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8] 서울내기 전원에 살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358] 서울내기 전원에 살다

0 개 2,735 KoreaTimes
  숨가쁘게 달리던 차가 여주 "세종대왕 능" 부근에서 한숨 돌리듯 속도를 늦춘다. 엄청 조용하고 아늑했을 명당이련만 지금은 개발의 붐을 타고 근처까지 파헤쳐져 어수선했다. 그 능을 뒤로 하고  한참을 달려가니 낡고 볼품없는 기와집들이 금방이라도 쓸어질 듯 위태롭고 을씨년스러운 모습으로 나타났다. 도시로 떠난 사람들이 버리고 간 빈 집들인지?

  마을을 벗어나 못자리 논들이 반듯반듯하게 자리잡은 외줄 흙 길을 따라 얼마간 더 들어가니 낮은 산이 길을 가로 막듯 버티어 있고 그 산을 병풍처럼 산뜻한 새 양옥집 하나가 당당하지만 외롭게 홀로 서 있다. 바로 그 집인가 보다. 마당 안으로 차가 들어서는 순간 어디서 뛰쳐나왔는지 흰 강아지 한 마리가 캥캥 짖어 대는데 서울 개처럼 그악스럽지 않아 오랜만에 보는 사람들을 오히려 반기는 것처럼 싱거워 귀엽기만 했다. 개도 시골 인심을 닮는 걸까? 무겁게 닫힌 현관문이 열리면서 뛰어나오는 사촌 동생과 눈 마주칠 사이도 없이 찐하게 뉴질랜드 식으로 끌어안은 인사를 하고 보니 그가 참 많이도 낯설었다. 헐렁한 개량한복 차림에 이마에 굵게 패인 주름이며 반백의 중노인이 된 얼굴의 남자. 예전의 그가 아니었다. 주일 미사를 보고 방금 도착해서 옷을 갈아 입는 중이었다며 서둘러 일상복으로 갈아 입은 옷은 더더욱 낯선 농부 차림이었다. 긴 장화까지 신고 무엇을 하려는지 바쁘게 서두르는 모습이 영낙 없는 농사꾼을 닮아 있다. 처음 밟아 보는 흙냄새에 술에 취한 듯 허둥대 보지만 아직도 뭐가 뭔지 땅과 친해지기엔 멀었단다.  꾀꼬리처럼 예쁜 목소리로 노래 잘하는, 새내기 농촌 아낙이 된 동생댁의 농산물 비싸다는 말 못하겠다는 엄살로 한몫을 거든다.

  정년 퇴직을 하고 낯선 시골 살림을 시작한 그들, 넓직 넓직 한 방이며 재미있는 다락방까지.... 거실문 하나를 사이에 이 쪽은 어른들이. 저 쪽은 딸 내외가 아이들과 같이 더불어 사는 이상형의 사대(四代)가정이다. 시집 갈 때도 보지 못한 조카딸이 벌써 아이들 둘이나 낳았다는데 마침 시댁 어른들 뵈러 서울 나드리를 가고 없어서 만나 보지 못한 게 못 내 섭섭했다. 넓은 흙 마당에서 마음놓고 뛰노는 어린것들의 그림이 한 폭의 풍경화로 눈앞에 그려진다. 앞마당에 올망졸망 알을 품었을 감자 잎이 미풍에 나풀거리고 고구마도 몇 두렁 심어 봤다나, 연두 빛으로 새로움이 넘실대는 고국 산천의 봄나물에 게걸들린 먼 나라에서 온 이 누나를 위해 뒷동산으로 뛰어올라 두릅을 따오며 이런 맛에 여기 산다고 자랑이 한창이다. 쌉싸름하고 향긋한 풋나물 맛에 잊어 가던 옛 입맛이 되살아 난다. 어서 많이 먹으라고 옆에서 챙겨 주시는 팔순의 숙모님이 무척이나 어른이신 줄 알았는데 지금은 나와 같이 있음에 세월의 무상함을 깨닫는다. 이 끈끈한 혈육의 정을 몇 년만에 느껴 보는 것일까? 울컥 가슴이 답답해진다.

  땅과 친해지는 틈틈이 목공예로 배워 거실의 가구로 예쁘게 다듬어 배치해 놓고 그 곳이 도자기의 고을 가까운 곳이 아니랄까 봐 흙도 빚어 손수 구웠다며 도공의 흉내를 낸 소품들을 자랑하는데 제법 그럴듯했다. 새의 형상을 구상해 만들었다는 작가다운 설명까지 곁 드리며 귀여운 연적 하나를 내 손에 쥐여 준다. "이걸 보시면서 이 동생을 생각해 주시라구요" 젊었을 때의 익살은 여전히 변함이 없어 반가웠다.

  아무데도 거친데 없이 바로 내려 쪼이는 양지녁에 조르륵 놓인 장독대, 바람에 펄럭이는 빨래조차 윤기 나게 보이는 것은 풀 나무가 신선하게 뿜어내는 파란 물이 들어서일까?

