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보자기의 예술(보자기 전시회를 다녀와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321] 보자기의 예술(보자기 전시회를 다녀와서)

0 개 3,018 코리아타임즈
“현대 문명이 우리 여성들의 조신한 정서를 몽땅 탈취해갔구나”

  해밀톤 시립 와이카토 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보자기 전시회'를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 나이 스물 전에만 해도 집안에 들어 앉아 모란꽃에 나비가 찾아드는 동양자수 액자며, 어머니가 누벼 놓으신 동생 버선에도 작은 꽃들을 수놓았던 생각이 난다. 그러니 나보다 연상의 형님들은 손수 수놓아 만든 혼수품을 시집갈 때 가져가신 분들이니 모두가 반가운 시선으로 옛날을 회상하는 것같은 분위기였다. 허지만 200년이란 세월을 거슬러 올라가서 먼저 가신 조상들의 얼과 혼이 담긴 옛것을 보기에 한층 가슴 뜨거운 흥분으로 설레임이 컸다.

  성냥갑보다도 더 작은 천에서부터 손누비 이불까지. 천을 귀맞추어 꿰매기도 힘드는데 한올 비틀리지도 어긋나지도 않게 맞춰 바른 네모, 긴 네모의 형체로 보를 만들었다. 거기에 앙징스럽도록 작은 꽃과 새와 동물들을 수놓고 쓰기 편리하게 끈을 달았다. 올이 탱탱한 생모시가 있는가 하면 아른아른하게 꽃무늬로 속이 비치는 숙고사 그리고 반질한 생명주, 가벼운 숙고사 보에는 항라로 가장자리 테를 둘렀다. 작은 세모가 모여모여 큰 세모로 모양도 가지가지 컬러의 조화도 멋스럽다. 흰색과 남색으로 비스듬한 사선으로 배치한 숙고사보는 현대감각에도 딱 맞아 벽걸이로 써도 손색이 없을만큼 심플하면서도 깔끔해 눈길을 사로잡는다. 두바늘 뜨기, 세바늘 뜨기로 라인을 만들어 모양을 내고 가운데 작은 리본을 달아 멋을 더한 솜씨가 어찌보면 궁상맞기까지 하다. 낮에는 가사에 바뻤을테니 늦은 밤 석유등잔 앞에 쭈그려앉아 만들었을 모습들이 청승스럽도록 안쓰럽게 그려졌다. 시집살이 힘든 스트레스를 무언가 이루어 내는 성취감으로 한 바늘 한 바늘 뜨면서 위안을 삼았을까? 아니면 눈물과 한을 밖으로 드러낸 게 꽃이 되고 나비가 되었는지…….

  그 시절에 화학적인 염료가 있을리 없으니 검은 베보자기는 먹물을 드렸을 터이고 진달래 물드린 분홍, 치자빛 노랑, 쑥이나 쪽으로도 염색을 했을텐테 그 자연색이 200년이 지난 지금까지 변함이 없다는 게 놀랍다.

  빨강 비단에 모란과 공작을 수놓은 1700년대의 활옷에는 「二性之合」이라고 쓰고 복숭아가지를 든 여성이 오른쪽 가슴과 어깨 쪽에 작게 수놓아져 있고 왼쪽에는 「原之福百」이라고 쓰고 남자가 또한 복숭아 가지를 들고 있는게 이색적이었다. 깃이 없고 바로 넓은 동정이 달려 있는데 그보다 100년 후인 1800년대의 원삼에는 그동안 깃이 생겼고 색동에 금박무늬가 선연했다. 그 때가 금박무늬의 유행시대였다고 하니 한 세기의 세월 속에 옷의 형태가 많이 세련되어 있음을 비교하게 된다. 귀신을 쫓는다는 복숭아 가지, 두 性이 합쳐져 백가지 복을 누리라는 뜻이 300년전 활옷에 담겨 있으니 오늘날의 웨딩드레스는 먼 훗날 어떤 의미로 받아 드릴지 궁금하기도 하다.

  여덟폭 꽃수가 찬연한 병풍 앞에 석유등잔, 반닫이, 화초장, 경대, 반짇고리, 다듬이돌, 방망이, 옛날촛대 그 옆에 큼직한 수틀이 있고 비단실들이 걸쳐져 있다. 수틀 밑에 예쁘게 수놓아 만든 자집, 바늘꽂이, 가위집, 얌전하게 수틀 앞에 앉아 수를 놓다가 방금 자리를 비운 듯한 반듯하게 꾸며진 「규방」앞에서 발길이 머문다. 그 모두를 손으로 해내는 바쁜 중에도 우리 조상 여인들은 아름다운 정서가 숨쉬고 있어 가위조차도 그냥 두질 않고 모양을 내서 집을 만들어 넣어 썼다. 어머니와 마주앉아 리듬을 맞추어 다듬이질 하던 생각이 떠올랐다. 우리 나라 타악기의 시작이 다듬이 소리에서 비롯된 게 아닐까? 휘엉청 달밝은 밤에 멀리서 바람결을 타고 오는 다듬이질 소리는 한가닥 청아한 음률이었기에…….

