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총이익율 (Gross Profit %)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매출 총이익율 (Gross Profit %)

0 개 6,149 NZ코리아포스트
이번호에는 IRD에서 세무조사를 위한 분석자료로 많이 쓰일수 있는 매출총이익율 (Gross Profit 혹은 Margin %)에 대해서 일아보도록 하겠다.

일반적으로 Gross Profit (혹은 Margin)는 도소매업종에 많이쓰이는 용어로써, 이는 순수 물품판매에 대한 이익을 뜻한다. 간단히 예를 들어, 원가 $80의 상품을 $100로 판매하였다면, Gross Profit은 $20이며, Gross Profit %은 매출에 대한 이익율로써 이 경우는 20%가 된다. 나아가 한 회계년도의 매출액과 매출원가가 계산이 되면, 그해의 매출총이익율 (Gross Profit %)를 계산할 수가 있겠다.

같은 계열의 제품이더라도 각각의 물품에 대한 마진이 각각 다르고, 각 업체마다 판매하고 있는 상품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같은 업종이라 하더라도 매출총이익율 (Gross Profit)이 같을 수는 없으며,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동종업종간의 경쟁구조가 존재하는 한, 동종 업종일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범위의 Gross Profit % 틀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또하나의 IRD의 분석자료로 당기순이익율 (Net Profit % = 당기순이익/매출 *100)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동종업종일지라도 각 업체의 각각의 판관비(판매비와 일반관리비)율 다르기 때문에, 어떤 범위를 정할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당기순이익율을 보일수 있다. 쉬운예로, 사업주 본인의 사업참여활동이 거의 없이 직원위주로 사업이 운영되거나 혹은 사업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임대료를 지출하고 있다면, 동종업계 평균과 비교하여 크게 낮은 당기순이익율을 보일 수도 있겠다.

이처럼 세무조사를 위한 동종업종별 비교분석 방법으로는 당기순이익율보다는 매출총이익율이 가장 적절하게 쓰일수 있음을 알수 있겠다.

실제로, 지난 5월 13일에 있었던 IRD세미나에서는 요식업 (Hospitality Industry)의 매출총이익율 표준이 60~70%임을 설명하면서, 앞으로 요식업체의 매출총이익률이 60%미만인 업체에 대해서는 세무신고 자료를 검토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요식업체의 매출총이익율 계산은 = ((매출액 - 식재료원가) / 매출액) * 100으로 계산할 수 있겠다.

또한, 각 기간별의 매출총이익율을 참고하여 업체내의 수익율변동을 확인할수도 있어 사업주에게도 운영상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경쟁업체간의 경쟁으로 매해 매출총이익율이 조금씩 감소될수는 있지만, 만약 매출총이익율이 과거보다 현저하게 낮아졌다면, 사업체 운영상의 문제점 (무리한 세일로 상품별 마진의 급격한 저하, 재고관리의 소홀 등)이 있을수도 있고, 또는 부가세 (GST)신고시에 매출의 누락 혹은 상품구입에 대한 계산상의 착오가 있을 수도 있겠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enny & Hooper (Ⅱ)

댓글 0 | 조회 2,948 | 2010.12.21
Income Tax Act 2007 Act BG1에 의하면, Tax Avoidance Arrangement는 소득세법상 인정되지 않는다. 만약, Tax Avoid… 더보기

Penny & Hooper (Ⅰ)

댓글 0 | 조회 3,052 | 2010.12.08
이번호에는 Penny & Hooper에 대한 Court of Appeal의 판결내용중 각 case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Hooper Case… 더보기

Tax Avoidance

댓글 0 | 조회 3,434 | 2010.11.24
이번호에는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Tax Avoidance에 대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코리아포스트 363호에 Tax Avoidance와 관련한 글을 연재하… 더보기

Paid Parental Leave

댓글 0 | 조회 3,311 | 2010.11.09
이번호에는 working mum이 출산시 정부로부터 받을수 있는 Paid Parental Leave(이하 PP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고용계약서에 명시되… 더보기

GST 신고 준비

댓글 0 | 조회 3,780 | 2010.10.27
지난 10월1일부터 GST율이 15%로 인상되고, 소득세가 인하됨에 따라, 세금징수의 촛점이 ‘소득’에서 ‘소비’로 전환되는 느낌을 받는다. IRD입장에서 보더라… 더보기

Income Sharing (Splitting) 법안

댓글 0 | 조회 3,956 | 2010.10.13
최근에 국세청장(Minister of Revenue)이자 United Future 당의 당수인 Peter Dune이 발의한 Taxation (Income-Shar… 더보기

소득세환급 사칭 이메일 주의

댓글 0 | 조회 3,318 | 2010.09.29
최근 6개월사이에 소득세 환급 (Tax Refund)과 관련한 사기성 이메일이 돌고 있는 것으로 언론에 보도 된 바 있다. 이번호에는 주의차원에서 이에 대해 간단… 더보기

