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을 배려하는 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남을 배려하는 말!

0 개 3,689 코리아타임스
저녁 후 하루 일과를 정리하고 있었는데 전화가 왔다.

스님! 지난 31일 "'2009년 신년 해맞이 템플스테이'에서 밤부터 아침까지 마음을 다해 정성껏 기도를 드렸는데 제 기도 자세가 잘못 되었다고 하네요! 제 생애 그렇게 어려운 기도를 한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와 결단으로 혼신의 힘을 기우려 몸을 잊고 자녀를 위해 기도 했는데 격려와 칭찬은 못해 줄망정, 자세가 잘못 됐니, 모양이 좋지 않니 하면서 비난을 하니 제 마음이 아픕니다. 왜 기도도 끝까지 하지 않은 사람이, 자신의 일에 성실하지 않고 남의 일에 참견하여 상처를 주는지 섭섭합니다. 앞으로 절에 가기 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그렇군요! 마음이 많이 아프시지요! 칭찬을 들어도 부족 할 텐데 얼마나 억울 하시면 저한테까지 말씀 하시겠습니까? 이왕이면 좋은 말씀을 전해 주시지 않고 남을 어렵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큰 기도와 마음 닦는 큰 수행을 하셨으니 이제 그른 말과 비난을 들어도 능히 수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기도한 보람이 있지 않겠습니까? 기도수행 하기 전이나 기도 후에 그 마음 그릇이 똑 같다면 무슨 기쁨이 있겠습니까?

그리고 나의 기도하는 자세에 조금의 문제가 있었구나! 내가 잘 했으면 그런 소리를 듣지 않았을 텐데 내가 잘못하는 부분이 있구나! 다음에는 더 잘 해야지! 이렇게 생각 해야지요. 그래야 불제자지요! 내가 불전에 지극정성 마음 받쳐 정성스럽게 기도 드렸으면 그것으로 기뻐하고 만족해야지 외부의 작용에 동요하시면 모처럼 좋은 일 하시고 원망이 커져서 감정이 쌓이게 되어 마음을 다치게 되니, 겸손하게 자신을 잘 다스리면 좋겠습니다. 또 수행이 되었는지 안 되었는지 그 마음을 시험한다고 이런 일이 있을 수도 있는 일이니, 시험에 들지 마시고, 남을 미워하시지 않으시면 스스로 그 덕이 함께 해서 행복이 따를 것입니다" 이렇게 말씀 드리고 위로 해 드리고 전화를 끊으니, 왜 사람들이 좋은 언어를 사용해서 남을 기쁘게 만족하게 해 주지 못하고 남을 어렵게 불편하게 만들어 여러 사람들을 괴롭힐까? 깊은 생각에 잠겼습니다.

말은 서로의 생각과 견해를 소통하기 위한 것으로 아주 중요한 공구이고 예술입니다.

말할 때는 성의 있는 태도로 부드러운 어감을 가져야 하며 직설적인 용어를 가능한 피하면서 일방적으로 억누르는 분위기를 조성해서는 반감만 커집니다. 될 수 있으면 긍정적인 말을 많이 하고 의문사를 적게 써야 합니다. 예를 들면 "물론 입니다, 아주 좋아요, 문제없어요" 라는 등 상대가 기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말을 많이 해야 대화가 잘 되고 상대의 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평소에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말을 많이 연습 해야 하고, 남을 비웃는 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 사람들을 기쁘게 해주는 말을 해야지, 민망하게 하는 말을 해서는 안 되고, 사람들에게 믿음이 생기는 말을 해야지, 기운 빠지게 하는 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 사람에게 이로운 말을 해야지, 다른 사람의 시간을 낭비하는 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

말은 듣는 사람이 다 기쁘도록 세심하게 배려해서 말해야 하고, 다른 사람에게 변명의 여지를 남겨 주어야지 절대로 멋대로 떠들거나 말장난을 해서는 안 되며, 다른 사람의 결점을 공격하거나 자기의 장점을 자랑하지 않는다면 자연히 사람들과 사이좋게 지낼 수 있습니다.

말의 중요성은 한 사람의 앞날과 사업에도 관계합니다.

사람을 칭찬하는 한마디의 좋은 말은 사람의 마음을 기쁘게 해서 살아 있는 동안 그것을 위해 노력하게 하고 상처를 주는 말 한마디는 오랜 친구와 반목하게 원수 되게 합니다.

그래서 말은 사람에게 있어서 아주 중요한 수양덕목입니다.

