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건강 관리 서비스 안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정신 건강 관리 서비스 안내

0 개 1,416 새움터

지난 호에는 이민 생활 동안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특히 제한적인 인간 관계로 인해 마음 편하게 고민을 나눌 곳이 없어, 힘든 일이 있어도 마음에 담아두고 참고 살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이야기 하였습니다. 이러한 생활이 계속되면 자신도 모르게 의욕 상실, 수면 장애, 대인기피증, 망상 및 자살 충동, 환청 및 환각에 이르기까지 정신 건강 관련 증상을 경험 할 위험이 높아 질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대부분의 이러한 정신 건강 관련 증상들은 적절한 약물복용과 본인에 맞는 상담치료로 회복이 가능합니다. 다만, 많은 한국인분들이 뉴질랜드의 ‘지역 정신 건강 보건체계’ (Community Mental Health System)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적절한 상담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우선, 지역 정신 건강 보건 체계는 뉴질랜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영연방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는 국가 정신 건강 관리 기본 체계로서, 요약하자면 정신 건강 관련 치료는 더 이상 병원에서의 격리 수용 및 의학적 치료가 아닌 환자 본인이 속한 Community에서 본인에게 맞는 적절한 재활 상담 치료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본인이 스스로 의료진을 방문하여 치료 상담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담 서비스는 가정의 (GP)를 통해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정의를 방문하셔서 상담하시면 가정의는 가급적 여러분의 의견을 존중하여 본인에 맞는 상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가정의를 통해 상담 치료를 받으시는 동안 효과적인 정신 건강 치료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정신 건강 재활은 가능하며 그 치료의 핵심은 바로 여러분과 가족의 의지와 희망입니다. 환자 본인은 물론 많은 가족 분들이 반복되는 증상으로 인해 정신 건강 치료의 희망을 놓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환자 분들을 만나보면 적지 않은 분들이 약물 치료를 제외한 적절한 상담 재활 치료를 받아 본 경우가 극히 드문 것이 사실입니다. 정신 건강 증상은 본인 및 가족의 적극적이고 꾸준한 상담 재활 과정 참여와 노력, 적절한 약물치료로서 얼마든지 조절 가능하며, 정상적인 삶이 가능한 증상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자면, 본인과 가족 분들이 용기와 희망을 갖고 상담 재활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시고 우리 한인 커뮤니티가 그 분들에게 차별 없는 기회를 제공할 때 정신 재활은 반드시 가능합니다. 여러분 본인 혹은 가족 분 들이 정신 건강 관련 증상으로 어려움을 겪으신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주변에 비밀 보장을 원칙으로 하는 많은 전문적 상담서비스들이 있습니다. 다음은 정신 건강 관련 상담 및 유용한 정보를 구할 수 있는 서비스들입니다. 

유용한 정신 건강 안내 정보
⊙ 아시안 정신 건강 서비스(Asian Mental Health Cultural Support Coordination Services) : www.amhcs.org.nz (한국인 직원 근무)
⊙ 정신 재활 상담 및 커뮤니티 서비스 (Connect Supporting Recovery) :www.connectsr.org.nz (한국인 직원 근무)
⊙ 노스쇼어 여성 상담 센터 : www.womyn-ctr.co.nz (한국인 직원 근무)
⊙ 아시안 가족 서비스 (Asian Family service) : www.pgfnz.org.nz
⊙ 새움터 (정신 건강 안내 서비스) : 09 443 3700 (Ext 317)
⊙ 뉴질랜드 정신 건강 협회 (Mental Health Foundation) : www.mentalhealth.org.nz
⊙ 우울증 안내 사이트 : www.depression.org.nz
⊙ 건전한 정신 건강 안내 (정신 건강 증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 캠페인) :www.likeminds.org.nz
⊙ 정신 건강 증상 환자 가족 서비스 : www.supportingfamiliesnz.org.nz
⊙ 자살 방지 대책 협회: www.spinz.org.nz  
⊙ 전국 자살 방지 전화 상담 : Youthline 0800 376 633
⊙ Depression Helpline 0800 111 757
⊙ What’s up 0800 942 8787

글쓴이 : 김 학연 (사회 복지사)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3,040 | 2011.03.04
분야별 대학 랭킹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 받고 있는 대학 평가기관 중 하나인 QS Topuniversities 에서 Asian University Ranking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2 | 조회 2,853 | 2011.02.25
미국 한국대학입시에 필요한 SAT 란 무엇인가? SAT 는 Scholastic Assessment Test의 약자로 미국 대학입학 자격 시험 중 하나이며, ETS…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466 | 2011.02.11
대학 선택 요령 자신에게 맞는 대학이 ‘최상의 대학’ 대학선택은 일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결정중의 하나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나 뉴질랜드에서 공부…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671 | 2011.02.03
한국의 대학들은 2011년도 전기 입학에 대한 특별전형, 수시일정이 대부분 끝나고, 2011학년도 후기전형(수시, 특별전형)이 한창이다. 현재 서울대에서는 특별전… 더보기

한국대학 진학을 위한 필수사항

댓글 1 | 조회 3,167 | 2011.01.19
필자가 지난 수년간 한국대학 진학 상담을 하고 실제로 합격한 학생과 낙방한 학생들의 사례를 토대로 한국대학 진학을 위한 최소한의 준비 사항을 나열하여 보도록 하겠…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511 | 2011.01.11
2011년 한 해가 시작되고 대부분의 업무가 정상화 되어가고 있다. 지난 칼럼에서 언급하였다 시피 매년 수시전형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입학 사정관제…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505 | 2010.12.28
2010 신년 벽두부터 동계올림픽과 축구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에서 기쁜 소식들이 날아오는가 싶더니,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 등 엄청난 사건들이 조국 대한민국에 벌…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2,451 | 2010.12.13
한국대학 수시전형 어제로서 거의 대부분의 한국 대학들의 수시모집 합격자 발표가 끝나고 이제 정시 모집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정시 모집이라 함은 한국에서 대학입학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3,074 | 2010.12.04
매년 여러 기관에서 세계대학 랭킹을 발표하고 있고 다른 나라도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유난히도 대학 순위에 관심이 높다. 그래서 순위가 발표될 때 마다 모든 신문이 … 더보기

