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의 치료와 예방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뇌졸중의 치료와 예방

0 개 3,152 박 종섭
뇌졸중은 공포의 질병이다. 흔히 중풍으로 불리는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혀 혈액과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해 뇌세포가 죽는 뇌경색과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피가 고인 혈종으로 인해 뇌손상이 오는 뇌출혈로 나뉜다. 비록 치료나 수술이 가능하더라도 사망에 이르거나 치명적인 신체장애가 이어진다.

최근에는 뇌졸중이 나이, 성별에 관계없이 발병하고 있으며 특히 30~40대 젊은 사람들에서도 급증하고 있다. 이는 뇌졸중을 일으키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등의 만성질환이 모든 연령대에 걸쳐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20∼64세의 58.6%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중 1가지 이상의 질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도가 2~5배 높다.
특히 뇌혈관이 좁아지는 뇌혈관협착증은 국내 뇌경색 환자의 가장 큰 원인으로 뇌혈관 협착증 증상이 있는 환자가 적극적인 치료를 하지 않았을 경우 1년 내 환자의 8~19%에서 뇌졸중이 발병된다고 한다.

뇌졸중의 증상으로는 1) 한쪽 팔다리가 마비되거나 감각이 이상하다, 2) 말할 때 발음이 분명치 않거나 말을 잘 못한다, 3) 일어서거나 걸으려고 하면 자꾸 한쪽으로 넘어진다, 4) 갑자기 눈이 안보이거나 둘로 보인다, 5) 의식장애로 깨어나지 못한다, 6) 갑자기 벼락치듯 심한 두통이 온다, 7) 주위가 뱅뱅 도는 것처럼 어지럽다 등이다.

이들 증상들 중 1-2가지 이상이 동시에 나타나면 뇌졸중을 의심하고 가까운 응급실로 최대한 빨리(3시간이내) 가는 것이 좋다.

뇌세포는 단 몇 분만 혈액공급이 끊겨도 손상을 입고 한 번 죽은 뇌세포는 되살릴 수 없으므로 무엇보다 신속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뇌졸중의 경우 ‘골드타임’(Gold time)은 3시간이다. 뇌졸중 전조증상이 나타나면 3시간 이내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해야 뇌세포가 회복될 수 있다. 아무리 늦어도 6시간 안에는 병원에서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뇌경색 환자 치료는 보통 약물치료를 통해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치료를 하지만 증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뇌혈관 중재술이나 스텐트 시술을 해 왔다.

최근 기존에 사용하던 심장용 스텐트 대신 최근에는 뇌혈관 전용 스텐트가 개발되면서 뇌혈관 전용 스텐트를 이용한 시술이 주목받고 있다.

뇌혈관만을 위해 개발된 스텐트(Wingspan)를 이용해 뇌혈관을 넓혀주는 뇌혈관 전용 스텐트는 심장용 스텐트 보다 부드럽고 안전해 심장혈관보다 얇고 구조가 복잡한 뇌혈관에 적합하다.

이 시술은 환자의 허벅지에 3∼4㎜ 가량의 작은 구멍을 낸 뒤 대퇴동맥으로 ‘카테터’라는 가는 관을 뇌혈관까지 밀어올린 후 풍선으로 좁아진 혈관을 넓히고 그 공간에 스텐트를 넣어준다.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스텐트는 자가 확장되면서 넓어진 뇌혈관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뇌혈관 전용 스텐트를 이용한 이 시술은 2007년 부터 미국과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지난해 3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의 신용삼 교수팀이 처음으로 국내에 도입했다.

혈관이 많이 좁아지지 않은 경우는 약물치료를 실시하며, 혈관이 70%이상 좁아진 환자 중에서 증상이 있는 경우, 뇌경색 혹은 뇌경색의 초기증세가 있는 경우에만 뇌혈관 스텐트를 실시한다.

뇌졸중은 한번 걸리면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방이 제일 중요하다. 또한 뇌졸중의 75%는 금연, 절주, 운동 등 간단한 생활습관으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
고혈압은 뇌졸중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뇌경색 환자의 약 70%에서 고혈압이 발견된다. 따라서 혈압조절이 필수이며, 혈압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약물치료를 실시해야 한다.

또한 동맥경화, 고지혈증, 당뇨, 심장질환 등으로 혈액이 끈끈해진 사람은 뇌졸중 위험군으로 아스피린 같은 혈전생성 억제제를 미리 복용하는 것이 좋다.

증세가 없어도 50세가 넘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성인병을 앓고 있거나 이런 병들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흡연, 심장병이 있는 경우에는 정밀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검사를 하면 뇌혈관 상태를 알 수 있는 것은 물론 앞으로 뇌혈관 상태가 어떨지도 가늠할 수 있어 뇌졸중을 미리 막을 수 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뇌졸중센터장
신용삼(신경외과) 교수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면접 관이나 입학 사정관에 입장에서 생각하며 준비하라

댓글 0 | 조회 2,329 | 2012.02.29
지난 토요일 한국에서 서울대와 연세대를 제외하고 고려대를 포함한 서울의 주요 8개 대학 입학 처에서 공동으로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500여명에 가까운 학생과 학부…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 구술시험 5

