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업무의 이해 (Ⅴ) - PAYE신고 관련 벌칙금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고용업무의 이해 (Ⅴ) - PAYE신고 관련 벌칙금

0 개 3,462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
지난 4월 1일부터 PAYE신고관련 새로운 벌금인 Non-payment penalty가 신설되었다. 이미 간단하게 소개는 되었지만, IRD자료를 토대로 PAYE 신고와 관련한 벌칙금 및 이자를 소개하면서, Non-payment Penalty를 다시 소개하고자 한다.

1. PAYE 미신고 혹은 지연신고에 따른 벌금(Penalty) : PAYE(Employer Monthly Schedule)를 신고기한까지 제출하지 않은 경우 $250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만약 5개월 동안 PAYE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1,250 (=$250 * 5)까지 미 제출에 대한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2. 지연납부가산세 (Late Payment Penalty) : 납부 세액이 $100이상이고 납부기한까지 PAYE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 납부기한 다음날 총세액의 1%를 지연납부 가산세로 부과한다. 그 후에 7일 이내에 납부하지 않을 경우에는 8일째에 추가로 4%가 부과된다. 납부기한 1달 이내에 납부하지 않을 경우에는 납부할 때까지 매월 1%씩 추가하여 가산세가 부과된다.

3. Shortfall Penalties : PAYE를 낮게 납부하였거나 납부하지 않았을 경우, 올바른 PAYE세액과 실제 납부된 세액의 차이에 대해 20%~150%까지 부과될 수 있다. (자진 수정 신고하거나, 과거의 신고업무에 차질이 없었 으면 75%까지 Shortfall Penalty를 경감해주고 있다)

4. Fine (벌금) : 2009PAYE표의 7페이지에 의하면, 급여지급시 공제한 PAYE는 국가소유이므로 이를 유용 하는 것은 아주 중대한 위반행위라 설명하고 있다. PAYE공제의무를 알고 있으면서 의도적으로 PAYE를 공제하지 않을 시, 첫 위반인 경우에는 $25,000까지, 두 번째 이후부터는 $50,000까지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또한, 의도적으로 직원급여지급시 공제한 PAYE를 IRD에 신고/납부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는 형사고발 대상이며, 벌금형 $50,000까지 그리고 5년까지의 감옥형이 내려질 수 있다고 하고 있다.

5. Interest (Use-of-money Interest) : 납부기한까지 PAYE를 납부하지 않았을 경우, 납부기한 다음날부터 실제 납부 일까지 연 14.24%(2008년 9월 18일 현재)의 이자가 부과된다.
상기의 연재글은 일반적인 내용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실무에 대해서는 의뢰하는 세무/회계사의 조언을 받아 진행하기를 권장합니다.

6. Non-payment Penalty : PAYE신고(Employer Monthly Schedule)를 하였으나 계산된 PAYE를 납부 하지 않았을 경우, IRD에서는 체납고지서를 보내게 된다. 만약이 체납세액을 체납고지서 발행일 한 달 이내(혹은 체납고지서에 명시된 납부기한까지) 납부되지 않으면 매월 10% 씩 Non-payment Penalty가 부과된다. (단, 체납세액에 대한 할부납부를 IRD와 이미 합의되었을 시에는 5%로 삭감된다) 중요한 것은, 이 Non-payment Penalty는 상기의 지연납부 가산세, Shortfall Penalty, 이자와는 별도로 부과 된다는 것이다. Non-payment Penalty는 2008년 4월 1일부터 이미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 IRD시스템의 미구축으로 Non-payment Penalty부과가 되고 있지 않다. 하지만, IRD에 의하면, Non-payment Penalty와 관련한 시스템이 11월까지 구축될 것이고, 따라서 12월부터 Non-payment Penalty부과가 시행된다고 하고 있다. 또한, 4월부터 11월 사이에 발생된 Non-payment Penalty는 12월 이후에 벌금부과 고지서를 보낼 수도 있다고 하고 있다.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규 사업자의 소득세 납부 의무

