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유학으로 성공하는 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조기유학으로 성공하는 길

0 개 3,657 코리아포스트
한국에서 더이상 조기유학은 특별한 사교육이 아니다. 매년 수 만명의 사람들이 영어를 배우기 위해, 더 좋은 교육 환경을 위해 큰 고생을 감수하고 유학길에 오른다. 중산층 이상 자녀들은 영어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 조기/단기 유학 및 학원교육, 국제중학교와 고등학교 혹은 특목고를 거쳐 국내외 유명한 대학으로 이어지는 정형화된 엘리트 코스를 거치게 된다.

우리는 대학교 과정이전에 유학을 한다면 보통 조기유학이라 일컫지만, 최근에는 더 일찍 시작해야 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유치원 때부터 조기유학을 찾는 부모님이 많다. 하지만 아이들이 일찍 온다고 해서 모두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하는 것은 아니다. 오늘은 조기유학을 잘 진행할 수 있도록 몇가지 팁을 제시하도록 한다.

먼저 뉴질랜드의 학제부터 살펴 보아야 하겠다. 뉴질랜드는 한국보다 1~2년 먼저 공교육을 시작하게 된다. 아래의 표를 살펴 보면 이해가 더욱 쉬울 것이다.
 
뉴질랜드의 초등교육은 만 5세부터 시작된다 (Year 1). 이는 매년 학기 초에만 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한국의 교육 시스템과는 다르다. 생일이 지나 즉, 만 5세가 되는 학생이면 누구나 학기 중간에도 학교에 입학할 수 있다. 따라서 Year 6, 만으로 11세까지만 초등교육을 받게 된다. 보통 12세 이전에 유학을 오는 아이들은 언어 습득능력이 월등히 뛰어나기 때문에 따로 어학연수없이 학교에 입학할 수 있다. 하지만, Year 7이나 8에 해당되는 학생들은 보통 1달에서 2달정도 어학연수를 권장한다. 짧게라도 언어습득 기회를 가지면 보다 안정적으로 학교 생활에 임할 수 있기 때문이다. Year 9이후에 유학을 오는 학생들에게는 적어도 3개월의 어학연수 준비기간이 필요하다. 이는 학교에 입학했을 경우, 학업을 더 잘 이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 위해서다. 뉴질랜드의 NCEA는 Year 11부터 시작하게 된다. 한국과 비슷한 수준의 교육을 받게 되지만, 과목수는 훨씬 적기 때문에 부모님들은 자신의 아이가 학교에 바로 입학하기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역시 영어가 모든 수업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므로, 어학연수로 기본을 다지고 준비해서 학교에 입학했을 때 유학으로 더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다. 요즘은 학교에서 자체 내에 랭귀지코스를 운영하는데 이른바 Reception Course/ESOL혹은 International Class라고도 한다. 그리고, Year 11부터 Year 13에 해당되는 학생들은 시간이 조금 걸리지만 한 학년 낮추는 방법이 권장된다. 그리고 매년 첫 학기에 입학하는 것이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인 유학생들의 대학교 졸업률이 그다지 높지 않은 것도 어학실력없이 입학에만 치중을 둔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NCEA나 Cambridge 혹은 IB 프로그램을 공부하는 게 좋은데, 유학을 너무 늦게 시작하여 영어 학점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학생의 경우라면 칼리지에서 계속 공부하는 것보다 오클랜드 대학교 파운데이션 과정, AUT파운데이션 등의 과정을 이수하는 것이 유리하다. 파운데이션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 사람은 대학교 입학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대학교 파운데이션 과정을 마치면 호주 대학교 즉 Monash University, University of Adelaide, ANU등에도 입학이 가능하여 선택의 폭이 넓다. 따라서 Year 12를 마치고, Year 13대신 파운데이션 프로그램에 입학하는 것도 대학입학에 또 다른 방법이라 하겠다.