  바뀐 환경에서 잘 적응해 가려고 노력하는 서울내기를, 아파트에서는 상상도 못할 편안함과 넉넉함이 물어나 심성이 푸근하고 따뜻해져 가는 것 같다. 빨간 흙이 그대로 남아 있는 빈터는 도자기 굽는 가마터로 남겨 두었다며 그가 진짜 꿈꾸는 미래는 멋진 도공이 아닐까?

  언제인가 다시 찾아올 때는, 그 가마에서 나도 손수 빚은 흙을 구워 볼 수 있을런지...
  마당가에 지천으로 깔린 나물을 뜯는다고 풀섶에 나앉은 내 사랑하는 딸 내외의 등으로 오월의 햇살이 유난히 눈부시다. 자연을 탐닉하는 젊은 부부의 다정하고 여유로운 모처럼의 휴식이 아름다운 그림처럼 내 보기에 좋다. 나의 빈 자리를 대신해 외가와 친해져 가는 그들이 늘 고맙고 대견하다.

  이 엄마를 위해 황금같은 주말에 여기까지 달려와 준 그들과 오늘의 전원일기는 오래 오래 내 기억 속에 담아두리라.

나의 기쁨조 사람들

댓글 0 | 조회 3,384 | 2008.12.23
이 해도 마지막 달, 한 해를 마무리 하면서 지난날들을 돌이켜 보지 않을 수가 없다. 살다보면 많은 인간관계 속에서 여러 가지 기복의 감정들을 경험하게 되지만 될… 더보기

양귀비꽃 하루

댓글 0 | 조회 3,000 | 2008.11.26
찌프린 하늘이 회색으로 어둡다. 그 침침함 속에 문득 시야를 밝혀 오는 화사한 다홍색 물결, 두리번거리는 낯선이의 발길을 유혹하는 곳은 잘 정돈된 넓직한 파크였다… 더보기

쌀밥에 뉘

댓글 0 | 조회 3,192 | 2008.10.30
주차장 옆, 시커먼 고목나무 팔 벌린 가쟁이에 장난치듯 길다란 밧줄을 던지고 있는 노인, 사람 키를 훨씬 넘는 위치에 여러 차례 던져 보지만 잘 걸리지 않는다. … 더보기

봄이 오는 소리

댓글 1 | 조회 3,424 | 2008.09.24
연일 쏟아지는 비속에서 그토록 안달하며 재촉을 했던가? 연두빛 봄이 찢긴 햇살사이를 비집고 성큼 성큼 한달음으로 다가들고 있다. 양지녘에 앉은뱅이 보랏빛 작은꽃이… 더보기

나나니 춤

댓글 0 | 조회 3,638 | 2008.08.27
삼십년만의 큰 태풍이란다. 홍수에 집이 잠기고 고목이 뿌리째 뽑혀 벌렁 누운 모습도 보게 되는 그런 특별한 겨울이다. 이 나라가 태풍의 소용돌이에 깊숙이 갇혀 버… 더보기

"DOULOS"의 사람들

댓글 0 | 조회 3,375 | 2008.08.13
그 날은 왜 그리도 비바람이 사나웠는지? 춥고 음산했다. 그 폭풍우 속을 해상에 나간다는게 잠시지만 고생을 각오해야겠기에 두툼한 옷으로 무장을 했다. 이 년이라는… 더보기

[383] 일탈(逸脫)의 쾌감

댓글 0 | 조회 3,130 | 2008.06.25
길고 긴 여름 가뭄에 늦더위가 기승이더니 모처럼 귀한 비가 밤새 제법 많이 내린 어느 날이다. 메말랐던 세상이 한껏 물끼를 머금고 생동감으로 넘치는데 그쳤는가 했… 더보기

[381] 멋쟁이 멋쟁이! (황혼에 피는 아름다운 꽃이어라)

댓글 0 | 조회 3,091 | 2008.05.28
요즈음같이 살벌하고 각박한 세상에 한줄기 밝은 빛으로 모든 사람들 가슴속에 훈훈한 감동을 심어준 아름다운 이야기 하나. 지난 4월 어느날, 아침 방송 뉴스시간에 … 더보기

[379] 이 가을에는.....

댓글 0 | 조회 3,238 | 2008.04.23
강산이 변한다는 십 년 세월에도 나를 잊지 않고 찾아 주는 고국의 친구들, "지금 꽃철이 한참인데 놀러 오지 않고 거기서 뭘 하느냐?"는 화사한 유혹이 번거롭다 … 더보기

[377] 우리동네 시장 풍경

댓글 0 | 조회 3,751 | 2008.03.26
화요일 아침, 다른 때 같으면 잠자리에서 게으름을 피우며 딩굴고 있을 시간이지만 벌떡 일어나 정신을 차리고 바지런을 떤다. 나이를 잊고 살자는 착각 속에 아직 여… 더보기

[375] 짧은 만남, 긴 행복

댓글 0 | 조회 3,278 | 2008.02.26
금년(2008년) 설에 내 가족모임은 멋지게 끝이 났다. 이제 모두 제 자리로 돌아가 본래의 일상으로 살아간다. 마치 아무일도 없었던 듯.... 참 멀고도 먼 길… 더보기

[373] 그 나무님!

