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식단을 위하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건강한 식단을 위하여

0 개 2,742 NZ코리아포스트
우리는 지금 먹을 게 넘쳐 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저가 지향적 가공품, 미각을 자극하는 현란한 식품 등으로 식단의 균형이 흔들린다. 모든 걸 개인 선택의 결과로 돌리지만 이들 식품으로 인한 개인 건강의 차질은 결국 국가가 떠맡아야 할 의료비 부담으로 남는다. 국가 차원에서도 이를 인식하면서 여러 가지 건강 식단에 관한 권고사항을 제시한다. 어린이 식생활 교육을 위한「5+ a day」캠페인도 그 한 예다. 요즘 사람들 사이에 관심을 끌고 있는 건강 식단 얘기다.

‘건강을 위해서 녹색채소를 많이 먹어라.’ 영국 사람들이 싶게 하는 얘기다. 채소와 과일을 우리 보다 두 배나 많이 소비하는 이태리 사람들은 건강하게 더 오래 살지 않는가? 우리 모두「5+ a day」실천으로 채소와 과일의 소비를 늘리자. 이 운동은 우리의 식단에 채소와 과일을 하루에 적어도 다섯 서빙(serving, 접시)을 하자는 주장이다.

한 서빙의 양은 사람에 따라 다르나 어른 기준으로 평균 80g 정도, 우리 손 한 줌 분량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 손 안에 들어가는 한 움큼의 양이다. 이만큼을 하루에 다섯 번 이상 먹을 수 있도록 식단을 만들자는 얘기다. 샐러드로 하든, 사과 같은 과일로 하든, 무침 나물로 하든지 간에 그거야 개인의 취향에 맡겨야 하겠고. 더 간단히 말하면, 채소와 과일을 지금 보다 더 먹자는 얘기다.

도대체 이들 채소와 과일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그러는 걸까? 전통적으로 이들 식품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이들 식품에 들어 있는 각종 색소인 피토캐미컬(Phytochemical)과 섬유질을 주목한다. 피토케미컬은 인체에 들어가면 항산화물질로 작용하여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강화시킴으로써 질병을 예방한다는 설명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 몸의 노화를 지연시킨다. 또한 섬유질은 소화과정에서 장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저런 작용으로 이들 식품은 우리 건강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면 어떤 농산물을 언제 골라야 하나? 동·서양을 막론하고 우선 제철 농산물을 최고로 친다. 겨울에는 시금치 케일 양배추 브로콜리 등을, 봄에는 파 아스파라가스 상추 강낭콩 감자 등을, 여름에는 셀러리 호박 토마토 고추 오이 옥수수 양파 베리류 등을, 가을에는 비트 무 배추 사과 배 포도 감 등을 개인 취향에 따라 가능한 여러 가지를 선택하라는 주문이다. 현대 농업기술의 발달과 수확 농산물의 저장기술 덕분에 농산물의 제철이 무너지고 있다.

그러나 같은 농산물이라 할지라고 제철에 생산된 농산물이 최고의 품질을 유지하며, 유통과정의 품질변화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한국의 전통 음식에도 제철 농산물의 중요성이 잘 나타나 있다. 우리의 조상들은 봄철 푸성귀, 여름철 열매채소 등 철따라 쉽게 구할 수 있는 농산물로 우리의 식단을 장만했다.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가 할 일은 사시사철 철없는 농산물 가운데 제철을 찾아내는 일이다.

