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 - 은막의 마력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시네마 - 은막의 마력

0 개 1,059 한얼

언제 가도 즐거운 장소 중엔 영화관이 있다.

동네의 비교적 작은 영화관도, 시골 구석의 박물관 같은 시네마도, 최신형 기계들과 대형 스크린을 갖춘 번화가의 영화관도 모두 좋아한다. 영화관들에는 각기 고유의 매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 위치와 규모에 상관 없이. 오히려 그런 점들이야말로 이 엔터테인먼트 센터들만이 가질 수 있는 특징에 부합되기 때문이리라.

다른 사람과 가든, 혼자서 들어서든 영화관은 언제나 반갑다. 심지어는 혼자일 때 더욱 마음 놓고 편하게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것 같다. 다른 사람과 함께 오면 무슨 영화를 볼지, 팝콘과 콜라를 사야 할지 아니면 아이스크림을 사는 게 더 나을지를 가지고 다투게 되는 둥의 사소한 이유 때문이 아니다.

영화 외에 신경 써야 할 존재가 하나 더 늘었다는 부담감 때문이다. 혼자가 아닐 때면, 눈 앞에서 움직이는 스크린 속 존재들에 집중하면서 또 동시에 그 집중력을 쪼개어 옆의 사람을 곁눈질 하게 된다. 과연 이 사람도 영화를 즐기고 있는가, 나만큼 잘 보고 있는가. 어디까지 이해하고 있는가. 나는 저 배우가 마음에 드는데, 이 사람도 나와 똑같이 저 배우에게 ‘꽂혔을까.’ 왠지 모르게 이런 점들이 걸려서 안절부절 못 하게 된다. 그리고 극장을 나오게 되면 꼭 정말 재미 있었어, 난 저 캐릭터가 상당히 좋던데, 너는 어때? 라고 묻게 되고, 혹여 나와 다른 답이 나오면 이해가 가지 않아 갸우뚱거린다.

일종의 불안증이라고 해도 할 말은 없다. 그만큼 난 영화를 볼 때면 집중하고, 빠져든다.

주로 보는 장르는 물론 블록버스터 액션물이다. 종종 디즈니나 드림웍스 등의 만화도 끼어들고 (그건 주로 어린 아이들과 같이 보러 가는 편이지만, 혼자서도 자주 보곤 한다). 좋아하는 책 기반의 영화라면 특히 꼭 보러 가는 편인데, 보고 나서는 반드시 이 점이 고증이 틀렸느니, 저 배우랑 이 캐릭터는 영 싱크로율이 안 맞느니 하며 입방아를 찧는다.

반대로, 한 번 마음에 본 영화는 쉽사리 잊지를 못한다. 그래서 극장에 몇 번이고 보러 가게 된다. 이 점에 대해 주변인들은 혀를 내두른 바 있는데, 하긴 그런 것도 이해는 간다. 세상에 누가 <인셉션>을 일곱 번 (일반 시네마에서 네 번, 아이맥스에서 세 번), <트랜스포머>를 다섯 번, <호빗>을 네 번이나 볼까 (그것도 두 번은 3D로). 그 외에도 두세 번만 본 영화는 매우 많다. 혹자는 나의 이런 버릇을 두고 ‘차라리 그 돈이면 DVD 나올 때까지 기다려서 사고 말지’라고 빈정거리기도 했지만, 그 말엔 나도 정중하게 이의를 제기하고픈 마음이 있다. DVD를 구입해 집에서 보는 것과, 은막에 영사기로 투사되는 필름을 보는 것과는 크나큰 차이가 있다. 집의 편안함에서 동떨어진 낯설고 팝콘 냄새 섞인 공기의 스릴과, 조금은 딱딱한 좌석의 긴장감. 이따금씩 앞 좌석에선 아기가 울고 뒷좌석에선 다른 관람객이 발로 등받이를 걷어차대도,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그 두근거림이 DVD와 홈 시어터엔 없는 것이다.

