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큰 사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마음이 큰 사람

0 개 2,318 동진스님
이제 계절은 늦봄으로 접어들고 있는 느낌이다. 앞뜰의 감잎은 연두색으로 완연하고 수련과 백련은 둥그런 잎을 물 위로 들어내고 분홍빛 철죽은 고개를 숙이고 온 마당엔 하얀 데이지 꽃이 수를 놓고 있다. 자연의 변화와 같이 집안에서도 겨우내 쌓였던 먼지를 창과 문을 열어 털어내고 움츠렸던 마음에도 새 기운과 희망을 불어 넣을 시간이 되었다.
 
이렇게 새로운 생명들이 피어나는 찬란한 계절에 불평불만과 남을 원망하며 지낼 수는 없지 않는가? 자신을 소중히 감사히 사랑 할 줄 모르는 사람은 남을 사랑할 수 없다.

어떤 일이든 매사에 불만이 가득하여 남을 원망하며 늘 투덜거리는 스님이 있었다. 남의 좋은 면이나, 좋은 말은 하지 않고, 비난하고, 자신의 잘못 된 것은 모두 타인의 원인으로 돌리는 스님있었다. 어느 날 큰스님이 그를 불러서 소금을 한 줌 가져 오라고 했다. 그리고는 소금을 물 잔에 넣어 저어서 마시라고 했다. 영문도 모른 젊은 스님은 맛을 보고 있으니 큰스님이 물었다.

“맛이 어떠나?” 인상을 찡그리며 “어휴! 짭니다. 왜 이 짠 소금물을 마시라고 하십니까?” “응! 그래?”
 
큰스님은 다시 한 줌의 소금을 가져오라고 하시더니 근처 호숫가로 젊은 제자를 데리고 갔다. 큰스님은 제자에게 소금을 호수에 던져 넣고 휘휘 저은 뒤 호수의 물을 한 사발 퍼서 마시라고 했다. 그리고 “맛이 어떠냐?”라고 물었다. 그 제자는 “짜지 않고 시원합니다.”라고 말했다. 큰스님은 다시 “소금 맛이 느껴지더냐?”라고 물었다. 제자는 “아닙니다. 소금 맛을 전혀 느낄 수 없습니다.”라고 답했다. 그 말을 들으신 큰스님은 말씀 하셨다. 
 
“인생의 고통도 소금과 같다. 하지만 소금의 짠 맛이 담는 그릇에 따라 농도가 달라지는 것처럼 인간이 겪는 고통의 정도도 고통을 담는 그릇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이제 너는 작은 잔이 되는 것을 멈추고 스스로 넓은 호수가 되어라. 그래야 큰일을 할 수 있다.”

내 마음이 물 잔처럼 작으면 늘 얼굴을 찡그리고 불평불만으로 남을 원망하고 가족과 친구를 탓하며 살게 된다. 그러나 삶의 과정에서 오는 피할 수 없는 고통들을 거부하며 밀어 내려고 할 것이 아니라 그 고통들을 포용하며 호수와 같이 녹일 수 있는 크고 넓은 마음의 인격자라면 삶의 고통들은 서서히 녹아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맑은 행복이 찾아오고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 진다.

마음의 크기는 어떤 사건을 만났을 때, 내가 그 사건을 어떤 생각으로 바라보고 그 마음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한다. 그 마음을 다스리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처음부터 마음이 큰 사람은 없다. 어떤 일이나 사건들을 나의 입장에서만 생각하여 옳다고 고집할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입장에서 바라보고 배려하며 조금씩 마음을 양보하고 비워가야 한다. 그렇게 반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언젠가 비워질 그 마음속에 좀 더 따뜻하고 의미 있는 것들로 채워 가야 한다.

마음의 크기를 넓혀가는 것은 소인에서 대인으로 거듭 태어나는 일이다. 성공한 삶을 살려면 자신에게 너무 집착하지 말고 여유와 유연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늘 균형을 상실하지 말아야 한다. 모든 일들을 수용할 수 있다면 더 없이 좋지만 어지간한 일에 걸리지 않는 넓은 마음으로 나아 가야 한다. 이것이 마음공부이다. 살다 보면 작은 일에 화를 내는 때도 많고 큰일에도 무덤덤 웃으며 지나칠 일도 있다. 마음의 상태에 따라 어떤 마음으로 받아들이느냐가 중요하다.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 겸손한 마음으로 미소를 잃지 않고 사는 것이 필요하다. 호수와 같은 넓은 마음으로 모든 것을 감사히 받아들이고 포용하며 사랑과 나눔으로 하루하루를 만들어 가야 만족하고 행복하다. 
 
