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9] 고국에서 가을 단풍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349] 고국에서 가을 단풍이…

0 개 3,110 KoreaTimes
  해가 바뀌니 내가 원치 않아도 어김없이 또 나이 하나를 보탠다. “형님은 이제 ㅇ십대네요. 나는 아직 ㅇ십대인데…” 세살 아래인 흉허물없는 사이의 어떤 자매님이 짠한 메세지를 띄운게 엊그제만 같은데 벌써 새해의 카렌다를 바꿔 달았다. 서울에서는 육 백년만에 맞는 황금돼지해라나. 덕담이 적힌 카드와 편지들이 날아오고. 이제 나에게 좋은 일이란 그저 매일매일이 오늘처럼 건강하기만을 바랄 뿐 그 이상의 아무 것도 바랄 수 없는 그런 나이가 아닌가.

  편지를 펼쳐드는 순간 우수수 무언가가 발등으로 떨어지는 것이 있었다. 아기손같은 귀여운 빨간 단풍잎들. 지난 가을을 알리고 처연하게 떨어져 사람들 발밑에 채여 사라져 버릴 것들이 용케 행운을 얻어 여기까지 멀리로 날아온 고국의 단풍잎을 보면서 잠시 코끝이 시큰해졌다. 잎이 터서 자라고 파아란 청춘을 지나서 붉게 늙어 한세상 보내고 낙엽되어 떨어진 단풍잎. 그것들을 보며 마치 내 일생을 보는 것같아 마음이 착잡했다.

  “엄마 특별한 생일 그냥 넘기면 안되요. 친구들 모시고 멋진 잔치하세요.”선뜻 달려오지 못하고 안타까움, 송구스러워하며 정성으로 보내 온 값진 돈.(내 인생이 뭐 그리 대단하다고? 이 나이까지 내가 뭘 했다고?) 불황에 벌기 어려운 자식의 귀한 돈 헛되이 하고 싶지 않아 어느 ㅇㅇ에 기부해 버리고 입 싹 씻는 것도 어느 일면 내 나이를 세상에 알리고 싶지 않은 조용한 오기가 포함되었으리라.

  “오늘 제게 무슨 일이 생길지 저는 모릅니다.”로 시작되는 하느님께 맡기는 기도문이 내 가슴을 울렁거리게 한다. 보내준 분의 마음에 감동을 받으며 아직은 시시한 나이타령이나 하기보다는 시월이 한창인 설악산 단풍이나 떠올려 보는 게 나을 것같다. 내 고국 나드리는 단풍철 시월에 할꺼라고 늘 그렇게 생각해 왔는데 정곡을 찌른 데레사님의 마음 고맙기만 하다.

  온 산이 불빛으로 환하게 물드는 설악의 아름다운 가을단풍. 지치도록 사시사철 꽃 속에 묻혀 살아도 내 조국의 그것은 기억속에서 영원히 살아 꿈틀거리기 때문에 잊을 수가 없다. 그 유명한 가을 설악산을 말로만 듣다가 오 십대 첫나드리 때 접했기에 그 때의 흥분이 아직도 식지 않아 가을철만 되면 작은 동요가 일곤 하나보다. 유난스레 잘생긴 고운 빛의 잎새를 찾아 흐르는 계곡물에 내 염원을 담아 조용히 흘려 보내며 그 황홀감에 도취되어 발길을 돌릴 수가 없었다. 빨갛고 노랗고 진하고 연하고 형언할 수 없을만치 다양한 컬러의 조화로움은 그 어느 꽃동산보다 황홀하고 경이로웠다. 이글 이글 마치 불길속을 걷는 것처럼 가다보면 내가 단풍이 되고 단풍이 내가 된 것처럼 홀려 버린다. 투명하게 나풀거리는 붉은 잎들의 군무. 땅에 떨어져 깔린 잎새들은 밟기조차 안쓰럽게 곱디 고운 융단으로 철퍽 주저앉아 질펀하게 놀다 가기를 유혹하기도 한다. 그 오묘한 하느님의 작품을 내 짧은 필력으로 어찌 그려낸단 말인가. 그동안 접고 살았던 고국의 향수를 마냥 불러 일으키는 단풍잎들. 문득 데레사님의 얼굴을 떠올려 본다. 앗차! 아무리 생각해도 그의 얼굴모습을 확연히 찾아 낼 수가 없어 미안스럽고 안타깝다. 아주 짧은시간 만났다 헤어진 여인. 그리고 다시 만나지 못한 세월이 얼마인가. 사랑을 직접 실천으로 옮기는 마음씨 예쁜 그 분을 오래 오래 머리속에 각인시켜 두지 못한 내가 부끄럽고 민망스럽다.