서양에서는 "하늘이 사람에게 두 개의 눈과 두 개의 귀와 하 나의 입을 준 것은 사람이 많이 보고 듣되 적게 말하라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손자(孫子)는 "사람에게 이로운 말을 해주는 것은 그 귀함이 황금과 같고,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말은 나쁘기가 마치 예리한 칼날과 같다"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논어에서는 "말 한마디로 나라를 일으키고 한마디 말로 나라를 망하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말은 신분에 맞게 해야 하고, 때맞춰 해야 하며, 더욱이 적절하게 한 뒤에는 그만해야 합니다. 절대로 실언을 해서는 안되며 행여나 헛된 말을 해서 남에게 우습게 보이거나 실없는 말로 남들에게 욕을 먹어서도 안 됩니다.

사람은 모두가 기쁘고 행복해 지기 위해 인간 세상에 왔습니다.

자기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하는 말이라도 먼저 상대가 기쁘게 받아들이기를 바라고 그 사람을 고려해서 좋은 말을 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특히 그 사람이 없을 때 비난하지 말아야 하며 칭찬하려고 하면 그 사람이 없을 때 하면 감동이 더욱 커지고 인간관계를 좋게 합니다. 좋은 말을 할 줄 아는 사람만이 상대에게 기쁨을 가져다 주면서 사람들로부터 환영받고 성공하는 사람이 됩니다.

나를 버리고 남을 먼저 생각하고 배려하면 되는데 사람들은 자신에게 집착하여 자신을 과시하기 위해 그것을 잘 할 줄 모릅니다. 새해에는 변화하는 자신을 관찰합시다.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묵은해와 새해!

댓글 0 | 조회 3,095 | 2009.12.23
새해가 찾아옵니다. 묵은해와 새해는 다른 날 같지만 12월과 1월은 둥근 원처럼 단절되지 않고 계속 이어 지면서 연속 되어 갑니다. 본질적으로 보면 다른 날, 다… 더보기

제일 얻기 어려운 것은 사람의 마음!

댓글 0 | 조회 3,557 | 2009.12.09
한해가 마무리 되어갑니다. 숨차게 달려온 12달의 순간 순간들이 삶의 고비이고 기쁨이고 희망이었습니다. 새해 1월 벽두에는 잘 살고자 다짐 했지만 큰 족적을 남기… 더보기

당신은 누구입니까?

댓글 0 | 조회 3,742 | 2009.11.26
당신은 누구입니까? 여기서 ‘당신은’ 자신입니다. 자기가 자신을 확인하는 반어법입니다. 매일 자신과 함께 생활해도 내가 누구인지 알지 못합니다. 내가 나를 알고 … 더보기

천당, 지옥, 해탈의 길

댓글 0 | 조회 3,465 | 2009.11.11
물질문명이 풍요로운 시대에 살면서 항상 만족하지 못하고 '조금만 더' 를 외치며 갈구한다. 어느 선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더 많은 부를 얻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고… 더보기

마음으로 대하는 사랑

댓글 0 | 조회 3,527 | 2009.10.27
우리는 살아가면서 서로 이해관계나 조건이 맞지 않으면 외면하고 거부하면서 산다. 이익이 없으면 떠나고 이익이 생기면 모인다. 냉혹한 현실세계에서 생존 하려면 경쟁… 더보기

10월의 의미!

댓글 0 | 조회 3,821 | 2009.10.14
꽃이 피고 잎이 무성해 지는 10월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제 두어 달 만 있으면 한해가 다 가고, 인생의 한 페이지가 가슴에 남습니다. 일 년 동안 무엇을 했는… 더보기

잘난 척 하는 사람에게!

댓글 0 | 조회 3,441 | 2009.09.23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기 자신에게도 만족하고, 더 나아가서 자신의 존재를 남의로부터 인정도 받고 인생의 무대에서 화려한 각광을 받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더보기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도 살 수 없다

댓글 3 | 조회 4,077 | 2009.09.09
뉴질랜드의 기후도 많은 교민들이 말하기를 10~15년전 같지 않다고 한다. 겨울이라도 오클랜드에 어름이 언 적이 없었다고 하는데 이번 겨울은 몇 차례 어름이 얼었… 더보기

사과와 용서는 아름다운 미덕!

댓글 0 | 조회 3,448 | 2009.08.26
사람의 마음이란 크게 쓰면 하늘을 덮고도 남지만 작게 쓰면 바늘 하나 꽂을 데가 없다. 마음을 너그럽게 쓰면 어떤 일도 용서가 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잘못을 사… 더보기

자녀와 부부의 인연!