댓글 0 | 조회 2,434 | 2012.02.17
부제: 자신의 소신과 장래 희망에 따른 목적지향적인 준비를 하라. 입시를 지도하다 보면 학생들의 꿈이 불투명하여 장래에 어떠한 일을 하며 살아갈 것인지 개념도 없…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1,930 | 2012.02.09
구술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출제 가능한 주제들을 모아 범위를 좁혀가며 준비하여야 하나다. 면접에서 나올 수 있는 질문을 예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141 | 2012.01.26
2. 개인의 인성과 적성에 관련된 준비를 철저히 하라. 면접이나 발표 등 구술시험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삶의 목적에 맞추어 준비하는 것이다. 먼저 자신의 인생의…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812 | 2012.01.20
2013학년도 한국대학입시는 수시전형에서 더 많은 학생들을 선발한다고 발표를 하였다. 수시전형에서 가장 우리교민 자녀나 유학생들이 힘들어하는 부분 중 하나가 구술…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413 | 2011.12.23
2011년 11월 바뀐 토플 (TOEFL) 들여다 보기 TOEFL 시험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영어 시험인 만큼 응시자가 많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TOE…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 늘어나는 연어족

댓글 0 | 조회 2,737 | 2011.12.09
올해는 유난히도 한국대학 진학사례가 많았던 뉴질랜드 수험생들을 보아 왔다. 이런 현실은 비단 뉴질랜드 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번 2012학년도의 재외국민 전형을…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512 | 2011.11.03
한국에서는 사교육을 잡겠다고 사교육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갖은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사교육 근절을 외치고 있고 그러다 보니 사교육은 더 더욱 기승을 부리고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1 | 조회 2,779 | 2011.10.22
필자는 지난 2주간 뉴질랜드 유학 및 국제고등학교 진학 한국대학 진학 입시 설명회를 위하여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 왔다. 한국 방문기간 중 2012학년도 한국대학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 대학 바로 보기

댓글 0 | 조회 2,871 | 2011.10.11
뉴질랜드에 살고 계신 한국인은 한국의 미래에 당연히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우리의 자녀들에게도 과연 장기적으로 어느 무대에서 활동하여야 할지 고민하지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243 | 2011.09.30
지난 달 말 한국대학교육 협의회에서 2013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 계획을 발표하였다. 주요골자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대입전형의 일관성 유지를 통한 안… 더보기

2011 중앙일보 한국대학 랭킹 Top 20

댓글 0 | 조회 4,421 | 2011.09.26
2011 중앙일보 한국대학 랭킹 Top 20영국에는 The Higher Education 이 있어서 QS Top Universities 를 통하여 세계대학 및 대…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101 | 2011.09.22
지난 호 에서 살펴보았던 아시아권 50위 대학에서 이번에는 세계대학 50위권 대학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지난 9월초 서울대학교 전체 교수회의에서 향후 2020년까…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1,967 | 2011.09.14
최근 가장 객관적인 대학 평가기관 중 하나인 QS 에서 2011/2012 시즌 대학 랭킹을 발표하였다. 두드러진 것은 캠브리지 대학이 하바드 대학을 제치고(?)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539 | 2011.08.22
지난 7월 대부분의 재외국민, 외국인 입학 전형이 마감되었고 한동대와 고려대 등 일부 대학은 최종합격자 발표를 했으며, 8월 초부터 한국대학들의 2012학년도 수…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153 | 2011.08.03
한국의 대부분의 대학들이 어제부터 수시전형 원서 접수에 들어 갔다. 한국대학은 크게 수시와 정시로 나누어 입학전형을 실시하는데 수시는 미국의 제도와 비교하면 Ea…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868 | 2011.07.22
대부분의 한국대학들이 2012년 수시전형 모집요강을 확정 발표하고 이제 8월초부터 9월 중순까지 입학원서를 접수하기 시작한다. 한국의 대학들은 뉴질랜드 교과과정인…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801 | 2011.06.29
한국대학도 이제 공통지원서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물론 모든 대학들이 이 양식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미국은 일찌감치 Common Application Form 을 사…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240 | 2011.06.27
수시의 묘미 요즘 뉴질랜드 교민 잡지에 한국대학 입시와 관련하여 칼럼 또는 광고성 기사를 접하곤 한다. 또한 여러 학교에서 또 학부모님께서 한국대학 가려면 어떻게… 더보기

2012학년도 재외국민과 외국인 모집요강 주요사항 발표

댓글 0 | 조회 3,138 | 2011.06.07
지난 6월 3일 한국대학교육 협의회에서는 전국 4년제 대학의2012학년도 재외국민과 외국인 모집요강 주요사항을 발표하였다. 2011학년도 대비 크게 달라진 점은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827 | 2011.05.27
2012학년도부터 더욱 많아진 한국대학 입학 사정관제란 과연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한마디로 교육부는 한국의 공교육을 살리고자 점수 일변도의 대학입학 정시 모집과…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717 | 2011.05.09
지난 6년 동안 필자는 매년 뉴질랜드 유학 및 입시관련 설명회를 위하여 한국을 방문하여 한국의 대학 입학 사정관들과 또 대학 입시 관련자들을 만나보며 한국의 대학…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336 | 2011.04.21
지난 2011년 3월 15일 전국 200개 대학의 2012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주요사항 중 대입전형 간소화 등을 위한 주요 수정 사항 발표에 따르면, 크게 수시모집…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449 | 2011.04.08
지난 2011년 1월에 한국대학교육협회에서 발표한 ‘2012학년도 전형 계획 주요사항’ 에 따르면 가장 큰 골자가 수시모집인원의 지속적인 증가와, 수시전형 미등록…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561 | 2011.03.22
2011년은 시작하면서부터 굴직한 사건들로 시작된다. 그것도 100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한 천재지변으로 뉴질랜드 남섬 크라이스트쳐치와 일본 대지진은 전세계에 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