소득세율 인하

댓글 0 | 조회 4,886 | 2010.09.16
이번호에는 오는 10월 1일부터 시행되는 소득세율 인하로 고용주 PAYE 업무 등 사업주가 고려해야할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오는 10월 1일자로 소득… 더보기

GST 등록 취소

댓글 0 | 조회 3,873 | 2010.08.24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오는 10월1일에 있을 ‘GST율 인상’으로 최종소비자와 소규모사업체에 큰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번호에는 이에 대한 하나의 대… 더보기

GST율 인상(Ⅱ)

댓글 0 | 조회 3,858 | 2010.08.11
이번호에는 오는 10월 1일에 있을 GST율 인상과 관련하여 사업자의 GST신고의무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연 매출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2백만불 이… 더보기

GST율 인상

댓글 0 | 조회 3,236 | 2010.07.28
이번호에는 오는 10월 1일에 있을 GST율 인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조금 이른감은 있지만, 이번호에 소비자차원에서 개략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사업자입장에… 더보기

KiwiSaver First Home Subsidy

댓글 0 | 조회 3,089 | 2010.07.13
이번호에는 KiwiSaver First Home Subsidy (이하 ‘KFH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KFHS’는 최저 3년이상을 키위세이버로 불입하… 더보기

세제변화(2010 예산발표)-Ⅱ

댓글 0 | 조회 3,008 | 2010.06.23
이번호에는 오는 10월 1일부터 시행되는 세제변화로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세금감면이 있다는 국민당의 주장과는 달리 고소득자에게만 도움이 된다는 주장에 대해서 알아보… 더보기

세제변화(2010 예산발표)-Ⅰ

댓글 0 | 조회 2,966 | 2010.06.10
지난 2010정부예산발표에 소득세인하 및 GST를 12.5%에서 15%로 인상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정부는 대부분의 납세자의 경우 이번 세제변화로 가용자금이 늘… 더보기

현재 매출 총이익율 (Gross Profit %)

댓글 0 | 조회 6,150 | 2010.05.25
이번호에는 IRD에서 세무조사를 위한 분석자료로 많이 쓰일수 있는 매출총이익율 (Gross Profit 혹은 Margin %)에 대해서 일아보도록 하겠다. 일반적… 더보기

Approved Issuers Levy

댓글 0 | 조회 3,173 | 2010.05.12
이번호에는 세법상 비거주자와 관련이 있는 Approved Issuers Levy (이하 'AI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뉴질랜드와 한국은 조세협약이 체결… 더보기

2011 PAYE Table

댓글 0 | 조회 3,577 | 2010.04.28
이번호에는 2011세무년도 (2010년 4월 ~ 2011년 3월) PAYE Table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IRD에서는 매해 PAYE Table을 고용주에… 더보기

Limited Company

댓글 0 | 조회 3,336 | 2010.04.13
이번 호에는 사업체의 형태 중 주식회사인 Limited Company (이하 '회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지난 호에 알아보았던 Sole Trader(개인… 더보기

회계년도말 준비사항

댓글 0 | 조회 3,696 | 2010.03.24
회계연도말인 3월 31일이 다가오고 있다. 이번 호에는 사업소득자 연말정산을 위해 매해 3월31일에 정리하여야 하는 자료와 연말정산과 관련하여 4월 중에 받게 되… 더보기

Partnership(Ⅱ)

댓글 0 | 조회 3,608 | 2010.03.10
이번 호에는 사업운영의 형태 중 Partnershi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뉴질랜드의 Partnership에는 크게 '일반적인 Partnership' (합… 더보기

Sole Trader (Ⅰ)

댓글 0 | 조회 4,212 | 2010.02.24
이번호에는 사업운영의 형태 중 Sole Trad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Sole Trader는 개인 1인이 본인 IRD번호로 운영하는 사업의 형태로써 개… 더보기

Tax Working Group

댓글 0 | 조회 3,324 | 2010.02.10
지난 1월 20일 Tax Working Group(이하 'TWG')의 보고서인 'A Tax System for New Zealand's Future'가 공개되었다… 더보기

Tax Credit for Children

댓글 0 | 조회 3,373 | 2010.01.27
사업주인 지인 혹은 고객들과 여담을 나누다보면, 초,중,고 자녀에게 부모의 사업체에서 부모를 도운 명목으로 일정액을 지급하고 있음을 종종 듣게 된다. 노동의 소중… 더보기

법정공휴일(Public Holiday)

댓글 0 | 조회 4,009 | 2010.01.13
매해 연말연시 법정공휴일이 많은 이 시기에는 고용주로부터 혹은 피고용인으로부터 자주 받는 문의는 ‘법정공휴일에 대한 직원의 보상은 어떻게 되는가’ 하는 것이다. … 더보기

IRD 부과 벌금 및 이자

댓글 0 | 조회 5,851 | 2009.12.23
IRD에서 부과하는 벌금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벌금이 있다. 이런 벌금들은 대부분 개인종합소득세, PAYE, GST신고 관련한 벌금인데, 우선 각 신고별로 벌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