  한국자수 박물관에서 수집한 7000여종 가운데 7, 80점을 이번에 뉴질랜드에 드려다가 전시했다는 특별한 기회였다. 외국에서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아름답게 돋보이는 자랑스러움과 우리 조상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었기에 값진 추억거리로 오래오래 기억하고 싶다.

  『그리운 고향산천 가고 싶은 마음은 꿈속에 끝없구나.
  한송정 정자가에 달빛만이 외로웠고
  경포대 앞에서는 한바탕 바람 불었지
  모래 위에 해오라기 모였다간 흩어지고
  바다 멀리 물결 타고 고깃배들 오며 가며
  언제 다시 임영길을 밟아 보고, 어머니 곁에서 함께 비단옷 바느질하리.』

  손으로는 수를 놓으며 머리로는 시상을 떠올렸을 그 방. 수틀 앞에 앉은 「신사임당」님을 그려본다.

[341] 모든 것의 고마움을

댓글 0 | 조회 3,032 | 2006.09.25
아침 잠에서 깨어나 커튼을 제치니 예사롭지 않은 바람소리가 귓청을 때린다. 아마 태풍의 소용돌이에 깊이 휘말렸나 보다. 따뜻한 이불 속이 너무나 좋아 마냥 게으름… 더보기

[339] 아름다운 고별

댓글 0 | 조회 2,954 | 2006.08.21
건강이 그리 양호한 편은 아니었지만 아직 병석에 눕지는 않으신 어느 어른의 갑작스런 부음을 듣는다. 밤새 안녕이라는 말의 실감에 전율이 온다. 삶과 죽음의 갈림길… 더보기

[337] 비 속의 요정들! 겨울꽃

댓글 0 | 조회 3,056 | 2006.07.24
춥고 축축하고 구질구질한 매일 매일의 겨울날씨. 제습기가 빨아 먹고 쏟아 내는 엄청난 물의 양에 놀래면서 내가 마치 물 속에서 사는 듯 후줄근해져 이 겨울이 지루… 더보기

[335] 정서라는 양념 하나 더 김치

댓글 0 | 조회 2,932 | 2006.06.26
카렌다는 유월에 머물러 있는데 요즈음이 김장철이란다. 아직도 계절이 헷갈려 한국 같으면 지금이 몇월쯤에 해당되나 한 번씩 확인을 해봐야 수긍이 되니 여기 사람이 … 더보기

[333] 핑크빛 골프장갑

댓글 0 | 조회 3,117 | 2006.05.22
오래전부터 내 옷장서랍 한 견에는 작은 비닐백에 들은 임자 잃은 골프장갑이 얌전히 자리잡고 있었다.“나는 언제 주인님 손에 끼워져 바깥세상 구경을 하나요?”서랍을… 더보기

[332] 9988ㆍ1234

댓글 0 | 조회 2,778 | 2006.05.08
적당히 잘쓰면 좋지만 잘못쓰면 남에게 혐오감을 주는게 향수(香水)라고 늘 생각해 왔다. “아우님 내가 향수를 좀 썼는데 괜찮은지 모르겠네요.” 너무 진한 향수냄새… 더보기

[331] “여자”를 잃어가는 여성들

댓글 0 | 조회 4,111 | 2006.04.24
“아이 좋아라” 병원에서 그리 환하게 웃는 사람은 처음 보는 것 같다. 진료실 문을 나서며 밝게 웃고 나오는 친구. 마치 아이같은 모습에 밖에서 기다리던 나를 의… 더보기

[330] 그 사람 “프레드”

댓글 0 | 조회 2,872 | 2006.04.10
그사람을 또 만났다. 수영장엘 가면 만나게 되는 사람이지만 내가 자주 가질 않으니 오래간만에 만난 “프레드”다. 그의 곁에는 항상 동양 여자들이 같이 있어 이야기… 더보기

[329] 천사들의 합창

댓글 0 | 조회 2,722 | 2006.03.27
어제 비맞은 골프가방이 아직도 포켓마다 입을 벌리고 말려 달라고 보채고 있는데 오늘 아침도 여전히 비가 오락가락 검고 짙은 구름이 해를 삼켜 버렸다. 반나절을 하… 더보기

[328] 잘못된 친절

댓글 0 | 조회 2,662 | 2006.03.14
“아뿔사 그랬었구나”밤에 잠자리에 들었다가 문득 무언가를 깨닫고 벌떡 일어났다. 갑자기 옆의 누군가에게 망신이라도 당한 듯 얼굴이 화끈 달아 올랐다.(바보 못난이… 더보기

[327] 캔노인과 인삼차

댓글 0 | 조회 3,221 | 2006.02.27
휘휘익~ 가느다랗게 금속성으로 울리는 휘파람을 불며 뒷걸음으로 집에서 나오는 캔 노인, 그리고 짤랑짤랑 방울소리를 내며 종종걸음으로 따라 나오는 회색 고양이. 언… 더보기

