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에 웬 송편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설 명절에 웬 송편을....

0 개 3,636 NZ코리아포스트
‘젊은이는 희망으로 살고 늙은이는 추억으로 산다던가’

구정을 맞아 귀성길이 막힌다느니 원활하다느니 수만리 밖에서 나와 무관한 사정을 듣고 보며. 그러나 그 곳에 가 있는 마음은 무관하지가않다.

명절 때마다 며느리들의 스트레스가 이슈가 되더니 이젠 시어머니 스트레스도 한몫 거들고. 어느 부부는 종교의 차이로 차례지내는 문제 때문에 이혼까지 했다던가. 요즈음의 명절풍속도는 이처럼 얼룩진 정서로 험악해져 가는 것만 같아 안타깝다. 하지만 내 어렸을적 어머니가 손수꿰매 만들어 주신 곱디고운 새옷을 펄럭이며 언니와 같이 널뛰러 다니던 생각속에서 먼 나라 설을 맞으며 내 추억속의 설은 아름답기만하다.

밤새 잘 불은 쌀을 이고 어둡고 미끄러운 길을 조심조심 방앗간을 가던 이른새벽. 장사진을 이룬 떡쌀 그릇이며 밤을 새워 가래떡을 뽑아내던 방앗간의 바쁜 대목장터. 아무 때나 떡국을 먹을수 있는 요즈음 세상에선 정말 옛날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떡 이야기를 하다보니까 문득 지난번 한국에 갔을 때 처음 먹어 본. 아주 새로운 맛의 떡 생각이 떠올라 갑자기 입안에 군침이 돈다.

생김이 별볼일 없어 함부로 이름 붙여 본 못난이 떡. 보통 쑥떡인줄 알고 한입 깨물었는데 쫀득한 질감의 씹히는 맛과 입안에 퍼지는 은근한 향이 쑥은 아니었다. 아무런 특징없이 주먹만큼 큼직한데 단단하게 뭉쳐넣은 동부콩의 속과 어울려 맛이 그만이었다. 여행길 버스 안에서 배당받은 먹거리로 출출한 빈 속이라 그렇게 맛이 있었구나 라고 생각했었는데 역시 그게 아니었다. 그 떡이 기여이 일을 내고야 말았다니...

‘모싯잎 송편!' 그 떡을 만들어 내는 떡집의 년 매출액이 10억원을 훌쩍 넘겼다는 사실에 너무 놀랐다. 그런 떡집이 십여곳이나 된다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 떡을 찾는지 짐작이 간다. 옛날의 입맛을 지금도 기억하게 만드는 굴비. 지금처럼 입맛 잃고 살 때. 참기름 발라 구운 굴비 한점 고추장 찍어 밥 먹으면 얼마나 맛있을까?

그 굴비의 명산지 ‘영광’이 이젠 ‘모싯잎 송편’으로 그 이름을 바꾸어 버렸다.

‘영광’에선 옛부터 모싯잎을 넣어 보통 송편보다 2~3배 큰 송편을 만들어 먹었다는 구전(口傳)이 있다. 향과 색감이 좋고 쉽게 변질되지 않아 그 지역의 토속음식으로 사랑받아오던 것이 2000년대 들어서면서 ‘웰빙 다이어트 식품’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영광’은 이제 모싯잎 떡으로 1~3차 산업까지 어우르는 전략산업의 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재배에서 가공판매. 관광 축제까지... 지금도 기천만원씩 든 통장을 가진 노인들이 적지 않다니 그 곳은 희망으로 살아가는 노인 천국이 아닌가.

모싯잎은 단백질, 칼슘, 섬유질, 마그네슘, 항산화물질을 다량 함유해 대장질환, 노화, 골다공증, 예방등에 효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항산화물질은 쑥의 6배, 식이섬유는 쑥의 5 배, 칼슘은 우유의 50배가 넘는다니 맛을 떠나서 충분히 웰빙 식품에서 으뜸이 될 것이다. 옛날에는 궁핍해서 먹었을 음식이 이젠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을 받으니 세상 참 많이 변했다. 택배로 날라다 먹는 사람이 많아 수요가 증폭하고 있다니 남아 도는 쌀을 소비하는데도 한 몫을 단단히 하고 있다.

옷만 해 입는 것으로 알았던 모시, 모시옷 이야기만 나오면 나는 가슴 아팠던 기억을 지울수가 없다. 날아갈 듯이 곱게 다린 모시 바지 저고리 두루마기까지. 한껏 멋을 내고 딸의 집에 오셨던 아버지의 깔끔한 모습을 영원히 잊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 날 이후 두번 다시 뵐 수 없는 먼 곳으로 영영 떠나버리신 아버지. 그렇게 건강하고 깔끔한 분이어서 돌아가심도 분명했는지. 이제 나도 아버지를 닮아 가고 싶다.

