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론 거북이가 행복하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때론 거북이가 행복하다

0 개 2,056 동진스님
현대 문화를 한마디의 말로 표현하라면 속도의 문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나 정보화 시대를 지향하는 지금, 속도는 누구에게나 풀어야 할 과제이며 화두로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다. 지금은 아는 것만 가지고는 제대로 행세할 수 없다. 알되 누구보다 먼저 알고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기계적인 아날로그 시대에서 전자적인 디지털 시대로 바뀌어 가면서 정보의 힘은 더욱 강조 되고 있다. 누가 정보를 더 많이, 더 정확하게 가지고 있느냐가 권력의 향방을 좌우한다. 근대의 역사를 보아도 정보에서 권력이 나온다는 것은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여기에 더욱 중요한 것이 “속도”이다.
 
더 많이, 더 정확하게 아는 것은 이미 기본이 되었고 무엇보다도 “누구보다 빨리”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한 키 포인트가 되어 버린 것이다. 
 
이러한 속도의 경쟁은 문화 정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일상생활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들은 알게 모르게 “편리함”이라는 달콤한 유혹에 넘어가 비정한 속도의 전쟁 속에 휘말리게 되었고 심지어 어느 정도는 그것을 즐기는 경향도 나타나게 되었다. 마치 속도라는 마약의 수렁에 점점 빠져 들어가고 있는 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들 지경이다. 이런 우리들의 속도 지향적 성향은 한국을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인터넷 인프라 국가로 만들었고 국민 전체가 속도의 편리함이라는 단물에 푹 젖어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사실 한국인들은 다른 민족에 비해 너무 조급하고 경쟁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생각 된다. 나 역시 한국인이므로 이러한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지만 여기 뉴질랜드에서 다른 민족들을 볼 때 내 자신을 뒤 돌아 볼 때가 많다. 은행에서 일을 본다던가 혹은 여러 사람이 모인 행사장의 출입구에서 이 곳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줄을 서서 느긋하게 자기 차례가 올 때까지 조용히 기다리는 모습에서 한국에서의 우리들의 모습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이러한 국민적 성향은 여러 가지 오랜 역사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생기는 것이어서 하루 아침에 바뀔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잘 알고 있고 또한 한국인도 나름대로 긍정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외국인들이 부러워할만한 국민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인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의 속도 지향적 성향은 지나친 면이 있다. 세계 최고의 교통사고율, 세계 최고의 이혼율, 세계 최고의 자살율….. 아무리 1등을 좋아한다고 하지만 이런 것으로 세계의 1등을 차지 하는 것에는 분명히 문제가 있지 않을까? 이러한 문제의 근본에 바로 “우리의 속도 지향적 성향”을 두지 않을 수 없다. 물질적, 경제적 측면에서 속도는 분명히 중요한 요소이다. 수많은 외적의 침입으로 생명을 위협 받았고 좁은 땅덩어리에서 여러 사람과 부대끼면서 생존해 나가려면 어쩔 수 없이 남 보다 빨리 생각하고 남보다 빨리 판단해야 했으며, 남 보다 빨리 행동 해야 했던 우리들의 삶이 지금 우리의 모습을 만들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나와 같은 나이든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를 알고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국어책에 나오는 아주 간단한 내용의 우화 이지만 이 것이 그 시대를 살아 온 우리들에게는 가슴 깊은 곳에 상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속도 빠르게 달리는 토끼보다는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한발한발 걷는 거북이에게 더욱 마음이 가고 그래서 더 믿음을 주고 나아가 거북이가 정의(正義) 라는 상식의 결론을 내리게 만들었다. 그러나 정작 현실에서는 거북이가 설 자리가 아예 없었다. 그저 각자의 양심 깊은 곳에 감춰진 빛 바랜 일기장 같아서 누가 볼 까봐 자꾸만 숨기기에 급급한 약점(weak point)일 뿐이었다. 이렇게 우리들로부터 거북이가 멀어진 대신 영악하고 재빠른 토끼가 우리들의 삶 전체를 지배하고, 우리 모두를 달리기 경주판으로 내 몰아 그저 앞으로 앞으로만 내 닫는, 오로지 1등만이 축하 받고 대접받는 비정한 세상으로 만들어 버렸다.  

