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일베이→오클랜드(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웨일베이→오클랜드(Ⅱ)

0 개 1,790 코리아포스트
오클랜드로 귀환

화려한 아침 겸 점심 식사를 마치고 오클랜드로 향했다. 좋은 음식을 먹어서인지 더 이상 피곤한 기색이 보이지 않는다. 남쪽으로 내려가는 고속도로 옆으로 집들이 많이 보이기 시작했다. 북쪽 사면에 가지런하게 세워진 정북향 집들을 보며 도시에 가까워진 것을 느꼈다.(뉴질랜드의 좋은 동네는 대부분 '해변' 혹은 '북쪽 언덕'의 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따뜻하고 밝은 햇볕을 더 많이 받으려는 이유에서이다. 북반구인 한국에서는 남쪽으로 향한 집을 좋아하지만 남반구인 이곳에서는 '북향집'을 최고로 친다.) 봉주 형님이 웃으며 '오랫만에 사람들 보니까 반갑다'고 한다. 맞다. 뉴질랜드의 한적한 곳들을 며칠 여행하다 보면 도시에서 만나는 낯선 사람들까지 귀하고 반갑게 느껴진다.

오클랜드의 원래 이름은 타마키 마카우 라우(Tamaki Makau Rau)로, '100명에게 사랑받는 지협(Isthmus 아주 얇게 연결된 땅, 파나마나 수에즈 같은 곳)'이란 뜻이다. 뉴질랜드 최대 도시인 오클랜드는 잘 가꿔진 숲과 현대적인 건물, 해변과 요트, 화창한 날씨가 한데 어우러진 남태평양 최대의 도시다.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5위안에 속하는 곳이다. 현재 오클랜드 인구가 130만 정도(2007년 6월 기준)니까, 뉴질랜드 전체 인구의 3분의 1이 이곳에 산다. 도시의 세련됨과 자연의 생명력에 덧붙여 세계 각국의 문화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 도시가 바로 오클랜드라고 할 수 있다.

오클랜드 시 외곽의 타카푸나 비치 홀리데이파크에 캠퍼밴을 세우고 뉴질랜드 최대 도시의 중심가를 구경하기 위해 택시를 불렀다. 캠퍼밴은 도시 중심부에 가져가기에는 주차가 부담스럽고, 혹시나 가벼운 와인이라도 한 잔 한다면 운전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에는 손님을 태우려고 빈 차로 돌아다니는 택시가 없다. 공해를 줄이고 기름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이다. 그래서 반드시 콜택시를 불러야 한다. 10여 분쯤 지나자 흰색의 중형 택시가 도착했다. 이곳의 택시 운전기사들은 안전 제일주의를 원칙으로 삼는데다가 승객을 태우고 있는 동안에는 운행비용이 짭짤하게 올라가기 때문에 결코 서두르는 법이 없다. 택시의 미터기 옆에 'Soiling Fee: $500'이라고 쓰인 큼지막한 스티커를 보고 허영만 화백이 운전기사에게 묻는다.

"Soiling Fee가 무슨 뜻입니까?"

"차량 내부에 토하면 벌금 500달러(약 35만원)라는 뜻입니다."

"하하, 농담이시죠. 구토 한 번에 벌금 500달러라니...."

"농당이 아닙니다. 미안하지만 진담이에요. 아파서 그런 건 괜찮지만, 술 먹고 토하면 무조건 500달러지요. 승객들 얼굴 보니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하"

금액이 너무 비싸 농담인 줄 알았더니, 운전기사가 웃으며 사실이란다. 하루 동안 영업도 못 하고, 차에 밴 악취에 불쾌감까지 감안하면 그 정도는 오히려 적은 금액이란다. '정신 바짝 차리자!'

택시에서 내려 오클랜드 시내를 돌아다녔다. 나와 허영만 화백의 검게 탄 얼굴이나 늘 동상이 빠질 만하면 다시 얼어 성할 날이 없는 박영석 대장은 깨끗하고 화려한 오클랜드 거리와는 도통 어울리지 않는다. 도시 한가운데 서 있으나 꿔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부자연스럽고 어색한 모습에 서로 웃었다. 그나마 피부가 흰 봉주 형님이 우리 중 제일 나았다. 그는 허영만 화백의 아주 오랜 친구이다. 허영만 화백의 만화 어느 페이지에 불쑥 나타나 때론 주인공의 주변을 맴돌기도 하고, 엑스트라로 잠깐 출연하기도 했다. 봉주 형님의 모습이 그려지지 않은 허 화백의 작품은 거의 없다. 그런데 약간은 어눌하게 표현되는 만화에서와는 달리 실제 그의 모습은 아주 호탕하다.

다인종 국가인 뉴질랜드에는 마오리인, 퍼시픽 아일랜더, 유러피안, 아시안이 골고루 섞여 있어서 우리 일행이 눈에 뜨지 않게 다닐 수 있었다. 오클랜드 시내의 고풍스러운 옛 건물 사이로 해가 넘어가자 가로등이 켜지기 시작한다. 백 년이 넘은 건물들이 그대로서 있어 편안한 영국풍의 거리가 이국적이다.

