrie)씨는 웰링턴… 더보기

[NZ취업성공스토리] 뉴질랜드에서 그래픽 디자이너가 되려면...

댓글 0 | 조회 10,693 | 2010.10.12
현대 사회를 둘러싸고있는 모든 것들은 디자이너의 손길을 거치지 않은 것이 거의 없다. 광고판에서부터 비즈니스 카드, 웹싸이트와 안내책자까지... 실로 많은 것들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