우리의 이런 속도 지향적 성향은 경제적으로는 세계가 괄목할 정도의 긍정적 발전을 가져 온 것도 사실이지만 이와 반대로 경쟁에서 소외되고 뒤쳐진 사회적 약자들에게는 엄청난 고통을 가져다 주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결코 멈추지 않는 속도의 전쟁 속에서 지치고 다친 이들을 돌보아 줄 사회적 안전장치가 아직은 너무 부족하고, 경주에서 승리한 소수의 권력, 자본엘리트들은 자기 도취감에서 아직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재 한국의 솔직한 모습일 것이다. 지금 한국의 사회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대부분의 사회병리 현상은 이러한 무한 속도경쟁의 그늘이며 시급하게 처방되고 치료 되어야 할 우리의 아픈 곳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럴 때 종교의 본래 기능과 의미를 되새기는 것은 아주 유효한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요즘 들어 “힐링(Healing)”이라는 단어가 한국사회에 널리 회자되고 있는 모양이다. 이말은 상처 받은 사람들이 그 만큼 많다는 이야기일 텐데 이렇게 많은 이들이 아파하고 있는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는 것 역시 마음을 이해하고 마음을 위로 할 수 있는 종교와 종교인의 역할이 아닐까 생각된다. 마음 치유 명상으로 유명한 틱낫한 스님이 이끄는 프랑스의 “플럼 빌리지”에는 곳곳에 종이 설치 되어 있고 이곳을 지나는 사람이 이 종을 치게 되면 그 종소리를 듣는 모든 이는 가던 길,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고개 숙여 자기를 뒤 돌아보며 지금 나의 존재를 인식하는 수행을 한다고 한다. 속도는 우리에게 편리함은 가져다 줄지 모르지만 절대로 행복에 이르는 길로 인도할 수 없다. 우리는 모두 언젠가는 예외 없이 죽음에 다다를 것이다. 굳이 시간을 재촉해서 그 죽음에 일찍 이르러야 할 이유가 당신에게 정말 있는지 묻고 싶다. “멈추면 비로서 보인다”라는 말이 있다. 정말 고개가 끄덕여지는 말이다. 멈추어서 되돌아보자 거기에 우리의 참 행복이 있다.
 

[311] 엄마 마음=딸의 마음

댓글 0 | 조회 3,023 | 2005.09.28
한국에서 딸을 보러 오셨다는 내 또래의 어머니와 그의 딸이 함께 그룹이 되어 골프를 치던 날이다. 마흔을 한참이나 지난 중년의 딸이 대학 다 닐 때에 같이 배웠다… 더보기

[310] 어떤 스케치

댓글 0 | 조회 2,876 | 2005.09.28
여기 문화에 익숙해질만큼은 살았는데 아직도 수영복 차림으로 남자들 앞에 다가서기가 민망스럽다. 평일의 오전에는 특히 호젓해서 남자들 세상 같아 더욱 어설프다. 쭈… 더보기

[309] 낙엽따라 떠난 갈색의 낭만

댓글 0 | 조회 2,907 | 2005.09.28
죽이 잘 맞는 자매님 내외와 흣날리는 낙엽따라 가을 여행을 떠난다. 눈물이 날 것만 같은 이 쓸쓸한 계절에 갑자기 들뜬 낭만으로 가슴이 설레인다. 계획없이 이루어… 더보기

[307] 진이의 유학일기

댓글 0 | 조회 3,051 | 2005.09.28
아주 가끔씩 나는 진이와 현이 남매가 생각난다. 그들은 지금 한국에서 어찌 지내고 있을까? 학교는 제대로 다니고 있는지, 아니면 돈 번다고 정말로 우유배달을 하고… 더보기

[306] 다알리아 아줌마

댓글 0 | 조회 3,053 | 2005.09.28
소담스럽게 핀 다알리아꽃이 방긋방긋 웃으며 휀스넘어로 윙크를 보내오는 그 집. 유난스럽게 키가 크고 잘 생긴 갖가지 색깔의 꽃들을 보며 길을 지날 때마다 그 집 … 더보기

[305] 추억의 손수건

댓글 0 | 조회 2,924 | 2005.09.28
"엄마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꼭 건강하셔야 해요.” 보통 때와 다르게 은근하고 진지한 목소리가 갈증나게 내 귀를 간지럽힌다. “지금 어디시여?” 늘상 알면서도 … 더보기

[304] City의 밤 풍경

댓글 0 | 조회 2,830 | 2005.09.28
참 오래간만에 City에 나와 밤 거리를 걸어본다. 기승을 부리던 낮 더위가 먼 나라 이야기인양 살갗에 닿는 바람이 마냥 시원해 나도 모르게 옷깃을 여민다. 낮의… 더보기

[303] 아름다운 세상

댓글 0 | 조회 2,793 | 2005.09.28
며칠 전 내 편지함에 낯선 편지 한 통이 꽂혀 있었다. 복조리가 사진으로 찍혀 있는 근하신년 대한민국 우체국 카드였으니 분명 한국에서 보내 온 내 것이 틀림없었다… 더보기

[301] 쨈돌이 파이팅!

