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정보시스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인간 정보시스템

0 개 1,863 조기조

정보시스템이란 말이 대단하게 먹히던 때가 있었다. 기업의 정보시스템을 경영정보시스템이라 했다. 정보시스템 앞에 단어를 붙이면 거의 다 통했다. 생산, 마케팅, 재무, 회계, 물류 등등을 붙여 썼다. 정보시스템이란 정보를 만들고, 만든 정보를 제공하는 조직이나 체계이다. 그러면 정보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엄청나게 쏟아지는 데이터들은 생산은 많은데 소비가 안 되어 갈아엎어야 할 농사 같은 것들이다. 버리지 않으려면 가공을 해서 팔거나 알곡만을 골라 저장하는 것이다. 정보는 의사결정에 유용한 상태의 것이기에 당장에 써먹지 못하는 데이터와 구별된다. 그래서 정보는 정확성과 경제성, 적시성을 구비해야 한다. 정보가 정확해야 한다는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이고, 정보의 경제성이란 정보의 가공이나 입수에 드는 비용보다 그 정보로 얻는 효익이 훨씬 더 커야 한다는 것이다.  

 

요즈음, 눈에 보이지도 않는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원시적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방책이라니 말문이 막힌다. 사회적 격리가 실은 물리적 고립이다. 만나지 못하고도 살아야 하니 재택근무, 원격(화상)회의, 사이버 강의, 온라인 쇼핑, 인터넷 게임, 온라인 시청, SNS 하기, 보안 점검, 빅데이터 분석 등으로 정보통신의 트래픽이 엄청 늘어났다.

 

90년대 이전에는 기업이 반듯한 전산실을 갖추려고 애를 썼던 것 같다. 프로그래머와 시스템 분석가, DB관리자, 보안 전문가는 귀하신 몸이고 우대를 받았다. 그래서 ‘정보자원 관리’라는 이슈가 중요한 것이었다. 한 기업의 정보처리를 위해 소요되는 사람과 도구, 프로그램과 데이터, 정책과 제도를 모두 정보자원이라 한다. 도구는 입력, 처리, 저장, 출력을 하는데 쓰이는 것이니 컴퓨터와 프린터, 각종 리더와 저장장치인 디스크나 테이프 등이었다. 전산실에는 항온 항습장치와 무정전 전원공급장치가 필수적이었다. 그래서 사장실에는 없어도 전산실에는 에어컨이 있었다. 저장과 처리 비용을 아끼려고 백업(back-up)의 주기를 늦추거나, 일거리를 모아 한 번에 일괄 처리하는 방법도 더러 썼었다. 유지보수 비용도 만만치 않아 정보시스템을 도입하려면 드는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주요 과제였다. 

 

새로 업무를 개발하려면 프로그램을 짜야했다. 그러면 시스템 분석가와 프로그래머가 필요하고 전산요원은 자꾸 늘어나게 되니 비용이 주요 고려사항이었다. 그렇다고 개발한 업무가 썩 만족스러운 것도 아니었다. 어느 사이, 기성 프로그램이 잘 나와서 이를 사서 조직의 사정에 맞게 약간 고쳐 쓰면 되도록 변하였다. 그리하면 전산화가 쉽고 빠르고 절약이 될 수 있었다. 양복점에서 옷을 맞추어 입다가 몸에 꼭 맞는 기성양복이 많이 공급되어 몸에 맞는 옷을 골라 입으면 되는 그런 세상이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런 추세가 점점 더 발전하여 값싸고 질 좋은 제품을 구비한 대형 마트 체인처럼 정보기술 시장에도 변혁이 왔다. 엔드 유저들이 기기만 전원과 인터넷에 연결하면 돌아가는 세상이 된 것이다. 이들이 새로운 아웃소싱이고 플랫폼이며 클라우드이고 또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이다.