삶보다 큰, 또는 실물보다도 더 커다란 bigger than life 영웅들의 모습이.

가끔씩 볼 영화가 밀리고 시간은 남아돌 때면 ‘극장 릴레이’를 감행하곤 한다. 하루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영화를 극장에서 보는 것인데, 보통 세 편이면 한나절이 순식간에 가버린다. 영화를 볼 때면 거의 지치지 않는 집중력과 체력을 자랑하는 나이기에 그 정도는 문제없이 소화할 수 있다. 물론 그 격렬한(?) 여가 활동을 함께 즐겨줄 사람은 없을 테니 혼자서라도.

은막의 마력이 내게 끼치는 영향, 이 정도이다.

생일 - 이정표, 기념일, 생존기

댓글 0 | 조회 1,324 | 2015.04.15
생일이 지났다. 해가 갈 수록 나이를 먹는 것이 점점 빠르게 체감되어 안타까웠다. 어렸을 적엔 생일이 아주 즐겁고, 매년 손꼽아 기다리곤 하는 연중 하이라이트였는… 더보기

바뀌지 말았으면 하는 것들

댓글 0 | 조회 1,318 | 2013.08.28
누구에게나 삶의 패턴은 있다고 생각한다. 일종의 규칙, 루틴, 어겨선 안 될 불문율, (이런 조잡한 표현을 사용해도 좋다면) 징크스. 나는 두 말 할 것도 없고,… 더보기

무하전

댓글 0 | 조회 1,310 | 2013.07.23
정말 좋아하는 화가의 전시전이 있어 다녀왔다. 화가의 이름은 들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법한 알폰스 무하(Alphonse Mucha)로, 대표작으로는 <… 더보기

요리 - 피할 수 없는 사소함

댓글 0 | 조회 1,298 | 2015.09.24
먹고 살기 위해 필수적인 것 하나: 요리. 요리를 잘 하냐고 묻느냐면 그저 그렇다고 답한다. 좋아하느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답할 것이다. 굳이 소질이 있지는 않아… 더보기

Piano - about music

댓글 0 | 조회 1,269 | 2013.03.13
다섯 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다. 거의 이십 년에 가까운 시간이 지난 지금도 그렇게 잘 치는 것은 아니지만, 처음 듣는 노래도 악보를 두고 꾸준히 연습하면 썩 들… 더보기

동물들 - 우리의 친구

댓글 0 | 조회 1,269 | 2013.01.16
동물 애호 사상이 강한 서양권 국가에 살고 있는 만큼, 거리를 걷다 보면 동물을 데리고 있는 사람들이 눈에 자주 띈다. 주로 개나 고양이들이다. 크고 작고, 털이… 더보기

일터 - 첫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1,237 | 2015.06.10
내가 일하는 곳은 만물상이다. 적당한 크기에 어마어마하게 많은 물건들이 한가득 쌓여 있고, 찾아오는 손님들은 어린 아이들에서부터 나이든 할아버지까지 다양하다. 찾… 더보기

스마트폰 - 디지탈과 아날로그

댓글 0 | 조회 1,222 | 2013.01.31
디지털의 복잡하고 변화무쌍한 변화를 거부하고 ‘전화는 통화와 메시지만 보낼 수 있으면 장땡’이라고 여기던 내게, 얼마 전 커다란 변화가 일어… 더보기

놀이터

댓글 0 | 조회 1,219 | 2014.05.28
어른이 되었어도, 놀이터를 지나칠 때마다 뛰어들어가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사실 10대 후반까지만 해도 아무렇지도 않게 어린아이들의 틈바구니에 끼어 그네를 타고 … 더보기

차근차근, 우주적으로

댓글 0 | 조회 1,190 | 2013.05.14
주말에 시간이 남아, 모처럼 브라우니를 만들기로 했다. 나는 아주 신이 났다. 계란과 버터는 미리 꺼내두어 냉기를 제거해 두고, 양철 그릇과 주방용 저울과 재료들… 더보기