한 발 더 나아가서 가능하면 자기 텃밭에서 직접 길러 먹으란다. 텃밭에서 자란 농산물은 더 싱싱할 뿐 아니라 내가 길러 믿을 수 있다. 채소와 과일은 수확이후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품질이 급격이 떨어진다. 그래서 이런 유통기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 텃밭 채소의 매력이다. 텔레비전의 일류 요리사들도 텃밭에서 갓 수확한 채소로 곧바로 요리하는 것을 최상으로 치지 않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이「5+ a day」의 메시지를 잘 이해한다. 그런데, 호주에서는 한 술 더 떠서 일곱 서빙을, 캐나다에서는 훨씬 더 나아가 여덟 내지 열 번의 서빙을 주장한다. 그래야만 보다 다양한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단다. 그렇지만, 우리 건강 식단의 마련은 쉽고 간편해야 한다. 제철에 생산되는 지역 농산물 중심으로 개인들의 취향에 따라 고르는게 최선 인듯하다. 이런 선택은 오늘 저녁을 준비하는 우리 요리사의 손에 달려 있는 데, 거기에 온 가족의 건강이 매여 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초중고 유학 가이드

댓글 0 | 조회 3,138 | 2009.08.25
뉴질랜드는 초중고 유학지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 그 이유로는 우선 뉴질랜드의 교육의 질이 우수하고, 교육환경이 안전하고, 소요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이다. 뉴질랜…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간호사 되기

댓글 0 | 조회 4,635 | 2009.08.11
뉴질랜드에는 Nursing Council of New Zealand (뉴질랜드 간호사 협회)라는 정부기관이 있는데 뉴질랜드의 모든 간호사는 이 협회에 정식으로 등… 더보기

오클랜드대학교 교환학생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6,899 | 2009.07.28
최근들어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대한 문의가 많다. 교환학생이란 본인이 재학중인 대학교와 연계되어 있는 해외의 대학교에서 일정기간 동안의 수업을 통하여 해외대학교 경… 더보기

뉴질랜드의 Business Schools

댓글 0 | 조회 3,384 | 2009.07.14
전 세계Business School들의 규모는 보통 다른 학부나 단과대학보다 크고 학생수 또한 많은편이다. 그 만큼 인기가 많다고 설명할 수 있는데 현재 대학입시… 더보기

링컨대학교 와인제조기술학사과정

댓글 0 | 조회 3,349 | 2009.06.23
전 세계적으로 와인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늘어 가고 있는 요즘, 특히 기존의 와인 생산지역을 벗어난 신대륙 와인(호주 뉴질랜드 칠레 등)의 와인은 기존의 와인 생… 더보기

정착 서비스 잘 받는 요령

댓글 0 | 조회 3,385 | 2009.06.09
한국에서 뉴질랜드로 유학을 올 때 가장 힘든 것 중의 하나가 정착 서비스를 받는 일이다. 거주할 집을 얻고 전화와 전기를 설치하고 가구를 구입하고 자동차를 구입하… 더보기

AUT - Sport & Recreation

댓글 0 | 조회 2,874 | 2009.05.26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중요시하게 여겨지는 것이 있다면 바로 건강이 아닐까 한다. 첨단화 되어가는 현대문명에 따라 많은 이들이 '앉은 문화'에… 더보기

빅토리아 대학교 정치학과

댓글 0 | 조회 3,854 | 2009.05.12
뉴질랜드는 한국과는 달리 내각정치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국민이 국회에 대한 신임을 필수로, 국민이 국회의원을 선출하면, 의석수가 가장 많은 원내 제 1당의 대표가… 더보기

UQ 치대

댓글 0 | 조회 4,301 | 2009.04.28
흔히 사람들은 인생을 바꿀수 있는 직업중의 하나로 치과의사를 꼽는다. 치과의사는 전세계 적으로 인기있는 직업중에 하나이다. 높은 연봉, 비교적 적은 노동력과 직업… 더보기

물리치료사 (Physiotherapist)로 가는 길

댓글 0 | 조회 4,644 | 2009.04.15
Physiotherapy – 물리 치료법Physiotherapy를 한국어로 직역해 보면 '물리 치료 요법' 정도가 적당할 것이다. 더 정확한 명칭은 Physica… 더보기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댓글 0 | 조회 2,789 | 2009.03.25
1991년 1월 1일에 정식으로 처음 문을 연 ACU National 대학교는 호주동부에 위치한 대학교로써 호주에 있는 4개의 카톨릭 대학 시설의 (Catholi… 더보기