댓글 0 | 조회 2,997 | 2005.09.28
“주님 오늘도 그 아이에게 힘을 주시고 용기를 주시어 어렵지 않은 하루로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해 주소서” 요즈음 내 기도는 그렇게 시작되고 끝이 난다. 일곱살… 더보기

[299] 사랑하는 나의 진정한 친구 K에게

댓글 0 | 조회 3,175 | 2005.09.28
해도 마지막 저무는 달이 다가왔군요. 달랑 한장 남은 카레다 앞에서 선뜻 그 마지막 한 장을넘기기가 아쉬워 마냥 그대로 두어 보지만 결국 시간은 흘러가고 아무 의… 더보기

[294] 베티의 웃음소리

댓글 0 | 조회 2,665 | 2005.09.28
무슨 꽃일까? 부스럼 앓는 나무처럼 꺼칠한 고목나무에서 바람결에 떨어져 내린 손톱같이 가느다란 꽃잎이 온통 바닥에 하얗다. 소복하게 차를 뒤덮은 어느날 아침 긴 … 더보기

[288] 영정 사진을 찍으며

댓글 0 | 조회 3,122 | 2005.09.28
아직은 아니에요. 10년쯤 후에나 찍으세요” 누군가가 던진 달콤한 위로의 말에 귀에 솔깃했던 순간을 생각하며 씁쓸하게 웃어본다. 어느 포토 샵에서 영정 사진을 찍… 더보기

[275] 언니가 오셨네

댓글 0 | 조회 2,959 | 2005.09.28
요즈음 제법 살맛이 난다. 사람은 더불어 사는 사람이 있을 때 행복하다는 것을 다시금 실감하면서…. 언니가 오셨다. 인생살이가 그렇듯이 한지붕 밑에서 철없을 때 … 더보기

천백만 불의 집!

댓글 0 | 조회 2,714 | 2013.11.27
人生(인생)에 있어서 좋은 친구와 함께 사는 것이 개인의 기쁨이라면, 좋은 이웃과 사는 것은 가족의 행복입니다. 좋은 이웃과 함께 사는 것은 마치 꽃향기 가득한 … 더보기

가난을 팔고 부자 되세요!

댓글 0 | 조회 2,497 | 2013.11.12
사람들은 모두 잘 살려고 한다. 더 많이 얻고, 더 높이 오르고, 더 유명해 지고, 더 행복해 지기 위해서, 여러 가지 삶의 길을 걸어가고 문을 두드린다. 어떤 … 더보기

현재 때론 거북이가 행복하다

댓글 0 | 조회 2,057 | 2013.10.22
현대 문화를 한마디의 말로 표현하라면 속도의 문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나 정보화 시대를 지향하는 지금, 속도는 누구에게나 풀어야 할 과제이며 화두로… 더보기

이 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동물 - 인간

댓글 0 | 조회 5,014 | 2013.10.09
우리의 옛날 속담에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라는 말이 있는데 조금 어려운 말로는 감탄고토(甘呑苦吐)라는 사자성어로 쓴다. 우리의 이기적인… 더보기

번뇌와 수행

댓글 0 | 조회 2,189 | 2013.09.24
절에 있다 보면 가끔씩 평일에 예고 없이 찾아오는 손님들이 있게 마련이다. 물론 나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거나 절에 업무적으로 볼 일이 있어서 찾아오는 경우를 말… 더보기

나는 착한 사람인가?

댓글 1 | 조회 2,183 | 2013.09.11
우리는 살아 가면서 아주 당연하고 자명한 것들을 너무 쉽게 잊어버리거나 무시하고 지내는 경우가 흔하다. 초등학생이나 심지어 유치원 아이들 조차 아무런 이유를 대지… 더보기

절(寺)과 절(拜) 그리고 참회

댓글 0 | 조회 2,228 | 2013.08.27
“절”이라고 하면 두 가지의 의미를 떠올리게 된다. 하나는 불교의 종교적 공간(寺刹)으로서의 그것과 또 하나는 불교의 종교적 행위(拜)로서의… 더보기

보수와 진보 그리고 중도

댓글 0 | 조회 2,025 | 2013.08.14
전 세계적으로 한국처럼 이념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사회도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군다나 요즘처럼 단순한 이념간의 대결구도를 뛰어 넘어 세대… 더보기

화엄(華嚴)의 세계=우리는 하나다.

댓글 0 | 조회 2,422 | 2013.07.24
한국의 현대사 중 가장 가슴 뜨거웠던 때를 떠올리라면 나이 든 성인들은 대부분 88서울 올림픽 개막식을 첫 번째로 꼽으리라 짐작된다. 숨가쁘게 몰아치던 개발독재와… 더보기

죽음, 그 피할 수 없는 운명

댓글 0 | 조회 2,217 | 2013.07.09
“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 “태어남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이 사라지는 것이다.” &… 더보기

행복하십니까?

댓글 0 | 조회 2,217 | 2013.06.25
“당신은 행복하십니까?”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당당하게 “예”라고 말 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우리는 주… 더보기

우리는 정말 깨어 있는가?

댓글 0 | 조회 2,220 | 2013.06.11
절에서 있다 보면 불교를 처음 찾는 예비신도들이나 타종교인들의 방문을 흔히 경험하게 된다. 이때 이들이 가장 흔하게 묻는 질문이 “불교는 간단하게 한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