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치매 (Ⅱ)

0 개 2,379 새움터

치매는 오랜기간 동안의 치료와 간병을 필요로 하기에 본인은 물론 그 가족들을 상당히 힘들게 합니다. 뉴질랜드의 치매 연구 자료에 따르면 치매 환자 부양 가족은 다른 질병을 가진 환자들을 간병하는 사람들보다 훨씬 심각한 우울증과 불안증, 스트레스, 그리고 수면 장애 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또한 치매환자를 돌보느라 스스로를 돌보지 못해 혈관성 질환이나 만성질환 등에 시달리는 경우가 더욱 많습니다. 그래서 뉴질랜드에서는 치매 환자 부양 가족을 지원하는 서비스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뉴질랜드에서 치매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중 알츠하이머 뉴질랜드 (Alzheimers New Zealand)는 대표적인 치매 전문 서비스 기관입니다. 알츠하이머 뉴질랜드는 비 영리 단체로 전국에 23개의 사무소를 두고 치매 환자와 그 부양 가족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치매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진단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가정 방문이나 전화 등을 통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어떻게 치매 환자를 이해하고 간병하는가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및 치매 환자를 부양하는데에 따른 경제적인 지원 정보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치매 환자들의 행동이나 약에 관련된 문제들은 물론 환자를 가정에서 전문요양시설로 옮기는 절차와 정보 등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치매 환자가 유언장이나 영구 위임장 등을 작성할 수 있도록 법적인 업무도 지원해 줍니다. 또한 치매 환자나 그 부양 가족들이 비슷한 환경에 있는 사람들과 만나 경험을 나누고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그룹 모임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뉴질랜드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치매 환자 부양 가족을 위한 서비스로는 일일 프로그램 (Day Programmes),  일시적 간호위탁 서비스 (Respite Care)  및 가정지원 (Home Help) 등이 있습니다. 이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있는 보건부 복지팀(Needs Assessment team)의 평가가 필요한데 이는 GP나 알츠하이머 뉴질랜드 사무소를 통해서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일일 프로그램은 치매 환자들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동안 부양 가족들이 쉴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일시적 간호 위탁 (Respite Care)은 임시 간병인이 치매 환자를 돌보는 동안 부양가족들이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입니다. 가정 지원 서비스는 치매 환자가 장기 요양시설이 아닌 가정에서 생활을 할 경우 도우미가 방문하여 목욕이나 옷입기 등 개인 수발과 청소나 빨래 등의 가사일을 돕는 제도입니다. 

치매 환자 부양 가족들에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본인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도 함께 돌보는 것입니다. 자기 자신의 건강을 챙기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규칙적인 일과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매 환자에게만 촛점을 맞추기보다는 자기 자신의 삶을 건강하고 의미있게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환자에게도 도움이 되고 본인도 쉬 지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치매 환자를 혼자서 돌보려 하지말고 가능한 한 빨리 전문가, 사회 복지 서비스 기관 그리고 치매 전문 서비스 기관 등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치매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도움과 지원을 받음으로써 치매 환자는 물론 부양 가족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치매 환자 부양 가족들을 위한 보다 더 상세한 정보는 알츠하이머 뉴질랜드 www.alzheimers.org.nz / 0800 004 001  또는 Carer New Zealand / www.Carer.net.nz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글쓴이: 한 영희 Counsellor/Health Promoter (Asian Family Services)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3,047 | 2011.03.04
분야별 대학 랭킹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 받고 있는 대학 평가기관 중 하나인 QS Topuniversities 에서 Asian University Ranking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2 | 조회 2,860 | 2011.02.25
미국 한국대학입시에 필요한 SAT 란 무엇인가? SAT 는 Scholastic Assessment Test의 약자로 미국 대학입학 자격 시험 중 하나이며, ETS…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471 | 2011.02.11
대학 선택 요령 자신에게 맞는 대학이 ‘최상의 대학’ 대학선택은 일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결정중의 하나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나 뉴질랜드에서 공부…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678 | 2011.02.03
한국의 대학들은 2011년도 전기 입학에 대한 특별전형, 수시일정이 대부분 끝나고, 2011학년도 후기전형(수시, 특별전형)이 한창이다. 현재 서울대에서는 특별전… 더보기

한국대학 진학을 위한 필수사항

댓글 1 | 조회 3,175 | 2011.01.19
필자가 지난 수년간 한국대학 진학 상담을 하고 실제로 합격한 학생과 낙방한 학생들의 사례를 토대로 한국대학 진학을 위한 최소한의 준비 사항을 나열하여 보도록 하겠…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518 | 2011.01.11
2011년 한 해가 시작되고 대부분의 업무가 정상화 되어가고 있다. 지난 칼럼에서 언급하였다 시피 매년 수시전형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입학 사정관제…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513 | 2010.12.28
2010 신년 벽두부터 동계올림픽과 축구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에서 기쁜 소식들이 날아오는가 싶더니,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 등 엄청난 사건들이 조국 대한민국에 벌…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459 | 2010.12.13
한국대학 수시전형 어제로서 거의 대부분의 한국 대학들의 수시모집 합격자 발표가 끝나고 이제 정시 모집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정시 모집이라 함은 한국에서 대학입학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3,078 | 2010.12.04
매년 여러 기관에서 세계대학 랭킹을 발표하고 있고 다른 나라도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유난히도 대학 순위에 관심이 높다. 그래서 순위가 발표될 때 마다 모든 신문이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3,198 | 2010.11.30
1991년 뉴질랜드가 이민법을 개정하고 투자이민과 일반이민을 대폭 받아들이면서 한국에서도 민족의 대이동(?)으로 이곳 뉴질랜드 땅에 한국교민이 본격적으로 이민오기… 더보기

