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2] Finding the Pattern of Organization I (글의 전개방식 찾기I)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02] Finding the Pattern of Organization I (글의 전개방식 찾기I)

0 개 4,134 코리아타임즈
영어 단락에 있는 문장들의 논리 전개에는 일정한 pattern들이 존재한다. 우리는 그것을  the Pattern of Organization(글의 전개 방식)이라고 한다.  여러분들이 글을 읽을 때 이러한 pattern, 즉 글의 전개 방식을 파악하며 글을 읽어 나가면 여러분이 읽는 글의 내용을 훨씬 잘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에는 여러 종류의 글의 전개 방식이 있다.  여기에 가장 많이 쓰이는 네 가지 방식을 소개한다. 미리 덧붙이 자면 글의 전개 방식들은 여러분들이 Essay를 써나갈 때도 활용하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 Listing(열거형); Listing(열거형)은 대부분 주제문(Topic Sentence)을 두괄식 형태로 앞부분에 제시한 후 이를 뒷받침하는 사실들을 나열하는 전개방식이다.
  Listing(열거형)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열거 표시어(signals)에 유의해야 한다.
  Ex) first ~, second ~, third ~, finally ~, some ~ others ~, in addition(=bedsides = furthermore)
  다음 영문에서 확인해보자.

1) Here are some rules to remember and obey.  

2) First, find a safe place to cross, then stop.  

3) Second, stand on the sidewalk.  

4) Third, look all around for traffic and listen.  

5) Fourth, if traffic is coming, let it pass.  

6) Fifth, look all around again.  

7) Sixth, when there is no traffic, walk straight across the road.  

8) Finally, look and listen for traffic while you walk across.

  <전문 해석>
1) 여기에 기억해서 지켜야 할 몇 가지 규칙들이 있다.

2) 첫번째, 건너기에 안전한 장소를 찾아서 멈추어라.

3) 두번째, 보도 위에 서 있어라.

4) 세번째, 차량이 오가는 것(교통)에 대비하여 사방을 살피며 귀를 기울여라.

5) 네번째, 만일 차가 오고 있으면, 차가 지나가도록 해라.

6) 다섯번째, 다시 사방을 살펴라.

7) 여섯번째, 차량의 통행이 없을 때, 길을 가로 질러 똑바로 걸어가라.

8) 마지막으로, 길을 건너고 있는 동안에 차량이 오는 것에 대비하여 잘 살피며 귀를 기울여라.

  이 단락은 첫 번째 문장에 Topic Sentence(주제문)가 있는 대표적인 두괄식 문형이다.  나머지 2)번 ~ 8)번 문장들은 주제문을 논리적으로 떠받치는 supporting sentences인데, 그 전개방식이 전형적인 Listing(열거형)형식을 취하고 있다.


  두번째로 소개할 글의 전개 방식은 ordering이다.
2.Ordering (순서형);  Ordering(순서형)은 넓은 의미에 서는 Listing(열거형)에 속하지만, 글의 전개가 시간의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Ordering (순서형)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순서를 나타내는 말들(Signals)에 유의하여 읽어야 한다.
  Ex) first ~, then ~, finally ~, at the same time, when, before, after, until

  다음 영문에서 확인해보자.
  Albert Einstein was born in 1879 in Ulm, Germany.  He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Zurich in Switzerland in 1905.  In 1905 he also did some of his most famous work in physics.  In 1919 he won the Nobel Prize for Physics.  Between 1919 and 1933 he lived in Germany and traveled a lot to talk to other scientists.  Then in 1933 he had to leave Germany because of Hitler and the Nazi Party.  He moved to the United States.  From 1933 until his death he lived in Princeton, New Jersey.  He died on April 18, 1955.

  <전문 해석>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1879년 독일의 Ulm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5년에 스위스 쮜리히 대학을 졸 업했다.  또한 1905년에 물리학 분야에서 그의 가장 유명한 연구 중 일부를 완성했다. 그는 1919년에는 노벨 물리 학상을 받았다. 1919년에서 1933년까지 그는 독일에 살면서 많은 여행을 하며 다른 과학자들에게 강의를 했다.  그리고 나서 1933년에 그는 히틀러와 나찌당 때문에 독일을 떠나 미국으로 가야만 했다.  1933년부터 죽을 때까지 그는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살았다. 그는 1955년 4월18일에 죽었다.