댓글 0 | 조회 3,768 | 2009.06.09
소득세 납부의무를 대수롭지 않게 여겨 납부시기에 어려움을 겪는 신규사업자들을 종종 보아왔다. 이번호에는 신규사업자들을 위한 소득세 납부의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 더보기

소득세 환급(Tax Credit)

댓글 0 | 조회 4,269 | 2009.05.26
매년 이맘때에는 Tax Credit로 알려진 소득세 환급에 대한 문의가 많다 (최근에 명칭이 Rebates에서 Tax Credit로 변경되었다).대부분의 사업자인… 더보기

E-Commerce (인터넷 상거래)

댓글 0 | 조회 3,418 | 2009.05.13
인터넷의 상용화로 인터넷을 통한 구매가 일상화 되었고, 이에 따라 누구나 한번쯤 웹사이트를 통한 사업구상을 생각해 봤으리라 생각된다. 이번호에는 인터넷을 통한 상… 더보기

구조조정해임자 정부지원 (ReStart)

댓글 0 | 조회 3,015 | 2009.04.28
이번호에는 최근 정부에서 실시한 구조조정 해임자 지원(이하 ReStart)의 대상 및 자격, 그리고 구체적인 지원내용에 대해서 Work and Income자료를 … 더보기

키위세이버

댓글 0 | 조회 4,330 | 2009.04.15
"키위세이버” 이제는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 본 단어일 것이다. 하지만, 키위세이버 가입을 결정해야 할 교민에게는 키위세이버에 대한 사전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 더보기

2010 PAYE & 키위세이버

댓글 0 | 조회 3,800 | 2009.03.25
이번호에는 오는 4월1일부터 사용되어지는 2010 PAYE표와 고용주의 키위세이버관련 업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번 2010 PAYE표에는 4월부터 시행… 더보기

임대(leased) 아파트

댓글 0 | 조회 3,425 | 2009.03.10
최근에 IRD에서는 호텔이나 Serviced 아파트(일반적으 로 단기 숙박서비스 제공) 등과의 리스계약이 되어있는 아파트의 구매 및 매각시 적용되는 GST에 대한… 더보기

중소기업을 위한 세제변경 내용

댓글 0 | 조회 2,981 | 2009.02.24
최근에 정부는 성장계획의 일환으로 세법 변경안 발표하였다. 이번호에는 정부의 발표내용 중 교민사업체와 관련된 내용 위주로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이번 세법변경은 … 더보기

Child Tax Rebate

댓글 0 | 조회 3,379 | 2009.02.11
15세 미만이거나 19세미만의 중고등학생(Secondary School)에게는 이자 혹은 배당소득을 제외한 일정근로 소득에 대해서 세금을 환급해 주는 Child … 더보기

키위세이버 변경내용(고용주관련)

댓글 0 | 조회 2,989 | 2009.01.28
이번호에는 오는 4월 1일자 시행되는 키위세이버 변경 내용과 관련하여 고용주가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고용주입장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 더보기

키위세이버 변경내용

댓글 0 | 조회 3,642 | 2009.01.14
지난해 크리스마스 이전에 세금감면, 키위세이버 변경 등과 관련한 법안이 통과되었다. 통과된 키위세이버 법안 중 당초 국민당 정부의 공약했던 키위세이버 변경내용에서… 더보기

임시 해외소득신고 면제

댓글 0 | 조회 3,932 | 2008.12.23
뉴질랜드 세법상 거주자인 경우에는 뉴질랜드 소득을 포함한 모든 해외소득을 뉴질랜드 IRD에 신고하고 이에 따른 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 하지만, 2006년 4월 … 더보기

해외영구이주 및 장기출국

댓글 0 | 조회 4,113 | 2008.12.09
해외이주 혹은 장기출국시에는 세금 및 학자금대출의 정산을 위하여 IRD에 이를 통보하여야 한다. 이번 호에는 세법상거주자(Tax Resident)의 해외이주 및 … 더보기