Going Out

댓글 0 | 조회 1,188 | 2012.12.24
나는 바깥을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사람을 만나는 것도 즐기지 않는다. 내향성인 것이다. 여러모로 훌륭한 히키코모리의 기질을 타고 났다며 빈정거릴 지도… 더보기

Scars, scars into stars

댓글 0 | 조회 1,182 | 2013.06.26
덜렁거려서인지 또는 둔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자주 다치는 편이다. 하다못해 계단을 올라갈 때도 발을 헛디뎌서 미끄러지거나, 책을 읽으면서 모퉁이를 돌다가 허… 더보기

일터 - 두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1,181 | 2015.06.24
전 연재분의 마지막을 손님 이야기를 하며 마쳤으니, 이번에도 손님들 이야기로 시작하는 게 나을 것 같다. 가장 대하기 어려운 류의 손님이랄까, 제일 꺼리는 방문객… 더보기

Tea - the drink of my heart

댓글 0 | 조회 1,166 | 2013.03.26
매일매일 즐기는 날마다의 일과 중에 차를 마시는 것이 있다. 다도라는 이름을 붙일 정도로 거창하거나 엄숙한 것은 아니다. 말 그대로 ‘티타임&rsquo… 더보기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과시적 고통

댓글 0 | 조회 1,142 | 2013.05.28
약 두 달 전부터 허리가 아팠다. 처음엔 그저 욱신거리는 정도였지만 이제는 평소에도 지끈거린다. 특히 앉았다 일어날 때. 으으윽! 그 짜릿한 통증이라니. 이루 말… 더보기

회색 도시 - 향수(Ⅰ)

댓글 0 | 조회 1,131 | 2012.11.28
2008년, 나는 가족 방문을 위해 한국에 와 있었다. 겨울이었고, 매우 추웠다. 눈은 오지 않았지만 금방이라도 그럴 것처럼 흐린 날씨였다고 기억한다. 예전에 살… 더보기

우정과 허망 사이

댓글 0 | 조회 1,118 | 2013.04.23
가끔 생각하곤 한다. 이십 대를 갓 넘긴 주제에 사람 관계가 하루살이의 하루만큼이나 덧없다는 사실을 아는 건 좋은 것일까 나쁜 것일까. 그렇다고 해서 물론 내가 … 더보기

회색 도시 - 향수(Ⅱ)

댓글 0 | 조회 1,099 | 2012.12.11
그렇게 안간힘을 다해 겨우 오르막길을 올라왔건만, 그 위에 있던 풍경은 나를 허탈케 했다. 언덕 위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잠시 내가 잘못 찾은 건 아닌가 싶었다… 더보기

현재 시네마 - 은막의 마력

댓글 0 | 조회 1,060 | 2013.02.12
언제 가도 즐거운 장소 중엔 영화관이 있다. 동네의 비교적 작은 영화관도, 시골 구석의 박물관 같은 시네마도, 최신형 기계들과 대형 스크린을 갖춘 번화가의 영화관… 더보기

즐거운 자기 재확인

댓글 0 | 조회 1,033 | 2013.11.12
쇼핑을 좋아한다. 옷을 사거나 책을 사는 등의, 좋아하는 물건들을 사는 것만을 말하는 게 아니다. 일상 생활에 필요한 식료품이나 생필품을 사러 가는 일도 모두 즐… 더보기

조용한 크리스마스

댓글 0 | 조회 1,029 | 2015.01.14
크리스마스는 새해와 함께 별 일 없이 조용히 지나갔다. 다행스럽게도. 행사들을 싫어하는 편이고, 기념일은 매번 잊어버리는 유형의 사람인지라 솔직히 말하자면, 내게… 더보기

종이에 대고 외치기

댓글 0 | 조회 1,020 | 2013.04.10
코리아 포스트에 450자짜리 수필을 연재하기 시작한 것도 벌써 10개월이 지난 것 같다. 1년이 된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데, 잘 모르겠다. 시간 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