  이 단락은 주제문이 없고 1879년 독일에서 태어나서 1955년 미국에서 죽을 때까지의  아인슈타인의 생애에 있어서 중요한 사건들이 시간적 순서에 따라서 열거되어 있는 전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대표적인 Ordering(순서형) 형식의 글이다.

  물론 Finding the Pattern of Organization(글의 전개 방식 찾기)에서도 앞서 배웠던 Reading Skills(독해 기법)를 활용할 수 있겠다.  우선 주어진 단락이 어떤 전개방식을 취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선 Skimming(훑어 읽기)으로 빨리 읽어나가고, 나아가 세부적인 내용까지 자세히 파악할 필요가 있을 때는 Clustering(묶어 읽기)으로 다시 한 번 읽어 나가면 된다.

[308] Creative Writing과 Formal Writing의 차이점

댓글 0 | 조회 4,230 | 2005.09.28
뉴질랜드의 각급 학교에서 영어시간에 배우는 writing의 종류는 크게 Creative Writing(창의적 글쓰기)과 Formal Writing(형식을 갖춘 글… 더보기

[307] Pope John Paul II와 찢겨진 태극기

댓글 0 | 조회 3,346 | 2005.09.28
There are 1.1 billion Catholics in the world. (전세계에서는 11억명의 가톨릭 신자들이 있다.) Of that total, n… 더보기

[306] Warming up for Writing a Good Essay

댓글 0 | 조회 3,423 | 2005.09.28
십여년 전부터 한국에서는 대학 입시 평가의 한 수단으로‘논술 시험'을 도입했다.‘논술'과목은 명문대 입시를 위한 마지막 관문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많은 학생들이 … 더보기

[305] SAM SUNG과 SONY의 영웅시대

댓글 0 | 조회 3,216 | 2005.09.28
다음 영문은 필자가 10여년 전에 금성출판사에서 NEW ACE 수능 영어 책을 펴내면서, 미국 원서에서 인용해 사용했던 영문 독해 지문 중의 하나이다.이 글을 읽… 더보기

[304] Finding the Pattern of Organization Ⅱ (…

댓글 0 | 조회 4,031 | 2005.09.28
지난 번에는 the Pattern of Organization(글의 전개 방식) 중에서 Listing(열거형)과 Ordering(순서형)을 살펴보았다. Listi… 더보기

[303] Waitangi Day와 광개토대왕

댓글 0 | 조회 4,114 | 2005.09.28
일본은 조선을 침략한 것인가, 대륙으로 뻗어가기 위해 길목에 있는 조선 반도로 진출한 것인가?Waitangi Day는 New Zealand 이 땅의 원래 주인이었… 더보기

현재 [302] Finding the Pattern of Organization I (…

댓글 0 | 조회 4,135 | 2005.09.28
영어 단락에 있는 문장들의 논리 전개에는 일정한 pattern들이 존재한다. 우리는 그것을the Pattern of Organization(글의 전개 방식)이라고… 더보기

[301] Forget Me Not!(Myosotis) - 나를 잊지 마세요!(물…

댓글 0 | 조회 3,961 | 2005.09.28
뉴질랜드는 구름과 바다와 하늘과 그리고 꽃의 나라이다. 뉴질랜드와 꽃하면 나에게 떠오르는 것은 Orewa 북쪽 Wenderholm Park의 Pohutukawa … 더보기

[300] Main Ideas (요지)

댓글 0 | 조회 4,334 | 2005.09.28
지난 달에는‘What is the topic?(주제란 무엇인 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단락의 Topic(주제)이‘단락 전체가 무엇에 관한 내용인가?'에서 ‘무… 더보기

[299] The passion of Christ(그리스도의 수난)와 선택의 문제

댓글 0 | 조회 3,437 | 2005.09.28
살아가면서 우리는 매 순간마다 선택을 해야한다. 한국에서 계속 살 것인가, 뉴질랜드로 이민을 떠날 것인가, 어떤 비즈니스를 할 것인가, 자녀들을 강하게 키울 것인… 더보기

[298] What is the topic? (주제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4,658 | 2005.09.28
글을 읽을 때는 언제나“What is the topic? (주제가 무엇인가?)”이라는 질문을 하면서 읽는 것이 좋다. Paragraph(소단락)의 topic, 나… 더보기

[297] Starry, Starry Night(별이 빛나는 밤에)

댓글 0 | 조회 3,931 | 2005.09.28
얼마 전 한국에서는 ‘소의 화가',‘한국 근대 미술의 출발점',‘은지화의 천재 화가'라고 불리웠던 화가 이중섭의 알려지지 않았던 마지막 유작이 발견되었다는 보도가… 더보기

[296] Guessing Meaning from Context(문맥으로 의미 파…

댓글 0 | 조회 4,032 | 2005.09.28
어떤 사진의 오른쪽 모퉁이 부분이 찢겨져 나갔다. 우리는 이 사진의 찢겨진 부분에 있던 사람이 누구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진의 원판 필름을 찾아 사진관에 맡겨서… 더보기

[295] Who Are Barbarians? (누가 바바리안들인가?)