  단풍잎을 오래 들고 드려다 보니 사물사물 시야로 들어오는 그림 하나가 또 떠오른다. 양손에 손뜨게로 뜬 장갑을 끼고 열 손가락을 부채살처럼 좍-펴서 든 내 아이의 귀여운 손이 그 단풍잎 위에 오버랩으로 보인다. 앙징스럽게 작은 손에 장갑을 끼워주면 아이는 늘 그런 모습으로 좋아하곤 했다. 귀찮아서 벗어 버리는 아이들이 많은데 그 아이는 유난히 장갑을 좋아해 심심풀이 내 뜨게질을 신나게 부추기곤 했었다. 이제 아이는 그 때의 내 나이보다 더 많은 중년이 되었고 나는 할머니가 되었다.

  별 것 아닌 지나간 일상들이 문득 견딜 수 없는 추억의 정서로 떠오르는 것을 보면 나도 어쩔 수 없이 늙었음에 틀림없다.
  “주님께서 원하시거나 허락하시는 모든 것을 어려움 중에 참으며 온전히 순종하게 하소서”
    하느님께 맡기는 기도의 끝자락이다. 보내신 데레사님의 뜻을 마음깊이 새기며 열정으로 붉은 단풍을 닮아 열심히 한 해를 살련다.

나의 기쁨조 사람들

댓글 0 | 조회 3,397 | 2008.12.23
이 해도 마지막 달, 한 해를 마무리 하면서 지난날들을 돌이켜 보지 않을 수가 없다. 살다보면 많은 인간관계 속에서 여러 가지 기복의 감정들을 경험하게 되지만 될… 더보기

양귀비꽃 하루

댓글 0 | 조회 3,015 | 2008.11.26
찌프린 하늘이 회색으로 어둡다. 그 침침함 속에 문득 시야를 밝혀 오는 화사한 다홍색 물결, 두리번거리는 낯선이의 발길을 유혹하는 곳은 잘 정돈된 넓직한 파크였다… 더보기

쌀밥에 뉘

댓글 0 | 조회 3,201 | 2008.10.30
주차장 옆, 시커먼 고목나무 팔 벌린 가쟁이에 장난치듯 길다란 밧줄을 던지고 있는 노인, 사람 키를 훨씬 넘는 위치에 여러 차례 던져 보지만 잘 걸리지 않는다. … 더보기

봄이 오는 소리

댓글 1 | 조회 3,438 | 2008.09.24
연일 쏟아지는 비속에서 그토록 안달하며 재촉을 했던가? 연두빛 봄이 찢긴 햇살사이를 비집고 성큼 성큼 한달음으로 다가들고 있다. 양지녘에 앉은뱅이 보랏빛 작은꽃이… 더보기

나나니 춤

댓글 0 | 조회 3,649 | 2008.08.27
삼십년만의 큰 태풍이란다. 홍수에 집이 잠기고 고목이 뿌리째 뽑혀 벌렁 누운 모습도 보게 되는 그런 특별한 겨울이다. 이 나라가 태풍의 소용돌이에 깊숙이 갇혀 버… 더보기

"DOULOS"의 사람들

댓글 0 | 조회 3,388 | 2008.08.13
그 날은 왜 그리도 비바람이 사나웠는지? 춥고 음산했다. 그 폭풍우 속을 해상에 나간다는게 잠시지만 고생을 각오해야겠기에 두툼한 옷으로 무장을 했다. 이 년이라는… 더보기

[383] 일탈(逸脫)의 쾌감

댓글 0 | 조회 3,138 | 2008.06.25
길고 긴 여름 가뭄에 늦더위가 기승이더니 모처럼 귀한 비가 밤새 제법 많이 내린 어느 날이다. 메말랐던 세상이 한껏 물끼를 머금고 생동감으로 넘치는데 그쳤는가 했… 더보기

[381] 멋쟁이 멋쟁이! (황혼에 피는 아름다운 꽃이어라)

댓글 0 | 조회 3,099 | 2008.05.28
요즈음같이 살벌하고 각박한 세상에 한줄기 밝은 빛으로 모든 사람들 가슴속에 훈훈한 감동을 심어준 아름다운 이야기 하나. 지난 4월 어느날, 아침 방송 뉴스시간에 … 더보기

[379] 이 가을에는.....

댓글 0 | 조회 3,246 | 2008.04.23
강산이 변한다는 십 년 세월에도 나를 잊지 않고 찾아 주는 고국의 친구들, "지금 꽃철이 한참인데 놀러 오지 않고 거기서 뭘 하느냐?"는 화사한 유혹이 번거롭다 … 더보기

[377] 우리동네 시장 풍경

댓글 0 | 조회 3,761 | 2008.03.26
화요일 아침, 다른 때 같으면 잠자리에서 게으름을 피우며 딩굴고 있을 시간이지만 벌떡 일어나 정신을 차리고 바지런을 떤다. 나이를 잊고 살자는 착각 속에 아직 여… 더보기

[375] 짧은 만남, 긴 행복

댓글 0 | 조회 3,291 | 2008.02.26
금년(2008년) 설에 내 가족모임은 멋지게 끝이 났다. 이제 모두 제 자리로 돌아가 본래의 일상으로 살아간다. 마치 아무일도 없었던 듯.... 참 멀고도 먼 길… 더보기

[373] 그 나무님!

