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생활로 삶을 향기롭고 기품 있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차생활로 삶을 향기롭고 기품 있게

0 개 279 템플스테이

84c4f0d07ae1ead2115a2212eb1744b2_1733286947_5709.png
 


예로부터 차(茶)는 일상생활에서 신체적인 유익함만을 가져다주는 것뿐만 아니라 정신을 수양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곧 차(茶)는 단순히 마시는 행위로 끝나는 게 아니었으므로 차 한 잔을 마시기 위해 정성껏 기물(器物)을 준비하고, 손님에게 접대하는 예절과 공경의 마음을 익히고, 유익하고 건강하게 몸과 마음을 수양하는 일에 중점을 두었다.

바쁜 현대인, 차를 생활에 초대한다면?


차를 마시는 과정에는 나름대로 형식과 절차의 예법이 있지만, 바쁜 현대인들은 최대한 간편하게 시작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차 생활을 반복적으로 계속하게 되면 이것이 습관이 되고 습관은 다시 내면의 인격을 형성하는 아름다운 요인이 된다.


한 잔의 향기로운 차가 내 앞에 있기까지 자연과 사람의 협업이 이루어진다. 토양, 햇살과 바람, 청정한 공기, 맑은 물, 찻잔을 만드는 흙, 그리고 사람이다. 세상의 모든 존재들이 각자 자신의 역할을 다 잘 해주어야 비로소 형성이 되는 이치가 있다. 자연의 정수와 사람의 정성이 만났기 때문일까? 차를 생활화 하다보면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모두를 사랑하고 생각하는 성숙한 내면의 세계를 열어가게 된다. 또한, 차는 상대방을 공경하는 마음과 내 주변을 맑고 향기롭게 하는 사고를 길러주고 건전한 대화를 나누는 가교의 역할을 한다.


차를 마시는 일은 의식집중의 훈련을 일상에 결부시켜 스트레스와 복잡한 마음을 가라앉히는 일종의 마음 수련이다. 차 한 잔으로 자신의 존재와 몸, 생각, 마음, 우주의 일체감을 체득할 수 있다. 장소가 어디든 차 한 잔만 있으면 그 자리가 ‘찻자리’이고 쉼의 공간이 된다.


84c4f0d07ae1ead2115a2212eb1744b2_1733287008_5183.png
 

녹차부터 흑차까지 다채로운 차


차를 마실 때는 고요히 자리에 앉아 마음가짐을 따뜻하고 부드럽고 둥글게 가진다. 우주 속에 가득한 힘찬 기운을 내 안으로 천천히 모아 온다. 이것은 말로 되는 것이 아니다. 마음이 하고 정신이 하는 것이다. 몸과 마음이 움직임이 없어야 하고, 몸과 마음이 일치해서 차를 영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차(茶)를 준비한다. 좋은 차는 나오는 지역과 품종, 잎을 따는 시기, 발효 정도, 제조 방법에 따라 각각 맛과 향이 다르고 부르는 이름도 다르다. 녹차(綠茶)는 발효가 안 된 차라는 뜻으로 비발효차(非醱酵茶) 또는 불발효차라고 한다. 정확하게는 10% 이내의 산화발효 허용치를 갖는 차를 뜻한다. 실제 대부분의 녹차 발효도는 약 5% 내외이다.


백차(白茶)는 살청(殺靑: 산화효소를 제거해 산화에 의한 갈변을 억제하는 것)이나 유념(찻잎을 비벼 찻잎 안의 내용물이 나오게 하는 것)의 공정이 없이, 위조(萎凋: 생잎의 수분 함량을 적당히 줄이는 것)와 건조의 2단계 공정 과정만을 거쳐 만들어지는 차로 긴 시간 시들기만으로 가볍게 발효시킨 후 건조하는 약발효차(微醱酵茶)이다.


황차(黃茶)는 찻잎의 색이 황색이고 찻물의 색도 황색이며 우린 차의 색 또한 황색을 띠고 있어 삼황(三黃)차라 한다. 황차는 녹차 1차 가공공정과 같으나 유념 전후에 민황(悶黃: 차를 완전히 건조시키지 않은 채 종이나 천으로 싸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가볍게 발효시키는 것)이라는 발효과정을 하나 더 거쳐 만든 경후발효차(輕醱酵茶)다.


청차(靑茶)는 발효과정을 통해 원하는 향과 맛이 나면, 살청을 하여 더 이상의 발효를 막아 품질을 고정시키고 유념과 건조로 마무리한 차이다.


홍차(紅茶)는 중국에서 개발되어 오늘날 세계에서 생산  교역, 소비가 최대량을 이루고 있는 강산화발효차다.


흑차(黑茶)는 중국 변방 민족들이 주로 음용하는 거친 생엽으로 가공하며 차마교역에 의해 발전되어온 특별한 차류이기 때문에 번차(番茶)라고 불리기도 한다. 각종 흑차로 만들어진 긴압차(緊壓茶)는 중국 변방지역 소수민족의 생활 필수품이 되고 있다.