한국의 입시 경쟁은 상상을 초월한다. 하루 24시간을 기계처럼 살아야 하는 많은 아이들을 보면서 한국에 있는 많은 부모님은 오늘도 이민에 대한 생각을 저 버릴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뉴질랜드를 가만히 들여다 보면 우리처럼 긴장감이 많지 않다. 그것은 서로가 처한 환경이 다르고 문화적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와 동등하게 비교할 일은 아니지만 일부 사립학교를 제외하고는 공부를 너무 안 한다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조금은 느슨하고, 개인의 창의성을 존중해 주는 이런 뉴질랜드의 교육도 중요하고 좋지만, 우리 한국인만이 가지고 있는 인내와 끈기 그리고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방식도 중요한 면을 가지고 있다. 고등학교 내내 공부는 멀리하다, 대학교에 가면 무엇이든지 잘 될거라는 상상은 큰 오산이기 때문이다. 칼리지의 3년은 내 미래의 30년을 성장시킬 수 있는 큰 밑거름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시니어 칼리지, AIC국제고등학교, 오클랜드 그래머 등의 학교들이 한국인에게 항상 인기 있는 이유가 아닐까 생각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 5대 모터쇼 (Ⅱ)

댓글 0 | 조회 3,525 | 2011.03.23
도쿄 모터쇼도쿄 모터쇼는 아시아 지역에서 개최되는 국제 모터쇼 중에서 유일하게 세계적 권위를 가진 모터쇼라고 할 수 있다. 지난 1954년 전 일본 자동차 쇼라는… 더보기

세계 5대 모터쇼 (Ⅰ)

댓글 0 | 조회 4,020 | 2011.03.09
모터쇼는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의 새로운 기술과 디자인을 선보이는 무대로 팔리고 있는 모델뿐 아니라 앞으로 나올 컨셉트카들이 미리 공개되는 무대이다. 또한 자동차 … 더보기

차량 절도를 예방하는 방법

댓글 1 | 조회 3,980 | 2011.02.22
색상이 주는 절도의 위험률현대식 차량의 대부분은 차량의 장착되어 있는 도난 방지 장치로 인해 많은 보호를 직,간접적으로 받고 있다. 하지만 더욱 기술화 된 지능범… 더보기

교통 체증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

댓글 0 | 조회 3,842 | 2011.02.09
교통 체증은 평이적으로 통행하는 차량이 동시간대에 동일한 장소에서 과도한 밀집 현상으로 통행이 원활하지 못하여 생기는 현상이다.대도시에서는 심각한 교통 체증으로 … 더보기

2010년의 자동차 이슈 (Ⅱ)

댓글 0 | 조회 3,447 | 2011.01.26
하이브리드 차량2008년부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전년대비 판매량이 약간 감소하였다. 연초 도요타 리콜 사태의 영향도 있다는 전문가들의 … 더보기

2010년의 자동차 이슈 (Ⅰ)

댓글 0 | 조회 3,509 | 2011.01.14
최대 자동차 시장은 역시 중국2010년에도 중국이 2년 연속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등극했다.중국의 작년 자동차 생산과 판매량이 모두 1천 800만대를 돌파하… 더보기

모터사이클

댓글 0 | 조회 3,838 | 2010.12.22
뉴질랜드의 휘발유 값이 인상되어 많은 자가운전자들의 불만은 커져만 간다. 뉴질랜드와 호주에서 큰 인기를 모았던 HOLDEN과 FORD의 대 배기량 승용차의 판매율… 더보기

일본 자동차 빅3의 사업 전략

댓글 0 | 조회 3,567 | 2010.12.08
일본의 자동차 빅3는 토요타, 혼다, 닛산을 말한다. 일본의 빅3가 미국 본토 시장에서 미국의 GM, 포드, 크라이슬러의 3사 즉 미국의 빅3의 판매량을 추월했다… 더보기

여름철 차량의 관리

댓글 0 | 조회 3,986 | 2010.11.24
여름철에는 차량이 열에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하여 차량을 관리 점검하여야 한다.타이어지면을 직접 접촉하는 타이어는 열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 더보기

2011년 자동차 시장의 전망

댓글 0 | 조회 5,255 | 2010.11.10
자동차 시장의 화두는 역시 중국이다. 2009년에 폭발적인 성장을 거쳐 2010년 지속적인 성장 궤도를 보이고 있다.금년 자동차 판매량은 1,700만대로 전년 동… 더보기

F1 코리아 그랑프리(Korean Grand Prix)

댓글 0 | 조회 3,384 | 2010.10.28
영암군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2010 F1 월드 챔피언십의 19개 대회 가운데 17번째 그랑프리가 한국에서 첫 선을 보였다.한국은 이번 F1 그랑프리의 유치… 더보기

