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을 위한 요가 (Yoga for depression)-Ⅲ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우울증을 위한 요가 (Yoga for depression)-Ⅲ

0 개 3,070 박희배

선 활 자세(Standing Bow Pose)


엎드려서 하는 활 자세를 하기 전에 준비 자세로써 선 활 자세를 먼저 해보기로 한다. 선 활 자세는 요가에서 이야기하는 ‘지혈대’ 효과를 지니고 있는 대표적인 동작이다. 이 동작은 신체의 한쪽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의 혈액순환을 돕는다. 신선한 혈액이 신체의 모든 조직에 유지되어 건강을 유지하게 한다. 집중력, 인내심, 단호함을 길러주며 발바닥을 견고히 지면 위에 붙인 뒤에 숨을 들이쉬며 팔을 머리 위로 쭉 뻗어 올려서 복식호흡을 하는 전신 스트레칭을 하면서 이때 근심과 걱정, 화, 묵은 감정의 찌꺼기를 내뿜어낸다고 생각하면 우울증이나 염려증 같은 기분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복부와 허벅지, 팔, 엉덩이 부위의 근육을 강화해서 탄력 있는 몸으로 바꿔준다. 폐의 크기와 흉곽의 탄성을 증가시키며 요추를 유연하게 만들어주며 요추 주위의 근육을 강화한다.

<준비 동작>

1. 오른손은 옆구리에 두고 왼손은 머리위로 들어 올린다. 오른 무릎을 구부려 다리 안쪽에서 오른손으로 발목을 잡는다. 이때 오른쪽 어깨가 앞에서 보이지 않도록 뒤로 숨긴다.
오른손이 발목을 잡고 왼손이 위로 뻗은 준비자세가 완료 되면 본격적인 동작을 시작한다.
2. 자세 균형이 잡히면 서서히 숨을 내쉬며 왼팔과 손끝을 뻗어 가슴이 바닥과 평행선을 이루도록 몸을 앞으로 기울인다. 동시에 오른 다리를 위로 들어 올리면서 오른 손으로 발등을 위 안쪽으로 세게 잡아 당긴다. 이때 특히 오른 허벅지를 많이 들어 올리도록 애쓰고 시선은 앞쪽으로 두고, 배꼽을 끌어당기듯이 해서 복부가 처지지 않도록 한다.


활 자세 (Bow Pose)


- 상반신과 하반신을 동시에 들어 올리는데 ‘ 코브라 자세’와 ‘메뚜기 자세’의 결합자세이며, ‘쟁기자세’와 ‘앞으로 굽히기 자세’의 상반된 자세이다.
- 궁수가 활을 뒤로 당기는 듯 손을 등 뒤로 뻗어 두 다리를 잡고 당기게 되면 몸은 곡선을 그리며 휘게 된다.
- 근육을 뒤로 젖혀 생기를 띄게 되어 자신감과 활력을 주고, 답답한 가슴을 후련하게 해주어 우울증에 많은 도움이 된다.
- 신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나온 배를 들어가게 하며 복부 근육을 강하게 마사지하는 효과가 있어 복부 내장기관의 조화를 돕는다
- 척추 전제의 유연성과 힘을 길러주며 몸 전체의 체지방을 제거하고 어깨와 무릎관절을 튼튼하게 만든다.
- 요추 후굴력 강화 및 단전강화로 척추 각 마디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변비, 불감증, 위장장애, 신장, 방광기능을 개선시킨다.
- 하복부에 쌓인 지방을 제거해 허리와 배를 슬림하게 해주고, 힙업에 도움이 된다.

 <준비 동작>
- 엎드려 이마를 바닥에 대고 무릎은 어깨 넓이만큼 벌린다. 숨을 마시며 양 무릎을 구부려 올리고 양손으로 발목을 잡는다. 숨을 내쉰다.
- 숨을 마시며 머리와 가슴을 들어 올리면서 동시에 발목을 잡아 당겨 무릎과 허벅지를 바닥에서 들어 올린다. 시선은 위를 향하고 이 자세로 5초~10초 정도 멈춘다. 이때는 평상시 호흡을 유지한다. 숨을 내쉬며 양 다리와 팔, 머리를 바닥에 내려 놓는다.
- 이때 주의할 점은 양 다리와 양 무릎이 벌어지지 않도록 모으려 노력한다.
- 양 무릎 사이가 골반너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두 다리와 무릎 높이를 맞춘다.
- 상체의 각도와 다리의 각도가 일치되도록 노력한다. 상체만 올라가거나 하체만 올라가면 무리가 온다.
- 팔 다리를 들어 올렸을 때 목을 쭉 뽑아 올리듯이 목 앞 선을 늘려주고, 항문 괄약근을 조여주며 엉덩이를 수축시킨다.
- 허리가 약한 경우에는 하체를 먼저 올리고, 그 다음에 상체를 들어 올린다.