84c4f0d07ae1ead2115a2212eb1744b2_1733287038_343.png
 

나를 가장 가까이서 바로 보고 느끼는 순간


차 한잔의 여유를 즐겨보자. 탕관에 불을 켠다. 전기 포트도 상관없다. 가만히 찻물이 익어가는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물이 끓는 소리의 시작을 송풍성(松風聲)이라고 한다. 이는 소나무에 바람이 지나는 소리와 같아서 내 마음이 청산에 들기도 하고, 물이 끓을 때는 파도를 닮아서 이때는 바다를 떠올리게 한다. 바쁜 일상 속에서 차 한 잔의 여유로 산도 강도 바다도 내 안으로 가져와 평온함을 가질 수 있다.


물이 다 익으면 다관에, 잔에 물을 따르면서 잔을 맑힘과 동시에 마음을 맑히고 잔을 따뜻하게 데우면서 나를 따뜻하게 한다. 이는 또한 세상이 따뜻해짐을 느끼는 과정이 된다.


다관에 싱그러운 차를 담고, 맑고 따뜻한 물을 붓는다. 찻잎에 물이 닿는 순간 처음 차가 나뭇가지에서 나오던 때의 피어나는 모습을 보게 된다. 이럴 때면 내 손에 있는 작은 찻잔하나도 우주처럼 넓어 보인다. 차를 따르고 찻잔을 잡았을 때의 따뜻한 온기는 언 마음도 정신도 녹게 한다. 차 한 잔이 내 앞에 오기까지 하늘과, 땅과, 세상에 대한 감사함을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따뜻한 햇살과 바람 천지의 아름다운 기운들이 모여 찻잎을 틔운다. 사람의 향기가 더해진 차 한 모금을 입안으로 담는다.


찻잔 안의 세상은 내 마음의 자리이다. 나를 가장 가까이서 바로 보고, 바로 느끼는 순간이 된다. 


■ 출처: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 매거진(vol.64)


기다림은 아련히

댓글 0 | 조회 164 | 2025.01.14
시인 조 병화이제, 여름 가고 가을 가고인생의 겨울로 접어들면서기다림은 먼 소식처럼 아련해지며맑게 보다 맑게가볍게 보다 가볍게엷게 보다 엷게부담 없이 보다 부담 … 더보기

CES 2025를 미리 보며

댓글 0 | 조회 232 | 2025.01.14
미루다가 스마트폰을 바꾸었다. 늘 퍼스트 무버(first mover)였던 내가 스마트폰 가격이 너무 비싸고 2년 정도마다 바꾸는 것에 저항감이 있어서 이번에는 오… 더보기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댓글 0 | 조회 580 | 2025.01.10
미국 하버드대학 연구진은 미국과 유럽에서 실시한 치매(Dementia)와 유병률에 대한 7가지 다른 연구에 참가한 65세 이상의 약 4만9000명을 분석했다. 연… 더보기

39. 카이로프랙틱 스트레칭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967 | 2025.01.03
(먼저 이 프로그램을 지도해 준 오클랜드 남부 푸케코헤 카이로프랙틱의 Dr. Jodie Blackbourn이라는 분께 감사를 드린다. Jodie와 그분의 남편이 … 더보기

지역별 암 진료 건수

댓글 0 | 조회 485 | 2024.12.31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3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 연보>를 2024년 12월 12일에 발표했다. 이 통계연보는 작년 한해 국가 건강검진 대상인 6대 … 더보기

계엄령, 그리고 뉴질랜드 헌법

댓글 0 | 조회 1,562 | 2024.12.18
이번에는 기존 주제에서 잠깐 벗어나, 현재 ‘뜨거운 감자’가 된 계엄령 관련 칼럼을 적어볼까 합니다.지난 12월 3일 밤, 윤석열 현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더보기

이 시대의 야만을 응시하는 법

댓글 0 | 조회 371 | 2024.12.18
▲ 왼쪽부터 이연식의 ‘다시 조선으로’, 조형근의 ‘콰이강의 다리 위에 조선인이 있었네’.지난여름에 프란치스코 교황은 문학의 역할에 관한 서한을 발표했다. 각기 … 더보기

38. 각종 미네랄을 무시하면 생기는 일들

댓글 0 | 조회 387 | 2024.12.18
사람의 몸이 필요한 영양소 중에서 극히 소량을 차지하지만, 미네랄과 비타민 종류는 생사가 달린 중요한 영양소들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열량 섭취를 중요하다고 … 더보기

12월은 크리스마스

댓글 0 | 조회 244 | 2024.12.18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왜 이제는무릎 높이만큼 눈이 오지 않을까성탄 연습 가는 길은흔들리며 오는 눈을혀로 받으려다가콧잔등에 앉는 설레는 길이었다반짝이지 않아도색종… 더보기

내 깜냥의 표주박 하나 손에 들고 성파 스님이라는 달 뜨러 가는 길

댓글 0 | 조회 190 | 2024.12.18
봄의 통도사야 자장매가 제일이라 하지만, 홍매화가 한껏 흐드러지게 핀들 밋밋한 들판에서 사람들의 눈길을 이리 끌 수는 없었을 것이다. 천년 고찰의 우아한 배경이 … 더보기