댓글 0 | 조회 3,079 | 2008.01.30
티티랑이 언덕길 위에 우뚝 서 있는 기품있게 잘 생긴 한 그루의 고목. 아무리 나무가 잘 자라주는 이 나라라고 해도 백 년은 훌쩍 넘었음직한 위용을 갖추어 지체 … 더보기

[371] 예술처럼 늙고 싶다

댓글 0 | 조회 3,078 | 2007.12.20
"이제 늙고 볼품없어 제대로 보아주는 사람도 없는데 옷인들 신경 써서 입으면 뭘하나 츄리닝이나 걸치고 헐렁하게 살아야지" 그 누구보다 자기 관리에 충실해서 한결같… 더보기

[369] 나누며 사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94 | 2007.11.28
생각보다 무겁고 두툼한 그것을 건네 받으며 고마움보다 미안함이 앞섰다. "뭣이 이리도 많을꼬?" 금방 자를 것을 깜박하고 이른 아침에 흠뻑 물을 주어 젖어서 무거… 더보기

[367] 무지개를 따라서

댓글 0 | 조회 2,968 | 2007.10.24
무슨 사연인지 묻지는 못했지만 내일 한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어느 중년의 여인. 아쉬움 속에 마지막 라운딩을 우리와 함께 하던 날이었다. 십칠홀을 끝내고 라스트 … 더보기

[365] 오빠와 취나물

댓글 0 | 조회 3,066 | 2007.09.26
이 나이에도 친정 식구들을 떠올리면 그냥 그때의 아이로 돌아 가는 게 그리 좋다. 언니가 보고싶어 목소리라도 들어야 한다며 전화를 주실 때, 외국생활 힘들지 않느… 더보기

[363] 제니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2,994 | 2007.08.28
"처음에는 네 발로 기어 살다가 두 발로 서고 나중에는 세 발로 걷는 동물 이름이 뭐게?" 어렸을때 수수께끼로 재미있어 했던 놀이였다. 허지만 철없던 시절 사람이… 더보기

[361] 바보가 되어가는 이야기 하나

댓글 0 | 조회 2,790 | 2007.07.23
"여기 우산 떨어졌는데요" 등 뒤에서 들려 오는 말에 흘낏 돌아보니 어떤 젊은이가 내 우산을 집어서 작은 돌담에 얌전히 걸쳐 놓고 간다.(어머나 큰일 날 뻔 했네… 더보기

현재 [358] 서울내기 전원에 살다

댓글 0 | 조회 2,736 | 2007.06.13
숨가쁘게 달리던 차가 여주 "세종대왕 능" 부근에서 한숨 돌리듯 속도를 늦춘다. 엄청 조용하고 아늑했을 명당이련만 지금은 개발의 붐을 타고 근처까지 파헤쳐져 어수… 더보기

[354] "실수였다" 구요.

댓글 0 | 조회 2,791 | 2007.04.12
한입 덥석 깨물면 상큼한 향기를 뿜으며 입안으로 들어오는 신선한 사과, 건강한 치아를 가졌을 때의 그 맛을 이젠 잊어버린지도 오래다. 더구나 지금은 그런 계절도 … 더보기

[351] 순아! 잘 다녀 와

댓글 0 | 조회 3,021 | 2007.02.26
아이의 나이는 그 때 세살이었다. 그 애가 집 마당에 나서면 휀스 저쪽으로 옆집 제 또래의 아이가 우연히 이 쪽을 바라보며 서있는 것을 발견하곤 했다. 그 때마다… 더보기

[349] 고국에서 가을 단풍이…

댓글 0 | 조회 3,101 | 2007.01.30
해가 바뀌니 내가 원치 않아도 어김없이 또 나이 하나를 보탠다. “형님은 이제 ㅇ십대네요. 나는 아직 ㅇ십대인데…” 세살 아래인 흉허물없는 사이의 어떤 자매님이 … 더보기

[347] 나 홀로 밥상

댓글 0 | 조회 3,122 | 2006.12.22
나를 먼저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하게 된다는데 나는 사랑이 없는 사람일까? 살아가는데 먹는 일만큼 중요한게 없는데 왜 나는 그 일에 그리 소홀하고 성의가 없을… 더보기

[345] 젊음의 바다에 풍덩 빠져 버리다

댓글 0 | 조회 2,853 | 2006.11.27
어느 날씨 좋은 일요일 늦은 오후, 차나 마시러 나가자는 친구의 반가운 전화가 걸려왔다. 아주 사소한 일에 불과하지만 그것은 지금 나이테가 적잖은 우리가 누릴 수… 더보기

[343] 안녕하세요?

댓글 0 | 조회 2,921 | 2006.10.24
마감을 거의 앞둔 바쁜 시간에 허둥거리며 뛰어 들어간 우체국. 아무도 없는 빈 홀 안에 정리를 서두르는 직원들만 카운터 앞에서 서성거린다. “헬로! 쏘리”로 다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