 

f54515c479210f4d3e55c5089b1a8fb7_1586902936_5858.png
 

남의 정보자원을 저렴하게 사용하는 아웃소싱은 플랫폼과 클라우드가 가능하기에 재택근무를 해도, 사이버 강의로 트래픽이 엄청나게 늘어나도, 기업이나 학교는 큰 부담을 하지 않게 된 것이다. 메모리도 값싸고 성능이 좋아져 저장 비용을 염려할 필요가 없어졌다. 게다가 5G 통신은 엄청난 량의 트래픽을 감당하게 된다. 외부의 전문조직을 활용하여 기업 활동의 일부를 맡기고 우리 기업의 핵심역량을 주요업무에 집중시켜 전략적 이득을 추구하자는 ‘아웃소싱’은 1990년대에 들면서 정보자원의 아웃소싱부터 시작한 것이다. 동시에 관행처럼 해오던 업무처리 방식도 다시 점검하게 된다. 소위 업무재설계라는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이다. 

 

2020년대에 들어섰다. 일상에서 디지털의 비중이 점증하고 있다. 편해졌다, 이런 추세는 정보통신 기술과, 앱, 콘텐츠 등의 발달로 더욱 가파르게 진행될 것이다. 상당한 시간이 흐르고 나면 손가락과 머리통은 커지고 다리는 퇴화하는 ET를 닮아갈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제 아무리 디지털에 집중해도 우리들 인간은 아날로그다. 인간정보시스템은 콧구멍에 전원을 연결한다고 해결되는 일은 없을 것이니 8시간 일하고 8시간 쉬며 즐기고 8시간 잠자며 재충전하는 것이다. 걷고, 쉬고, 나누고, 베푸는 만큼 즐겁고 건강해 진다는 것은 불변의 진리다. 

Now

현재 인간 정보시스템

댓글 0 | 조회 1,864 | 2020.04.15
정보시스템이란 말이 대단하게 먹히던 때가 있었다. 기업의 정보시스템을 경영정보시스템이라 했다. 정보시스템 앞에 단어를 붙이면 거의 다 통했다. 생산, 마케팅, 재… 더보기

언택트로 살기

댓글 0 | 조회 2,155 | 2020.04.08
나의 살던 고향은 꽃 피는 산골 /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이 ‘고향의 봄’을 노래한 이원수 선생이 뛰고 놀았다던 천주산에 올랐다. 창원시에서 … 더보기

디지털이 기가 막혀!

댓글 0 | 조회 1,417 | 2020.03.24
코로나 바이러스로 새로운 흐름이 생겨났다. 어쩌면 자연스럽고 당연한 산물이기도 하다. 비말(飛沫)을 막으려니 서로 간에 멀리 떨어지거나 마스크를 해야 하는 것이다… 더보기

바이러스가 무엇이 길래?

댓글 0 | 조회 1,768 | 2020.03.10
폐렴을 일으킨다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세상이 공포에 떨고 있고 그로 인하여 생활하기가 불편하고 불안하다. 방역과 소독, 치료 등으로 애를 먹을 뿐만 아니라 생활과 … 더보기

브라우저와 유투브

댓글 0 | 조회 1,071 | 2020.02.25
브라우저로 웹페이지를 보려면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나 HTTPS(~ Secure)로 시작하는 주소(URL)를 입력해야 한다… 더보기

중년의 선댄스 영화제

댓글 0 | 조회 1,083 | 2020.02.11
파크 시티 메인 스트릿은 봄 햇살이 퍼져야 다 녹는 눈 더미도 볼거리이지만 매년 1월 4번째 목요일에 열리는 선댄스 영화제로 북새통을 이룬다. 왜 하필 거기서 영… 더보기

윈도우 유감

댓글 0 | 조회 1,709 | 2020.01.28
마이크로소프트사(MS)가 1월 14일을 끝으로 ‘윈도우 7’에 대한 기술 지원을 중단하였다. 윈도우 7을 사용하는 PC는 앞으로 보안 업데이트(패치)를 받을 수 … 더보기

뒷북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댓글 0 | 조회 1,098 | 2020.01.15
스마트 팩토리가 한창이다. 정부가 중소기업에 스마트 팩토리를 지원하고 있다. 10여 년 전에 정부가 중소기업에 ERP의 도입과 생산정보화 사업을 지원했었다. 그때… 더보기

누구를 위한 인터넷인가?