2025년 예정된 폭넓은 고용법 개정

댓글 0 | 조회 1,480 | 2024.12.17
국민당 주도 정부 출범 직후 작성한 지난 칼럼에서는 시험근로기간 적용 범위 확대와 산업 또는 직업 단위로 대규모 단체협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을 폐기하는 … 더보기

의대입시 필수요소 MMI는 일반적인 인터뷰가 아닙니다

댓글 0 | 조회 554 | 2024.12.17
뉴질랜드 의대 치대에 입학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GPA, UCAT, MMI 3가지의 중요성은 지난 칼럼에서도 여러 번 언급한 바 있다. 이 3가지 시험을 제대로 … 더보기

GPS 교란 공격

댓글 0 | 조회 432 | 2024.12.17
산의 높이와 강의 너비를 어찌 잴까? 그걸 재기도 어렵지만 긴 자도 없지 않은가? 중학교에서 3각형을 배우면서 탄복을 한 적이 있다. 3각형의 내각의 합은 아무리… 더보기

나를 위한 기도

댓글 0 | 조회 204 | 2024.12.17
시인 안 성란많은 것을 가지지는 않았지만가진게 없다고 슬퍼하지 말게 하시고많이 배우진 못했지만타인에게 숨기려 하지 않게 하소서.가진 게 없어열심히 살아가는 부지런… 더보기

크리스마스 2010

댓글 0 | 조회 366 | 2024.12.17
드디어 그녀가 왔다.공항 대합실 많은 인파 가운데서 누가 먼저랄것도 없이 우리는 금방 찾아냈다. 굳게 껴안은 가슴으로 따뜻한 서로의 숨결이 교차했다. 살아있어서 … 더보기

코로만델, 템즈

댓글 0 | 조회 494 | 2024.12.17
바다를 건너야만 볼 수 있는 아득함이 그 곳에 있다.현실은교통이 발달되어 굽어 흐르는 도로 덕에 섬을 겨우 면한 반도지만,어떤 날이든 상관없이 명암은 바다를 등지… 더보기

병은 공개적으로 고할수록 좋다

댓글 0 | 조회 257 | 2024.12.17
병은 공개적으로 고할수록 좋습니다. 감추면 병이 됩니다. 몸의 병이든 마음의 병이든 고하세요. 그러면 쉽게 해소가 됩니다.우리 회원 중에 버거씨 병을 가진 분이 … 더보기

한국대학입시 재조명

댓글 0 | 조회 1,193 | 2024.12.14
2025학년도 수시전형 최초합격자 발표가 지난 금요일 마감되었고 우리엔젯 학생들도 연세대학교와 유니스트 등 명문대학들에 최초합격자들이 나왔다.물론 추가합격자 발표… 더보기

겨울철 뇌혈관질환 급증

댓글 0 | 조회 629 | 2024.12.13
▲ 뇌혈관 구조전 세계 25세 이상 인구 4명 중 1명은 평생에 한 번은 뇌졸중(腦卒中)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 사망 원인 2위에 해당한다. 우리… 더보기

평화, 놀랄 만큼 많이 주는 행복 에너지

댓글 0 | 조회 388 | 2024.12.04
▲ 이호철통일로문학상 수상자로 한국에 온 북아일랜드 작가 애나 번스. 그는 “평화는 놀라울 정도로 많은 것을 가져다준다”고 말한다.서울 은평구에서 주관하는 이호철… 더보기

욕실 리노베이션 : 쉽지 않은 선택들

댓글 0 | 조회 858 | 2024.12.04
지난 호에 이어 이번에도 욕실 리노베이션, 즉 바스룸 리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욕실 리노베이션을 준비할 때,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요?이 질문은 범… 더보기

대설주의보

댓글 0 | 조회 449 | 2024.12.04
시인 최 승호해일처럼 굽이치는 백색의 산들,제설차 한 대 올리 없는깊은 백색의 골짜기를 메우며굵은 눈발은 휘몰아치고,쬐그마한 숯덩이만 한 게 짧은 날개를 파닥이며… 더보기
Now

현재 차생활로 삶을 향기롭고 기품 있게

댓글 0 | 조회 280 | 2024.12.04
예로부터 차(茶)는 일상생활에서 신체적인 유익함만을 가져다주는 것뿐만 아니라 정신을 수양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곧 차(茶)는 단순히 마시는 행위로 끝나는 게 아… 더보기

선택과 집중

댓글 0 | 조회 363 | 2024.12.04
“인생은 연속되는 선택의 과정이자 그 결정의 총 집합이다”라고 레프 톨스토이(Lev Tolstoy, 1828-1910)는 말했다. 우리는 생애 중 끊임없는 크고 … 더보기

37. 나의 식사 적량은 얼마인가?

댓글 0 | 조회 561 | 2024.12.04
개인적인 식사 적량은 그 사람의 장건강 상태, 몸을 사용하는 정도, 음식의 종류, 식습관에 따라 개인 차이가 있다. 연령별 또는 체중에 따라 식사량을 일률적으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