[326] 섣달 그믐날

댓글 0 | 조회 2,814 | 2006.02.13
어제까지만 해도 구름이 오가는 변덕날씨에 바람마져 사납더니……, 오늘은 미동도 하지 않는 엷은 레이스의 창문 커텐이 답답할 정도로 무덥다. 볕은 따가워도 그늘에만… 더보기

[325] 청계천을 가보고 싶다

댓글 0 | 조회 2,707 | 2006.01.31
해가 바뀌고 나니까 마음도 바뀌나? 그럭저럭 잘 견디던 향수병이 갑자기 도지나보다. 고국이 그립다. 나 없는 사이 많이도 달라진 서울, 청계천이 다시 살아났단다.… 더보기

[324] Oh, my God! 雪花 秀

댓글 0 | 조회 3,093 | 2006.01.16
雪花! 그 글씨만 보아도 백옥같은 눈꽃이 눈에 시원하다. 요즈음 한국은 눈꽃 속에 파묻힌 하얀 나라란다. 싸한 바람 속에 소복 단장한 고궁 뒷 뜰을 산책하고 싶다… 더보기

[323] “크리스마스 페스티벌 와이카토”

댓글 0 | 조회 2,889 | 2005.12.23
남반구인 이곳 뉴질랜드의 크리스마스는 내려쬐는 태양볕 아래 정열적으로 피어나는 포후투카화 꽃 속에서 맞이한다. 바람을 잔뜩 넣어 부풀려 만든 풍선 눈사람에 줏대없… 더보기

[322] 쌍둥이 아빠 고마워요

댓글 0 | 조회 2,752 | 2005.12.12
지치도록 피곤하게 운동하고 돌아와 막 현관문에 키를 꽂는 순간이다. 마치 내가 돌아왔음을 보고나 있듯이 안에서 요란스럽게 전화벨이 울려댄다. 누가 그리 때를 잘 … 더보기

현재 [321] 보자기의 예술(보자기 전시회를 다녀와서)

댓글 0 | 조회 3,019 | 2005.11.21
“현대 문명이 우리 여성들의 조신한 정서를 몽땅 탈취해갔구나” 해밀톤 시립 와이카토 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보자기 전시회'를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 더보기

[320] 그 비취에 가면.....

댓글 0 | 조회 2,762 | 2005.11.11
처음에 그 곳을 찾았을 땐 단순히 집에서 가깝다는 지리적인것 말고 달리 갈만한 그럴 듯한 곳을 찾지 못해서였는데 이제는 정이 들대로 들어서 헤어질 수 없는 친구처… 더보기

[319] 서른여섯의 눈동자

댓글 0 | 조회 2,875 | 2005.10.25
혼자 사는게 심심하지 않느냐고 간혹 물어보는 사람이 있다. 아마 외롭지 않느냐고 묻는 말이리라. 곁에 사람이 있어도 외로울 수 있는 것이 인생인 것을…. 전자 매… 더보기

[317] 솔잎 향기 그윽한 추석을 맞다

댓글 0 | 조회 2,795 | 2005.09.28
바람 몹씨 사납던 지난 주말, 추석을 이틀 앞둔 날이다. 그 바람 속에서 악전고투로 공을 날려야만 하는 막힌 데 없는 골프장. 거의 제 정신이 아닌 상태에서 그럭… 더보기

[316] 목련이 피었네, 뚝뚝 떨어지네

댓글 0 | 조회 3,039 | 2005.09.28
자두빛 물먹은 목련이 피었네, 분홍색 화사한 벗꽃도 피었네. 소리없이 살금살금 봄이 찾아온 모양인가. 우리는 아직도 추위 속에서 떨고 있는데…. 볕발 좋으면 까짓… 더보기

[315] 골프장에서

댓글 0 | 조회 2,803 | 2005.09.28
참 변덕 많은 날씨가 뉴질랜드 날씨다. 나도 여기 살면서 날씨 닮아 그리 변덕스러워지면 어쩌나 슬며시 걱정도 된다. 파아란 하늘을 보며 기분좋게 달려가는 길인데 … 더보기

[314] 새 우 깡

댓글 0 | 조회 3,150 | 2005.09.28
새우 먹겠다고 바쁘게 달려온 세시간여의 여행, 그게 목적은 아니었지만 서울에서 모처럼 여행온 딸애를 위한 관광코스 중에 하나였기에 안내를 맡은 큰사위가 점심때를 … 더보기

[313] 바람이 흘리고 간 티끌이겠지…

댓글 0 | 조회 2,692 | 2005.09.28
친정 어머니가 아마 지금의 내 나이때쯤이라고 생각된다. 어느 날인가, 우리집엘 오셨는데 핸드백 안에서 불쑥 사진 한 장을 꺼내 내게 건네셨다. 모서리가 닳고 색도… 더보기

[312] 민들레 김치

댓글 0 | 조회 3,012 | 2005.09.28
비가 자주 내리더니 말라 붙었던 잔디가 기승을 부리듯 살아나고 온갖 잡초들이 서로 다투어 키자랑을 하듯 쑥쑥 모습을 드러낸다. 거기 빠질세라 민들레도 한 몫끼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