수백만 불짜리 요트들이 즐비한 아메리카스 컵 하버에 있는 카페에서 간단히 저녁을 먹고, 산책 삼아 지나가는 사람들과 오래된 건물들을 건성건성 보며 다녔다. 마주오는 사람들 중에 한국인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몇몇 눈에 띈다. 저녁 9시 가까이 되자 이 큰 도시의 불빛들이 대부분 꺼지기 시작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넬슨→골든 베이(Ⅲ)

댓글 0 | 조회 1,821 | 2010.02.10
와이코로푸푸 스프링스이곳 골든 베이에… 더보기

넬슨→골든 베이(Ⅱ)

댓글 0 | 조회 1,993 | 2010.01.27
1. 중국 음식 주문하기저렴한 가격의… 더보기

넬슨→골든 베이(Ⅰ)

댓글 0 | 조회 2,513 | 2010.01.12
"북섬이여, 안녕!" 남섬으로 내려가… 더보기

파라파라우무→웰링턴(Ⅱ)

댓글 0 | 조회 2,093 | 2009.12.22
바람과 자진의 도시 웰링턴오후 3시 … 더보기

파라파라우무→웰링턴(Ⅰ)

댓글 0 | 조회 1,955 | 2009.12.08
어제 잠들기 직전부터 슬그머니 가족들… 더보기

통가리로 국립공원→와이오우루(Ⅱ)

댓글 0 | 조회 2,281 | 2009.11.25
통가리로 국립공원에서 와이오우루 군인… 더보기

통가리로 국립공원→와이오우루(Ⅰ)

댓글 0 | 조회 1,843 | 2009.11.10
밤새도록 불던 강풍과 우박이 아침이 … 더보기

타우포(Ⅲ)

댓글 0 | 조회 1,832 | 2009.10.27
우리가 오늘 저녁 야영하는 곳은 통가… 더보기

타우포(Ⅱ)

댓글 0 | 조회 1,916 | 2009.10.14
허영만 화백은 한참을 망설이다가 젖은… 더보기

타우포(Ⅰ)

댓글 0 | 조회 1,776 | 2009.09.22
드디어 아침이 밝았다. 허영만 화백은… 더보기

로토루아→타우포(Ⅱ)

댓글 0 | 조회 1,917 | 2009.09.09
하지만 이러한 단순 구조는 튼튼한 피… 더보기

로토루아→타우포(Ⅰ)

댓글 0 | 조회 2,109 | 2009.08.26
우리가 묵은 블루레이크 Top 10 … 더보기

해밀톤→로토루아(Ⅲ)

댓글 0 | 조회 1,788 | 2009.08.12
마오리 전통 공연을 보다저녁 시간에 … 더보기

해밀톤→로토루아(Ⅱ)

댓글 0 | 조회 1,965 | 2009.07.29
로토루아는 도시 전체가 화산 활동이 … 더보기

해밀톤→로토루아(Ⅰ)

댓글 0 | 조회 2,162 | 2009.07.15
박영석 대장의 빈자리가 벌써 허전하다… 더보기

오클랜드→포케노(Ⅲ)

댓글 0 | 조회 2,061 | 2009.06.23
뉴질랜드에 오면 낚시가 왜 스포츠인지… 더보기

오클랜드→포케노(Ⅱ)

댓글 0 | 조회 1,647 | 2009.06.10
난민이 새로 정착하고 사회에 적응하려… 더보기

오클랜드→포케노(Ⅰ)

댓글 0 | 조회 2,004 | 2009.05.26
"똑똑똑" "쾅쾅" 놀라 일어나 문을… 더보기

현재 웨일베이→오클랜드(Ⅱ)

댓글 0 | 조회 1,791 | 2009.05.14
오클랜드로 귀환 화려한 아침 겸 점심… 더보기

웨일베이→오클랜드(Ⅰ)

댓글 0 | 조회 1,848 | 2009.04.29
박영석 대장에게는 독특하고 훌륭한 성… 더보기

케이프 레잉가→왕가레이(Ⅱ)

댓글 0 | 조회 1,634 | 2009.04.16
걷는 것이라면 언제든지 환영인 우리 … 더보기

케이프 레잉가→왕가레이(Ⅰ)

댓글 0 | 조회 2,856 | 2009.03.25
캠퍼밴에서 맞는 뉴질랜드의 아침은 날… 더보기

세계 4대 자동차 경주(Ⅱ)

댓글 0 | 조회 1,921 | 2009.03.11
지난 호를 통해 세계 4대 자동차 경… 더보기

베이 오브 아일랜드(Ⅲ)

댓글 0 | 조회 2,278 | 2009.03.25
뉴질랜드의 육류가 다른 나라에 비해 … 더보기

베이 오브 아일랜드(Ⅱ)

댓글 0 | 조회 1,537 | 2009.02.25
베이 오브 아일랜드는 안전하고 풍요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