국민당(National)정부의 세금정책

댓글 0 | 조회 3,113 | 2008.11.26
지난 11월 8일 선거의 결과에 따라 국민당이 소수정당(Act, 마오리, United Future)과의 연합정부를 구성 함으로써, 불가피하게 기존 노동당(Labo… 더보기

Tax Invoice (세금계산서)

댓글 0 | 조회 5,312 | 2008.11.12
이번호에는 사업주 입장에서 Tax Invoice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다. 본론에 앞서, Invoice와 Tax Invoice의 차이를 알아 보도록 하겠다. … 더보기

Labour와 National의 세금감면정책 비교

댓글 1 | 조회 2,981 | 2008.10.30
지난 10월 8일 National(국민당)당은 당초 약속된 세금감면 규모에서 축소 조정된 세금감면정책을 발표하였다. 이번 호에는 이번에 발표된 국민당의 세금감면정… 더보기

KiwiSaver Mortgage Diversion 개요

댓글 0 | 조회 3,132 | 2008.10.14
KiwiSaver Mortgage Diversion는 키위세이버를 1년 이상 가입한 가입자가 본인이 불입하는 키위세이버 불입액의 50%까지 가족거주 주택의 대출금… 더보기

현재 고용업무의 이해 (Ⅴ) - PAYE신고 관련 벌칙금

댓글 0 | 조회 3,463 | 2008.09.24
지난 4월 1일부터 PAYE신고관련 새로운 벌금인 Non-payment penalty가 신설되었다. 이미 간단하게 소개는 되었지만, IRD자료를 토대로 PAYE … 더보기

고용업무의 이해 (Ⅳ) - 급여지급대장의 활용

댓글 0 | 조회 3,557 | 2008.09.10
직원의 급여계산, 급여세(PAYE)계산 및 신고를 위해서는 어떤 형태이든 직원에 대한 급여지급 대장과 매월 직원별 급여지급 내역을 정리해야 하겠다. 주별 혹은 월… 더보기

고용업무의 이해 - 3. IR 330

댓글 0 | 조회 3,340 | 2008.08.27
고용계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용주는 반드시 직원으로부터 작성되고 서명된 'Tax Code Declaration' (이하 'IR330')을 받아 7년간 보관 하여… 더보기

고용업무의 이해 - 2. 고용 및 독립계약

댓글 0 | 조회 3,285 | 2008.08.14
지난 호에는 직원고용(Employment)시 추가고용 부담에 대해 연재하였다. 이번 호에는 사업장에서 있을 수 있는 고용(Employment), 독립적 계약('I… 더보기

고용업무의 이해 - 1. 고용부담

댓글 0 | 조회 2,928 | 2008.08.01
영업장을 별도로 가지고 있는 사업체인 경우에는 파트타임일지라도 대부분 직원을 고용하게 된다. 필자는 업무상 사업주로부터 직원고용에 대한 각종 문의를 받게 되는데,… 더보기

[384] 미등록 자선단체 임시구제책

댓글 0 | 조회 2,927 | 2008.07.08
필자는 지난 371호(2007년 12월 21일) 자선기관 등록에 관련한 연재글을 올린 적이 있다. 이번 호에는 지난 예산 발표 시 상정되어 통과된 자선 단체 등록… 더보기

[383] 각 정당의 세금감면(Tax Cut)공약

댓글 0 | 조회 3,110 | 2008.06.25
올해에 뉴질랜드 총선이 있다. 아직 투표일이 발표 되지 않았지만, 11월 15일 이전에 총선이 있도록 되어 있고, 정확한 투표일은 일반적으로 수상(Prime Mi… 더보기

[382] 지방세 할인(Rates Rebate)

댓글 0 | 조회 3,040 | 2008.06.10
지난 코리아타임즈 339호 (2006년 8월 22일자)에 지방세(Rates) 할인에 대해 글을 쓴적이 있다. 이번 호에는 내무부 웹사이트 내용을 참고로 지방세 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