자신의 우월성과 존재감에 사로잡혀 상대를 기분 나쁘게 하는 말을 하지 말고 자신을 내려놓고 잘 못 한 일이 있다면 ‘제 탓입니다. 제 잘못입니다. 죄송합니다. 미안 합니다. 용서 하십시요. 좋은 일이 있다면 고맙습니다.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라고 진정성 있게 말 하게 되면 이 한 마디에 만남이 평화로워지고 축복 받는 넓은 마음의 인격자가 될 수 있다.     
 
대선 승리나 교민의 위한 지도자들도 넓은 가슴으로 쓴 소리를 하는 인사들을 끌어안고 후보 개인의 스타일과 정치적 입장에는 마뜩치 않은 일이라도 그게 교민과 국민의 뜻이라면 선선하게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겸손하고 친절한 마음으로 “내가 존재 할 때 남도 존재 한다”가 아니라 “남이 존재 할 때 나도 그 속에 존재 한다”라는 연기의 진리를 생각하며 행복의 깊이를 넓혀 보자.
 

모란과 연꽃의 상징적 의미?

댓글 2 | 조회 12,091 | 2013.05.29
연꽃은 불교에서는 깨달음과 지고지순의 상징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꽃이다. 그리고 불교에서는 연꽃과 모란을 대조적인 의미로도 표현한다. 모란은 겉은 화려하지만, 향기… 더보기

세상에 희망을....

댓글 0 | 조회 1,827 | 2013.05.15
불기 2557년 5월 17일 오늘은 우리들의 스승이요 인류의 성자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날입니다. 경건한 신심으로 두 손 모으고 환희로운 마음으로… 더보기

행복의 조건!

댓글 0 | 조회 1,935 | 2013.04.24
행복의 조건 중에 하나가 검소함이다. 지금 훌륭한 집, 좋은 음식, 좋은 옷, 좋은 차에 남부럽지 않은 생활을 한다고 해서 절약하지 않고 함부로 낭비와 허영과 사… 더보기

임자 없는 돈!

댓글 0 | 조회 2,335 | 2013.04.10
세간에 이런 유머가 있습니다. 사랑을 나누며 산 사람은 금메달, 사랑을 받으며 산 사람은 은메달, 사랑을 기다리며 산 사람은 동메달, 사랑을 잊어버리며 산 사람은… 더보기

인생에 시작점은 어디일까?

댓글 0 | 조회 1,935 | 2013.03.27
인간은 세상을 살면서 언제나 시작점에 서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본다. 봄을 맞이한 자연은 각각의 역량에 의해 물오름이 다르다. 먼 산에 아지랑이 피는 봄날을 … 더보기

권력을 다 사용 하지 말라!

댓글 0 | 조회 2,916 | 2013.03.12
불완전한 세상을 사는 지혜로 법연사계(法演四戒:법연 선사의 네 가지 경책)가 있다. 1. 세불가사진 (歲不可使盡) 권력을 다 쓰지 말라. 2. 복불가수진 (福不可… 더보기

기도의 응답

댓글 0 | 조회 2,384 | 2013.02.26
지금은 돌아가셨지만 울산 동광병원의 이사장으로 있던 박영철 선생을 아들로 둔 김보운화(金寶雲華)라는 불자님이 계셨습니다. 불교에 대한 믿음이 독실하였던 보운화불자… 더보기

이제 내려 놓읍시다

댓글 0 | 조회 2,243 | 2013.02.13
매미소리에 꽃들은 피어나고 그 빛깔과 향기는 바람을 타고 온갖 생명들에게 뜨겁게 전해지는 성하의 계절이다. 일조량이 많음으로 해서 동식물의 발육과 성숙도는 높아진… 더보기

돼지, 토끼, 양띠 생들은 주의 하세요! 3가지 재앙, 삼재(三災)

댓글 0 | 조회 17,702 | 2013.01.31
삼재(三災)란 계절에 비유하면 혹한기(酷寒期)로 만물의 성장이 위축 되고 정지 상태와 같아서 활동이 부자연스럽고 잘못하면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기간입니다. 부(富… 더보기

겸손합시다!

댓글 0 | 조회 1,921 | 2013.01.15
이제 2013년 계사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자연은 온통 신록이 무성하고 온갖 꽃들은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며 향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날씨는 온화하고 섬머 매미 … 더보기

부자되는 비결

댓글 0 | 조회 3,892 | 2012.12.24

가족을 위한 기도!