노년기의 일과 행복

댓글 0 | 조회 1,976 | 2012.04.11
“우리 집사람 또 일냈어! 집에서 그냥 쉬는 꼴을 못 봐요. 2년전 까페를 정리하면서 이젠 마지막이 될 꺼라고 말했었는데…… … 더보기

정신건강 스스로 지킬 수 있다

댓글 0 | 조회 2,018 | 2012.03.28
세계는 이미 고령화시대로 접어들었다. 뉴질랜드 노인의 인구가 12%를 넘었고, 2031년 되면 21%를 넘을 추세이다. 이는 베이비붐 때 태어난 분들이 만 65세… 더보기

노년기의 사랑

댓글 0 | 조회 3,208 | 2012.03.14
“사랑에 빠지기는 쉬우나 사랑하는 사람과 오래도록 함께 하는 것은 정말 특별하다” 지난 2월 14일 ‘발렌타이데이’ 날… 더보기

나는 어떤 사람인가?

댓글 0 | 조회 1,997 | 2012.02.28
직업상 이런 저런 다양한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이젠 제법 연륜이 생겨 처음 보는 사람과도 몇 마디 대화를 나누다 보면 그 사람의 내면이 어떤 상태에 있는… 더보기

아픔도 아픔을 치유한다

댓글 0 | 조회 1,823 | 2012.02.15
언젠가 두통이 심하고 몸이 너무 피곤해 한의사를 찾은 적이 있습니다. 저를 침대에 눕힌 한의사는 제 목과 머리 여러 곳에 침을 꽂았습니다. 침이 가늘어 아프지는 … 더보기

기쁨과 슬픔은 같은 말?

댓글 0 | 조회 1,806 | 2012.01.31
지난 2010년 11월 19일 오후, 뉴질랜드 남섬 그레이마우스(Greymouth) 북동쪽 46km 지점에 위치한 파이크 리버(Pike River) 광산에서 폭발… 더보기

개인적 책임감

댓글 0 | 조회 1,762 | 2012.01.18
지난 호에서 정신 건강에 가장 도움이 되는 희망이야기를 드렸습니다. 희망을 가지는 것과 아울러 또한 우리 삶에 역동을 주는 중요한 정신건강 무기(Wellness … 더보기

내가 선택하는 나의 희망과 꿈

댓글 0 | 조회 2,102 | 2011.12.23
몸에 병이 있어도 삶은 풍성할 수 있다. 정신 건강에 좋은 무기 (Wellness Tools)를 개발하면 그것이 풍성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용기를 주며, 움직이게… 더보기

Compatibility Mode

댓글 0 | 조회 2,018 | 2011.12.14
11월에 개봉된 영화 ‘완득이’가 300만 관객 돌파로 화제가 되고 있다. 영화 <완득이>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던 기존의 흥미 위… 더보기

정신 병리와 WRAP

댓글 0 | 조회 2,331 | 2011.11.23
정신 병리란 정신 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병적인 정신 현상, 즉 비정상적인 사고, 감정, 의식, 지각 따위를 말합니다. 여기에서 비정상적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의… 더보기

정신질환에 대한 일반인의 편견

댓글 0 | 조회 2,439 | 2011.11.09
정신 질환만큼 사회의 편견이 심한 질환도 드물며 이러한 편견은 정신 질환자를 사회로부터 격리시키고, 재활을 막는 두터운 장벽이 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더보기

나는 언제나 청춘

댓글 0 | 조회 2,068 | 2011.10.26
삼 세대가 함께 사는 어느 가족이야기가 떠오릅니다. 치매에 걸려 여러 번 값비싼 사기접시를 깨뜨리신 할머니가 못마땅해 어느 날 어머니는 아들에게 시장에 가서 할머… 더보기