댓글 0 | 조회 1,350 | 2019.12.23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를 추진하고 있다. 천년도 더 전에 당(唐)나라의 장안(지금의 서안)에는 서시(西市; western market)가 대단했다. 인기상품인… 더보기

10가지 전략 기술

댓글 0 | 조회 1,586 | 2019.12.10
80년대 후반에 ‘end-user computing의 효과성 제고 방안’ 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했다. end-user란 자기 업무를 스스로 처리하는 … 더보기

Dark Web, Dark Fate

댓글 0 | 조회 1,220 | 2019.11.27
어둠(dark)은 암흑, 지하, 비밀, 죽음 등과 연상된다. 시리즈로 나온 영화 터미네이터에 다크 페이트(dark fate)란 부제가 붙었다. 주인공의 힘들고 어… 더보기

빅 데이터, 커서? 많아서?

댓글 0 | 조회 1,164 | 2019.11.12
숲속, 바다 속, 땅속에 무엇이 있을까? 우리는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탐험을 하거나 탐사를 한다. 숲과 바다, 땅 속을 잘 알 수 있다면 먹고사는데 그리 어렵… 더보기

엣지 컴퓨팅

댓글 0 | 조회 2,047 | 2019.10.22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대로 가고 있다. 모든 길이 로마가 아닌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스마트폰으로 은행 일을 보고 증권투자를 하… 더보기

NIC와 DNS

댓글 0 | 조회 1,302 | 2019.10.08
도메인(domain)은 영토, 영역, 세력 범위 등을 이르는 말이다. 어떤 연구 분야나 그 권리를 지칭할 때도 도메인이란 말을 쓴다. 최근에는 인터넷 웹 페이지의… 더보기

전자증권 이야기

댓글 0 | 조회 1,131 | 2019.09.24
증권(securities)은 유가증권(有價證券)을 줄인 말로 대부분 주식(柱式)과 채권(債券)이다. 채권은 국·공채(國·公債)와 사채(社債)가 있다. 기업은 증권… 더보기

OTT, 꼭대기 위에?

댓글 0 | 조회 1,321 | 2019.09.10
미국 여행 중 호텔에서 노트북으로 넷플릭스에 들어가 한국 드라마를 보다가 노트북을 HDMI 케이블로 TV에 연결하고는 큰 화면으로 편하게 보았다. 시차 때문에 잠… 더보기

반도체가 뭣이 길래?

댓글 0 | 조회 1,340 | 2019.08.27
인간은 5감에 하나를 더하여 6감(sixth sense)을 가지고 있다. 듣고, 보고, 맛보고, 만져보고, 냄새를 맡아 알게 되는데다 그간의 경험으로 상황에 따라… 더보기

클라우드는 무슨 구름?

댓글 0 | 조회 1,245 | 2019.08.14
이세돌 9단을 이긴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는 충격이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람을 이기다니! 알파고는 ‘알파벳’이라는 회사가 만든 go(棋; 바둑)라는 프… 더보기

피 돌기 빅뱅

댓글 0 | 조회 1,181 | 2019.07.23
중국이 막아놓아도 24억이 넘게 사용한다는 페이스북이 내년부터 금융서비스를 하겠다고 선언하였다. 페이스북은 18일, 블록체인 ‘리브라’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같은… 더보기

5G 라고요?

댓글 0 | 조회 1,611 | 2019.07.09
1990년대 중반에 공개된 인터넷은 전 세계를 연결하므로 월드 와이드 웹이라고 불렀다. 인터넷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1)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