여행백 한 귀퉁이 비닐백 안에서 이틀씩이나 묵어다녀도 변함없는 맛을 자랑하던 그 떡이 모싯잎 송편이라는 것을 알고부터 아버지가 입었던 모시옷의 미운 편견을 지우기로 했다. 전혀 새로운 모시의 매력에 부질없는 내 오해같은 것은 벌써 풀어야 했을 것을...

아! 그 맛. 정말 먹고 싶다. 여기까지 택배는 안될까?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북유럽 여행기(노르웨이) 1편

댓글 0 | 조회 2,210 | 2013.03.27
'덴마크 코펜하겐’…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덴마크) 편

댓글 0 | 조회 1,972 | 2013.02.27
‘노르웨이’ &…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스웨덴)편

댓글 0 | 조회 2,798 | 2013.01.31
실야라인(silja line) 크루즈…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핀란드)편

댓글 0 | 조회 2,113 | 2012.12.21
‘러시아’를 떠…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러시아(상트 페테르 부르크)편

댓글 0 | 조회 2,271 | 2012.11.27
모스크바에서 항공편으로 한 시간 반쯤…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러시아(모스크바) 편

댓글 0 | 조회 2,135 | 2012.10.25
나이를 먹어가면서 자신감은 없어지고 … 더보기

미나리, 미나리 강회

댓글 1 | 조회 2,662 | 2012.09.25
지겹도록 비가 내려 지루하기만 하던 … 더보기

여자는 예뻐지고 싶다

댓글 0 | 조회 2,859 | 2012.08.28
몸에 탄력을 잃으니 윤끼도 사라지고.… 더보기

마지막 건배

댓글 0 | 조회 2,464 | 2012.06.27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 더보기

어느 이민 남자의 비애

댓글 0 | 조회 4,125 | 2012.05.22
불황의 수렁은 하염없이 깊어만 가는가… 더보기

그러시면 안돼죠

댓글 0 | 조회 2,560 | 2012.04.26
“엄마, 이모한테 전화 좀… 더보기

그날, 버니(Burnie)에서

댓글 0 | 조회 2,687 | 2012.03.28
크루즈 중에 배에서 내리는 날은 언제… 더보기

‘시드니’ 그리고 ‘다이아나’

댓글 1 | 조회 2,914 | 2012.02.29
잠에서 깨일 때마다 이층침대 머리맡 … 더보기

Happy new year

댓글 0 | 조회 2,747 | 2012.01.31
2012년. 첫날 새 아침. 현관문을… 더보기

12월의 노래

댓글 0 | 조회 2,972 | 2011.12.23
‘하늘을 쳐다보며 사-뿐 … 더보기

호박잎에 싸 보내는 할머니 마음

댓글 1 | 조회 3,095 | 2011.11.23
얼마 전 점심초대를 받아 어느 식당에… 더보기

그 벗꽃 길, 그리움이 있다

댓글 0 | 조회 3,063 | 2011.10.27
엊그제만 해도 죽은듯이 다소곳하던 헐… 더보기

아름다운 고별

댓글 1 | 조회 3,595 | 2011.09.27
옆집 할머니 ‘엘리자벳’이 갑자기 돌… 더보기

‘포우투카와’ 꽃잎 날리던 교정

댓글 0 | 조회 3,078 | 2011.08.24
우리가 살아가면서. 지난 일들 가운데… 더보기

차 사랑 할아버지

댓글 0 | 조회 3,058 | 2011.07.26
‘허버트’ 노인이 또 차를 바꿨다. … 더보기

그 남자의 6. 25

댓글 0 | 조회 3,523 | 2011.06.28
시니어클럽 ‘무지개’에 나오시는 분들… 더보기

오월의 그 열기처럼

댓글 0 | 조회 2,944 | 2011.05.25
뜨겁게 달아 오르던 ‘제11대 한인회… 더보기

나눔의 기쁨

댓글 0 | 조회 3,226 | 2011.04.28
큼직한 상자에 여러 옷가지들과. 먹을… 더보기

호평동에서 온 편지

댓글 0 | 조회 3,609 | 2011.03.23
어린 강아지풀과 노오란 민들레꽃이 얌… 더보기

현재 설 명절에 웬 송편을....

댓글 0 | 조회 3,637 | 2011.02.22
‘젊은이는 희망으로 살고 늙은이는 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