댓글 0 | 조회 3,087 | 2008.01.30
티티랑이 언덕길 위에 우뚝 서 있는 기품있게 잘 생긴 한 그루의 고목. 아무리 나무가 잘 자라주는 이 나라라고 해도 백 년은 훌쩍 넘었음직한 위용을 갖추어 지체 … 더보기

[371] 예술처럼 늙고 싶다

댓글 0 | 조회 3,086 | 2007.12.20
"이제 늙고 볼품없어 제대로 보아주는 사람도 없는데 옷인들 신경 써서 입으면 뭘하나 츄리닝이나 걸치고 헐렁하게 살아야지" 그 누구보다 자기 관리에 충실해서 한결같… 더보기

[369] 나누며 사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802 | 2007.11.28
생각보다 무겁고 두툼한 그것을 건네 받으며 고마움보다 미안함이 앞섰다. "뭣이 이리도 많을꼬?" 금방 자를 것을 깜박하고 이른 아침에 흠뻑 물을 주어 젖어서 무거… 더보기

[367] 무지개를 따라서

댓글 0 | 조회 2,980 | 2007.10.24
무슨 사연인지 묻지는 못했지만 내일 한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어느 중년의 여인. 아쉬움 속에 마지막 라운딩을 우리와 함께 하던 날이었다. 십칠홀을 끝내고 라스트 … 더보기

[365] 오빠와 취나물

댓글 0 | 조회 3,078 | 2007.09.26
이 나이에도 친정 식구들을 떠올리면 그냥 그때의 아이로 돌아 가는 게 그리 좋다. 언니가 보고싶어 목소리라도 들어야 한다며 전화를 주실 때, 외국생활 힘들지 않느… 더보기

[363] 제니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3,008 | 2007.08.28
"처음에는 네 발로 기어 살다가 두 발로 서고 나중에는 세 발로 걷는 동물 이름이 뭐게?" 어렸을때 수수께끼로 재미있어 했던 놀이였다. 허지만 철없던 시절 사람이… 더보기

[361] 바보가 되어가는 이야기 하나

댓글 0 | 조회 2,803 | 2007.07.23
"여기 우산 떨어졌는데요" 등 뒤에서 들려 오는 말에 흘낏 돌아보니 어떤 젊은이가 내 우산을 집어서 작은 돌담에 얌전히 걸쳐 놓고 간다.(어머나 큰일 날 뻔 했네… 더보기

[358] 서울내기 전원에 살다

댓글 0 | 조회 2,748 | 2007.06.13
숨가쁘게 달리던 차가 여주 "세종대왕 능" 부근에서 한숨 돌리듯 속도를 늦춘다. 엄청 조용하고 아늑했을 명당이련만 지금은 개발의 붐을 타고 근처까지 파헤쳐져 어수… 더보기

[354] "실수였다" 구요.

댓글 0 | 조회 2,800 | 2007.04.12
한입 덥석 깨물면 상큼한 향기를 뿜으며 입안으로 들어오는 신선한 사과, 건강한 치아를 가졌을 때의 그 맛을 이젠 잊어버린지도 오래다. 더구나 지금은 그런 계절도 … 더보기

[351] 순아! 잘 다녀 와

댓글 0 | 조회 3,028 | 2007.02.26
아이의 나이는 그 때 세살이었다. 그 애가 집 마당에 나서면 휀스 저쪽으로 옆집 제 또래의 아이가 우연히 이 쪽을 바라보며 서있는 것을 발견하곤 했다. 그 때마다… 더보기

현재 [349] 고국에서 가을 단풍이…

댓글 0 | 조회 3,111 | 2007.01.30
해가 바뀌니 내가 원치 않아도 어김없이 또 나이 하나를 보탠다. “형님은 이제 ㅇ십대네요. 나는 아직 ㅇ십대인데…” 세살 아래인 흉허물없는 사이의 어떤 자매님이 … 더보기

[347] 나 홀로 밥상

댓글 0 | 조회 3,128 | 2006.12.22
나를 먼저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하게 된다는데 나는 사랑이 없는 사람일까? 살아가는데 먹는 일만큼 중요한게 없는데 왜 나는 그 일에 그리 소홀하고 성의가 없을… 더보기

[345] 젊음의 바다에 풍덩 빠져 버리다

댓글 0 | 조회 2,863 | 2006.11.27
어느 날씨 좋은 일요일 늦은 오후, 차나 마시러 나가자는 친구의 반가운 전화가 걸려왔다. 아주 사소한 일에 불과하지만 그것은 지금 나이테가 적잖은 우리가 누릴 수… 더보기

[343] 안녕하세요?

댓글 0 | 조회 2,932 | 2006.10.24
마감을 거의 앞둔 바쁜 시간에 허둥거리며 뛰어 들어간 우체국. 아무도 없는 빈 홀 안에 정리를 서두르는 직원들만 카운터 앞에서 서성거린다. “헬로! 쏘리”로 다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