친환경 신차들의 축제(파리 모터쇼)

댓글 0 | 조회 3,549 | 2010.10.13
세계는 친환경적 사업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19세기 고도의 산업 성장을 거듭해 오면서 그에 따른 역기능 중 하나인 환경오염과 그 피해는 이미 널리 알려… 더보기

국가별 자동차 통행법과 유래

댓글 0 | 조회 4,370 | 2010.09.28
자동차의 운전석을 보면 보통 우측 핸들과 좌측 핸들 두가지로 구분된다.한국에서 오랜 시간 운전을 하던 사람이 뉴질랜드에 와서 오른쪽 핸들의 차량을 운전하다 보면 … 더보기

자동차의 신금속

댓글 0 | 조회 4,188 | 2010.09.16
자동차의 구조를 보면 대부분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 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대에는 연비 효율을 높이고 차체를 가볍게 하기 위해서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 더보기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차량의 발전

댓글 0 | 조회 3,908 | 2010.08.25
2008년 5월에 소개 되었던 대체 에너지에 개발과 발전에 대하여 기고 하였을 때만 하여도 차량의 접목시켜 개발하여가는 과정이었다.2년이 조금 넘은 시점에서 이 … 더보기

공기가 필요 없는 타이어 - Tweel

댓글 0 | 조회 4,971 | 2010.08.10
뉴질랜드의 날씨는 화창하다가도 갑작스런 폭우로 인해 서행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같은 문제 때문에 자동차 도로 공사를 하거나 새로 길을 만들 때 폭우로 인한 사… 더보기

엔진제어유닛의 발전

댓글 0 | 조회 3,647 | 2010.07.27
자동차는 과학의 발전과 함께 많은 부분들이 전자화 되어 가고 있다. 단순히 교통수단으로 상용되어 왔던 자동차는 디자인의 발전으로 패션 문화의 일부분이 되었으며 각… 더보기

자동차 환경 규제

댓글 0 | 조회 3,377 | 2010.07.13
지구 온난화가 전세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와 훗날 이것이 야기할 재난에 대한 위기감이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기상이변으로 인한 … 더보기

자동차 - 로봇 시대의 시작

댓글 0 | 조회 3,251 | 2010.06.23
자동차가 위험을 판단하고 스스로 제어한다. 최단 거리를 계산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알아서 운전을 한다. 과거 외화 시리즈 ‘전격 Z 작전’에 나오는 ‘키트’… 더보기

자동차의 패밀리룩(Family look)

댓글 0 | 조회 3,832 | 2010.06.10
유명 자동차 브랜드는 저마다의 패밀리룩을 가지고 있다. 패밀리룩이란 같은 회사에서 생산하는 자동차에 일관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다. 엠블렘이 그 회사의 대표 이… 더보기

자동차 기업의 상징 엠블렘(EMBLEM)- I

댓글 0 | 조회 2,870 | 2010.06.08
자동차에 있어서 엠블렘은 그 심벌 하나만으로 흥분하고 즐거운 기억을 되살리며, 그 로고만으로 회사를 알 수 있고 운전자의 부를 가늠하는 척도로 사용 될 수 있는 … 더보기

자동차 교통사고

댓글 0 | 조회 3,082 | 2010.05.25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자동차 1만 대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3.17명이다. 미국의 경우 연간 40,000명 이상이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고, 이중 … 더보기

자동차의 개념을 바꾸다

댓글 0 | 조회 2,751 | 2010.06.04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자동차란 차체에 장비한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그 힘을 바퀴에 전달해 노상 산야 등을 주행하며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기계라고 알고 있다… 더보기

자동차 기업의 상징 엠블렘(EMBLEM)- Ⅱ

댓글 0 | 조회 3,177 | 2010.04.27
SAAB는 전투기 생산으로 유명한 스웨덴의 회사이다. SAAB는 ‘SV ENSKA AEROPLAN AB’의 약자이다. 자국의 차량으로 스웨덴 왕실의 차량이기도 하… 더보기

스타의 자동차 사랑

댓글 0 | 조회 3,099 | 2010.03.23
각종 스포츠 스타와 연예 스타들은 그들의 명성에 맞게 자동차를 선택한다. 또한 많은 스타들이 자동차에 관심을 갖고 그에 열광하며 수백만불에 달하는 금액을 지불하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