댓글 0 | 조회 3,420 | 2012.12.12
가족을 위한 기도는 집에서 매일 합니다. 기도의 시간은 잠자기 전이나 또는 아침 또는 오후에 선택할 수 있는데 잠자기 직전이 제일 좋습니다. 가족을 위한 기도는 … 더보기

자녀는 경쟁력 있게 키워야 한다!

댓글 0 | 조회 2,181 | 2012.11.27
주변에서 자녀 때문에 고민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다. 그 분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자녀에게도 문제가 있지만 대부분 부모에게서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자녀가 힘들어 … 더보기

현재 마음이 큰 사람

댓글 0 | 조회 2,319 | 2012.11.13
이제 계절은 늦봄으로 접어들고 있는 느낌이다. 앞뜰의 감잎은 연두색으로 완연하고 수련과 백련은 둥그런 잎을 물 위로 들어내고 분홍빛 철죽은 고개를 숙이고 온 마당… 더보기

줄을 잘 서야 한다

댓글 0 | 조회 4,231 | 2012.10.24
우리는 세상 살아가면서 줄을 잘 서야 한다는 말을 듣는다. 주변에서 줄을 잘 못 서서 피해를 본 사례도 있고, 줄을 잘 서서 득을 보는 경우도 많이 본다. 그러면… 더보기

나는 정말 쓸모 있는 사람!

댓글 0 | 조회 2,187 | 2012.10.10
세상에는 가난해서 절망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재물이 가난하면 참기 어려운 2차적인 고통을 만듭니다. 그 가난의 결과가 자기만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더 큰 결과를 … 더보기

용서 합시다!

댓글 0 | 조회 3,122 | 2012.09.26
어느 날 기원정사로 이상한 사내가 찾아와 갑자기 부처님의 얼굴에 침을 뱉었다. 부처님의 시자인 아란존자는 깜짝 놀라서 어쩔 줄 몰라 했고 부처님은 얼굴에 묻은 침… 더보기

영국의 문화 아이콘!

댓글 1 | 조회 2,482 | 2012.09.12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의 여왕이 임종을 앞두고 영국의회에서 남긴 연설입니다. 지금도 황금 연설이라 표현되면서 보는 이에게 감동을 선사합니다. “단언하건… 더보기

정신없이 살아온 세상!

댓글 0 | 조회 2,757 | 2012.08.29
서울 강남에서 자수성가해 중소기업을 운영하시는 거사님이 계신다. 그 분은 3개월 전에 속이 더부룩하여 병원에 갔다가 위암 말기에 온 몸으로 암이 전이되어 아무런 … 더보기

감동을 주는 삶!

댓글 0 | 조회 2,241 | 2012.08.15
요즘 전 세계인들이 런던 올림픽을 통해서 울고 웃고 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 감동이란 단어일 것 같다. 전혀 면식도 없는 운동선수들이 최선을 다 하는 모… 더보기

서로를 그리워하는 꽃!

댓글 0 | 조회 2,670 | 2012.07.25
사람을 애틋하게 사모하다 죽으면 상사화란 꽃이 된다고 합니다. 상사화는 봄에 피어나서 장마가 시작되는 6월이면 잎은 시들고 석 달 열흘 동안 외롭게 보내고 난 8… 더보기

스티브 잡스의 Mind

댓글 5 | 조회 3,514 | 2012.06.27
사람은 옆에 있을 때 그 진가를 잘 모르고 떠난 뒤에야 그 가치와 위대성을 안다고 한다. 그래서 있을 때 잘 하라고 한다. 삼성은 갤럭시 S3를 출시하고 그 최첨… 더보기

남국정사에 와서....

댓글 0 | 조회 2,695 | 2012.06.13
환경, 생명, 평화가 살아 숨 쉬는 이곳 뉴질랜드는 맑고 깨끗한 나라이다. 천혜의 자연 보국으로 지구상에 남지 않은 몇 안 되는 환경 국가이다. 사람을 비롯한 동… 더보기

종교의 기능

댓글 0 | 조회 3,309 | 2012.05.23
사람들은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모든 대상에 집착하고 집착은 곧 한계에 부딪쳐 불만이 심화된다.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질려면 자신의 철학과 종교가 있어야 한다.… 더보기

아들 삼형제!

댓글 0 | 조회 2,810 | 2012.05.08
인류 역사상 권력이나 기업이나 가문을 아버지가 적장자에게 지위를 계승하지 않고 다른 자녀에게 승계하는 것은 무한 경쟁시대에 그 영광을 오래 유지하기 위함이다. 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