한국대학 바로보기 - 한국대학 특별 전형(2)

댓글 0 | 조회 3,529 | 2010.11.15
한국교민으로서 외국인 특별전형 카테고리에 들 수 있는 경우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첫 번째로 부모님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민 와서 뉴질랜드 시민권을 … 더보기

외국인 특별전형(1)

댓글 0 | 조회 4,021 | 2010.11.02
예로부터 한국에는 중요한 ‘삼’이 3가지가 있는데, 산에는 산삼이 최고요, 바다에는 해삼이 최고라는 말이 있어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정에는 고3이 있다고들 한다… 더보기

아버지와 자녀의 전쟁

댓글 0 | 조회 1,808 | 2013.11.26
J선생님은 부인의 권유로 상담에 오셨습니다. 아들이 대학을 위해 공부를 해야 하는 데 인터넷 게임을 너무 많이 하므로 아버지께서 인터넷 사용을 감시하고 매일 밤 … 더보기

우리 부부는 적군인가 아군인가

댓글 0 | 조회 2,046 | 2013.11.12
한 지붕 아래에서 적군과 대치하는 경험을 해 보지 않은 부부는 없을 것이다. 서로 가까이 있으니 수시로 전쟁을 치룬다. 미워도 그만큼 미운 적군은 세상에 없다. … 더보기

사랑하는 사람과의 동침 OR 적과의 동침

댓글 0 | 조회 2,109 | 2013.10.22
여성들은 종종 자신은 적과 동침한다고 한다. 왜 그렇게 사느냐 물으면 남편이 생활비를 주니까, 아이들이 어리니까, 이혼녀가 되는 것이 두려워서, 키워주신 부모님을… 더보기

가족이란 만병의 원인 또한 만병 통치 약!

댓글 0 | 조회 1,525 | 2013.10.09
부제: 자녀가 말을 듣지 않는다. 이민 정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어려움으로 인해 가정이 해체되거나 혹은 심한 갈등과 고통 속에 있다. 한국에서의 모든 것을 뒤로 하… 더보기

근심 걱정 두려움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법

댓글 0 | 조회 3,496 | 2013.09.25
의사였던 빅터 프랭클이 악명 높은 유대 수용소에 있을 때 건강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차이를 조사를 했다. 그가 발견한 것은 심리적 차이였다. 근심 걱정 두… 더보기

감정 조절

댓글 0 | 조회 1,418 | 2013.09.10
감정 조절은 가정이나, 일터, 그리고 가까운 이들과의 좋은 관계 유지를 위해 상당히 중요하다. 감정이 일어나는 대로 표현을 하고 나면 후회가 따르고 관계에 어려움… 더보기

좋은 관계 유지

댓글 0 | 조회 1,629 | 2013.08.28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이 우리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중요하다. 좋은 관계는 우리의 정신을 건강하게 하지만 관계가 깨어 지면 몸과 마음이 병든다. 또한… 더보기

자기 비하

댓글 0 | 조회 1,980 | 2013.08.13
자기 비하로 고통 하는 분들이 있다. 자기 비하가 심하면 자신을 존중하기 어렵고 자신이 가치 없는 존재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자신감도 떨어지고 항상 불안해 하며 근… 더보기

누구나 내 안에서 들려오는 목소리가 있다

댓글 0 | 조회 1,456 | 2013.07.23
누구나 내 안에서 들려 오는 목소리가 있다. 그 목소리는 우리를 기쁘게도 하고 슬프게도 한다. 때로는 우리를 슬프게 하는 목소리가 우리 자신을 지배할 때가 있다.… 더보기

우리가 염려하는 것들...

댓글 0 | 조회 1,496 | 2013.07.09
뉴질랜드에 아시안 이민을 본격적으로 받아 들인지 20년이 지나고 있다. 많은 어려움을 이겨내면서 정착 해 온 이민 1세대는 서서히 현장에서 물러나고 현지에서 교육… 더보기

대화가 안 돼(?)

댓글 0 | 조회 1,435 | 2013.06.25
일을 하다 보면 가끔 사춘기 자녀를 가진 부모님과 이야기 할 기회가 있다. 그들의 여러 가지 고충들을 듣고 있노라면 이민 사회에서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여러 가지 … 더보기

당신이 꿈꾸는 노년은....

댓글 0 | 조회 1,954 | 2013.06.11
인간의 오랜 열망이었던 장수의 꿈이 실현되어가고 있다. 자녀양육과 직장에 얽매인 이전까지의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꿈 꿀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장수… 더보기

Compatibility Mode

댓글 0 | 조회 1,338 | 2013.05.28
‘How to be a friend to a friend who’s sick’(아픈 친구에게 친구되어 주기)의 저자 레티 (Le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