NCEA 과목 선택

댓글 0 | 조회 3,569 | 2009.03.10
최근 여기 저기서 과목을 잘못 선택 했다며 고민하는 학생, 학부모들을 많이 접할 수 있다. 새 학기 입학시기에 꼭 있는 일이기도 하다. 매년 반복되는 이러한 '불… 더보기

오타고 대학교

댓글 0 | 조회 5,764 | 2009.02.24
오타고대학교 (The University of Otago)는 1969년에 설립되었다. 뉴질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1871년 7월 정식으로 개강할 때 고… 더보기

Media Design School

댓글 0 | 조회 2,943 | 2009.02.10
최근 점점 더 많은 학생들이 Design분야에 관심을 갖고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는 어린 학생들이 다소 접근이 어려운 분야이지만 뉴질랜드 고등학교… 더보기

New South Wales 대학교

댓글 0 | 조회 3,194 | 2009.01.28
UNSW는 호주 시드니의 켄싱턴 (Kensington)이라는 곳에 자리한 명문 종합대학교이다. 2008년도 The Times지 선정 세계 45위에 랭크되어 있는 … 더보기

멜번대학교

댓글 0 | 조회 4,427 | 2009.01.13
멜번은 호주 빅토리아주의 수도로 호주에서 두번째로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이다. 2007년 집계 멜번시 총인구는 뉴질랜드 전체인구수와 비슷한 380만여명이다. … 더보기

현명한 대학교 입학 방법

댓글 0 | 조회 3,801 | 2008.12.23
최근 NCEA시험이 끝났다. 이번 NCEA시험이 전반적으로 어려웠다는 불평(?)이 여기저기서 많이 들리는 가운데 시험을 치른 많은 한국 유학생들은 시험 끝에 찾아… 더보기

학생비자 신청서와 관련 Q & A

댓글 0 | 조회 3,468 | 2008.12.09
1. 나의 학생비자 진행은 얼마나 걸리나요? 진행기간은 신청서와 제출한 서류의 긍정적인 요소 (Positive profile)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완벽한 신청… 더보기

시니어 칼리지

댓글 0 | 조회 3,325 | 2008.11.11
뉴질랜드에 사는 사람이라면 시니어칼리지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만큼 유명하다. 뉴질랜드의 최고 명문이란 수식어가 굳이 필요 없다. 그냥 시니어칼리지가 명품… 더보기

세계 명문 대학교 순위의 의미

댓글 0 | 조회 5,571 | 2008.10.30
2005년부터 The Times가 세계 명문 대학교의 순위를 발표하기 시작했다. 즉, The Times Higher Education 산하의 QS World Un… 더보기

오클랜드 대학 법대

댓글 0 | 조회 6,026 | 2008.10.14
어릴적에 한 번쯤 꿈꾸게 되는 직업이 있다면 아마도 변호사일 것이다. 그래서인지, 오클랜드 대학 법대가 Open Entry였을 때 수많은 학생들이 지원했었고, 이… 더보기

호주 Monash University – 약대

댓글 0 | 조회 5,357 | 2008.09.23
1881년에 설립된 빅토리아 제약학교로 시작된 모나쉬 대학의 약대는 멜버른 북쪽에 위치한 Parkville에 위치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학부이다. 총 4년 과… 더보기

오클랜드 대학교의 BBIM 학과에 대해

댓글 0 | 조회 3,164 | 2008.09.10
요즘 대학생들의 화두로 자주 오르내리는 학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름 아닌 오클랜드대 학교의 Bachelor of Business and Informatio… 더보기

퀸스랜드 대학교 - 치과 대학

댓글 0 | 조회 4,332 | 2008.08.27
The Times선정 세계 33위이자, 호주의 Teaching Excellence Award에서 6개 부문 수상을 기록하면서 더욱 더 유명해 진 100여년의 전통… 더보기

호주 퀸스랜드 대학 Foundation 과정

댓글 0 | 조회 3,469 | 2008.08.14
호주의 퀸스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는 세계 랭킹 33위이고 Go8의 맴버이자, Universitas 21의 맴버이다. Go8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