내겐 너무 소중한 당신

댓글 0 | 조회 2,093 | 2011.10.12
여러분은 전등불도, 달빛도 없는 깜깜한 밤 시골 길을 걸어 보신적이 있으십니까? 얼마 전 일간지에 실린 한 일본인의 긍정의 시각을 빌려, 어려움 속에서 희망과 긍… 더보기

나에게 박수를

댓글 0 | 조회 2,012 | 2011.09.28
최근 한 분의 정신 건강 관련 전문의 강연에서 느낀 것들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자기 스스로를 사회로부터 소외 시키는 삶은 여러가지 모양의 질병으로 나… 더보기

당신 괜찮아요, 우리가 있잖아요

댓글 0 | 조회 1,965 | 2011.09.14
많은 사람들이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다른 사람의 마음의 마음에 상처를 준 기억을 떠 올립니다. 정말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일로 다투었던 나와 주변 사람들... 내가… 더보기

저 사람은 앵거 메니지먼트가 필요해?

댓글 0 | 조회 2,280 | 2011.08.24
이번 호에서는 필자가 평소 일선에서 느꼈던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그 동안 변변치 않은 제 글을 읽어 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일선에서 일을 하다… 더보기

정신 건강 재활 이야기

댓글 0 | 조회 2,199 | 2011.08.10
지난 호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할 뿐이다. 그 중 많은 분들이 정신재활의 뜻은 알고 동의는 하겠는데 과연 그것이 가능할까라는 의구심을 표현해 주시는… 더보기

정신 건강 재활이란?

댓글 0 | 조회 2,175 | 2011.07.27
지난 호에 이어 필자는 이번 호에도 할리우드 여배우 캐서린 제타존스 이야기로 시작을 해야겠다. 지난 4월 그녀가 조울증으로 재활센터에 입원한다는 기사가 나왔을 때… 더보기

정신 건강 대상자란?

댓글 0 | 조회 2,182 | 2011.07.12
필자가 지난 번 한국에 갔을 때, 정신건강 관련분야에서 일하는 내게 주어지는 많은 질문 중 대부분은 필자가 “과연 어떤 사람들과 일하는 것이냐”라는 것이다. 필자… 더보기

아픈 사람을 미친 사람으로?

댓글 0 | 조회 2,630 | 2011.06.29
넉넉하지 못한 살림에 많은 자식을 키우신 어머니는 늘 가슴이 답답하고, 손발은 차지만 심장이 뜨거워서 잠을 못 주무신다고 하소연하셨다. 어려운 시절에 농사짓고 살… 더보기

병은 자랑하라?

댓글 0 | 조회 2,909 | 2011.06.14
딸아이에게 남자 친구가 생겼다. 물론 딸아이의 남자 친구가 첫눈에 반가울리 없었지만 보면 볼수록 예의 바르고, 직업도 그만하면 쓸만한 것 같고, 또한 이 아이가 … 더보기

마음의 감기

댓글 0 | 조회 2,264 | 2011.05.24
친구에게 ‘마음의 감기’가 찾아왔다. 그녀는 새삼스레 뉴질랜드에서의 삶을 몹시 힘겨워하며 “잠을 잘 못 자” “식욕이 없어” “그냥 우울해” 라고 자기의 고통을 … 더보기

영국인의 적응장애와 한국인

댓글 0 | 조회 2,508 | 2011.05.11
“영국에서 온 젊은 선생님이 불안, 초조하고 잠을 못잔대” “그래서 직장에도 잘 못 나가고 가정에 불화가 생겨서 집안이 엉망이래”.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서 매일 … 더보기

몸과 마음을 사랑해야 할 때

댓글 0 | 조회 2,280 | 2011.04.27
가족이 ‘운명공동체’라는 생각은 한국인들이 즐겨 쓰는 “우리가 남이냐?”라는 말로 대변됩니다. 이 말은 술자리에서뿐만 아니라 어느 조직에서나 널리 쓰이는 한국인들… 더보기

마음의 근육 늘리기

댓글 0 | 조회 2,443 | 2011.04.13
“마음의 근육 늘리기”라는 한 한국방송을 본적이 있습니다. 물질적인 풍요가 가져다 주지 못하는 ‘마음의 평화’ 그리고 ‘행복’을 찾기 위해 많은 이들이 명상센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