댓글 0 | 조회 3,743 | 2005.09.28
얼마 전 한 회사의 뉴질랜더 사장이 자기 회사에서는 영어 이외의 언어로 말하는 것을 금지시 키겠다고 한 기사를 읽었다.어느 신문사이건 간에 자신들만의 독립된 편집… 더보기

[294] Clustering(묶어 읽기)

댓글 0 | 조회 3,695 | 2005.09.28
우리는 일반적으로 천천히 글을 읽어 나가는 사람 들(Slow Readers)이 빨리 읽는 사람들(Fast Readers)보다 그 글의 내용을 꼼꼼히 잘 파악 할 … 더보기

[293]Meditation on Money - 돈에 관한 명상 -

댓글 0 | 조회 3,892 | 2005.09.28
A man's worth lies not so much in what he has as in what he is. (어떤 사람의 가치는 그 사람의 재산에 있는 것… 더보기

[292]Scanning(뽑아 읽기)

댓글 0 | 조회 4,566 | 2005.09.28
You’ll often need to read material that seems too difficult - usually due to the number of… 더보기

[291] Gone too soon - Jacqueline du Pre, Jame…

댓글 0 | 조회 4,164 | 2005.09.28
사람은 언제가 죽을 때인가?언제 죽어야 주변 사람들이“너무 일찍 죽어서 안타깝다.”라고 슬퍼하지 않을 것인가? 지금 한국에서는 라디 오 FM 방송에서‘정은임의 영… 더보기

[290] Skimming(훑어 읽기)

댓글 0 | 조회 4,146 | 2005.09.28
심장병에 걸린 어린이들을 돕기 위한 자선 바자회가 열렸다. 이 행사를 주도한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가를 알기 위해 한 명, 한 명 모두의 신원을 일일이 확인해 볼… 더보기

[289] Filipinos(필리핀 국민)가 부럽습니다

댓글 0 | 조회 4,149 | 2005.09.28
"민주'시대는 이미 왔다고 하건만 진정으로 국민이, 민중이 주인이 되는 시대는 아직도 멀기 만한 것일까? 현 정권을 담당하고 있는 집권 엘리트 집단들은 대입 수학… 더보기

[288] Previewing(미리 훑어 읽기)

댓글 0 | 조회 4,038 | 2005.09.28
많은 교민들과 학생들의 요청에 의해서 이번 호부터 몇 회에 걸쳐 매월 2번째 화요일에 이민 생활과 학교 공부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영문 … 더보기

[287] the Unfinished Revolution(미완의 혁명) 이한열과 …

댓글 0 | 조회 4,028 | 2005.09.28
어느날 저녁 the New York Philharmonic Orchestra 상임 지휘자였던 Leonard Bernstein이, 연주가 끝난 후 한 fan으로부터… 더보기

[286] Plastic Surgery! Is Beauty But A Skin? …

댓글 0 | 조회 4,358 | 2005.09.28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여성들의 공통된 욕망이고, 미인을 밝히는 것은 남성들의 당연한 본능 인가? 아니면“Beauty is but a skin.(아름다움 이란 … 더보기

[285] Build Me a Son Who Will…(이런 자녀를 제게 주소서)

댓글 0 | 조회 4,327 | 2005.09.28
한국에서는 해마다 7천명이 넘는 아이들이 친부모 들에게서 버려진다고 한다.보건 복지부 통계 수치에서 만도. 가정의 달인, 눈이 부시게 푸르른이 5월에도 아마 60… 더보기

[284] Fighting 대한민국, 핸드폰!

댓글 0 | 조회 4,403 | 2005.09.28
지난 달 초 한국의 한 지방 도시 술집 화장실에서 마주친 남자가 술에 만취해 몸을 가누지 못하자, 힘을 내라는 뜻에서 주먹을 불끈 쥐며“Fighting!”하고 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