최성길의 한국대학 바로보기

댓글 0 | 조회 3,193 | 2010.11.30
1991년 뉴질랜드가 이민법을 개정하고 투자이민과 일반이민을 대폭 받아들이면서 한국에서도 민족의 대이동(?)으로 이곳 뉴질랜드 땅에 한국교민이 본격적으로 이민오기… 더보기

한국대학 바로보기 - 한국대학 특별 전형(2)

댓글 0 | 조회 3,517 | 2010.11.15
한국교민으로서 외국인 특별전형 카테고리에 들 수 있는 경우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첫 번째로 부모님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민 와서 뉴질랜드 시민권을 … 더보기

외국인 특별전형(1)

댓글 0 | 조회 4,013 | 2010.11.02
예로부터 한국에는 중요한 ‘삼’이 3가지가 있는데, 산에는 산삼이 최고요, 바다에는 해삼이 최고라는 말이 있어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정에는 고3이 있다고들 한다… 더보기

아버지와 자녀의 전쟁

댓글 0 | 조회 1,799 | 2013.11.26
J선생님은 부인의 권유로 상담에 오셨습니다. 아들이 대학을 위해 공부를 해야 하는 데 인터넷 게임을 너무 많이 하므로 아버지께서 인터넷 사용을 감시하고 매일 밤 … 더보기

우리 부부는 적군인가 아군인가

댓글 0 | 조회 2,039 | 2013.11.12
한 지붕 아래에서 적군과 대치하는 경험을 해 보지 않은 부부는 없을 것이다. 서로 가까이 있으니 수시로 전쟁을 치룬다. 미워도 그만큼 미운 적군은 세상에 없다. … 더보기

사랑하는 사람과의 동침 OR 적과의 동침

댓글 0 | 조회 2,100 | 2013.10.22
여성들은 종종 자신은 적과 동침한다고 한다. 왜 그렇게 사느냐 물으면 남편이 생활비를 주니까, 아이들이 어리니까, 이혼녀가 되는 것이 두려워서, 키워주신 부모님을… 더보기

가족이란 만병의 원인 또한 만병 통치 약!

댓글 0 | 조회 1,519 | 2013.10.09
부제: 자녀가 말을 듣지 않는다. 이민 정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어려움으로 인해 가정이 해체되거나 혹은 심한 갈등과 고통 속에 있다. 한국에서의 모든 것을 뒤로 하… 더보기

근심 걱정 두려움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법

댓글 0 | 조회 3,489 | 2013.09.25
의사였던 빅터 프랭클이 악명 높은 유대 수용소에 있을 때 건강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차이를 조사를 했다. 그가 발견한 것은 심리적 차이였다. 근심 걱정 두… 더보기

감정 조절

댓글 0 | 조회 1,412 | 2013.09.10
감정 조절은 가정이나, 일터, 그리고 가까운 이들과의 좋은 관계 유지를 위해 상당히 중요하다. 감정이 일어나는 대로 표현을 하고 나면 후회가 따르고 관계에 어려움… 더보기

좋은 관계 유지

댓글 0 | 조회 1,618 | 2013.08.28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이 우리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중요하다. 좋은 관계는 우리의 정신을 건강하게 하지만 관계가 깨어 지면 몸과 마음이 병든다. 또한… 더보기

자기 비하

댓글 0 | 조회 1,973 | 2013.08.13
자기 비하로 고통 하는 분들이 있다. 자기 비하가 심하면 자신을 존중하기 어렵고 자신이 가치 없는 존재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자신감도 떨어지고 항상 불안해 하며 근… 더보기

누구나 내 안에서 들려오는 목소리가 있다

댓글 0 | 조회 1,449 | 2013.07.23
누구나 내 안에서 들려 오는 목소리가 있다. 그 목소리는 우리를 기쁘게도 하고 슬프게도 한다. 때로는 우리를 슬프게 하는 목소리가 우리 자신을 지배할 때가 있다.… 더보기

우리가 염려하는 것들...

댓글 0 | 조회 1,487 | 2013.07.09
뉴질랜드에 아시안 이민을 본격적으로 받아 들인지 20년이 지나고 있다. 많은 어려움을 이겨내면서 정착 해 온 이민 1세대는 서서히 현장에서 물러나고 현지에서 교육… 더보기

대화가 안 돼(?)

댓글 0 | 조회 1,425 | 2013.06.25
일을 하다 보면 가끔 사춘기 자녀를 가진 부모님과 이야기 할 기회가 있다. 그들의 여러 가지 고충들을 듣고 있노라면 이민 사회에서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여러 가지 … 더보기

당신이 꿈꾸는 노년은....

댓글 0 | 조회 1,947 | 2013.06.11
인간의 오랜 열망이었던 장수의 꿈이 실현되어가고 있다. 자녀양육과 직장에 얽매인 이전까지의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꿈 꿀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장수… 더보기

Compatibility Mode

댓글 0 | 조회 1,329 | 2013.05.28
‘How to be a friend to a friend who’s sick’(아픈 친구에게 친구되어 주기)의 저자 레티 (Le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