댓글 0 | 조회 4,167 | 2009.08.12
세상의 수많은 사람과 많은 만남 가운데, 자녀와 부모, 부부의 인연은 어떤 인연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믿고 의지 하면서, 가정을 만들고, 한 평생을 살아갈까 생각… 더보기

코끼리를 피해 우물에 빠지다

댓글 0 | 조회 3,889 | 2009.07.27
어느 날 한 나그네가 거친 들판을 걸어 가고 있었는데 갑자기 사나운 코끼리가 나타나 그에게 달려들었다. 그 나그네는 정신없이 도망치면서 안전지대를 찾았지만 피할 … 더보기

노무현 전 대통령 49재 법문!

댓글 0 | 조회 3,541 | 2009.07.14
노무현 영가!불교에서는 돌아가신 고인을 영가(靈駕)라고 합니다.그 뜻은 신령한 영혼의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뉴질랜드에서는 49재 모시는 곳이 없어 오늘 7월10… 더보기

녹차의 세계화!

댓글 0 | 조회 3,190 | 2009.06.29
녹차의 세계화는 요원 한 것인가?그린 티(green tea)로 불리는 녹차는 주로 동양에서만 애호하고 서양에서는 커피를 즐긴다.각 대륙마다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의… 더보기

작은 비석 하나

댓글 0 | 조회 3,407 | 2009.06.10
노무현 전 대통령이 비극적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아주 작은 비석 하나' 세워 달라고 했다. 시신은 화장하고, 누구도 원망하지 말고, 슬퍼하지 말고, 미안해 하지 … 더보기

세상은 돈 때문에 어렵다!

댓글 0 | 조회 3,496 | 2009.05.27
세상은 온통 돈 때문에 아우성이다. 세상에서 돈은 생명줄과 같아서 삶을 지탱 해 가는 생존의 필수적 소유이다. 거부들은 여유가 있지만 가난한 사람은 나날이 걱정이… 더보기

자살을 희망으로!

댓글 0 | 조회 2,948 | 2009.05.13
어느 절에 중년 신사 한 분이 저녁 늦게 찾아와서 주지스님을 만나겠다고 한다. 나이는 한 오십이 되어 보였다. 차를 한 잔 앞에 놓고 얘기를 들어 보니 세상 살기… 더보기

네 가지 친구!

댓글 0 | 조회 2,999 | 2009.04.28
요즘과 같이 어려운 시절 친구에 대해 생각 해 본다. 부모 형제 자녀 친척의 관계도 더 없이 중요 하지만 촌수가 형성되지 않는 친구의 만남도 인생에 있어서 절대적… 더보기

참고 살아야만 되는 세상!

댓글 0 | 조회 3,109 | 2009.04.15
생활과 대화 중에 하고 싶은 말을 다 하지 못하고 참는다는 것은 어쩌면 내면적 아픔이고 고통이다. 요즘 같은 대명천지 밝은 사회에 참는다는 것은 구 버전일수 있다… 더보기

과거보다 미래를 노래하자!

댓글 0 | 조회 3,160 | 2009.03.10
사람들은 과거와 더불어 오늘을 살아 갑니다. 오늘은 과거의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과거를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은 과거가 지금보다 더 아름다울 때 더 간절 합니다.… 더보기

마음의 저울

댓글 0 | 조회 3,284 | 2009.02.24
마음의 저울은 마음의 무게를 다는 저울입니다.마음의 저울은 눈금도 없고 바늘도 없습니다.마음은 분명히 있고 작용하는데 모습이 없어서 무게를 달 수 없습니다.마음은… 더보기

능력 있는 사람!

댓글 0 | 조회 3,257 | 2009.01.28
일요법회를 마치고 한 잔의 차를 마시고 있자니 어떤 신도가 찾아와서 "스님! 사람을 미워하는데 어떻게 하면 미워하지 않을 수 있습니까? 저는 한 번 미워하면 감정… 더보기

현재 남을 배려하는 말!

댓글 0 | 조회 3,690 | 2009.01.13
저녁 후 하루 일과를 정리하고 있었는데 전화가 왔다. 스님! 지난 31일 "'2009년 신년 해맞이 템플스테이'에서 밤부터 아침까지 마음을 다해 정성껏 기도를 드… 더보기

새해의 기쁨

댓글 1 | 조회 3,311 | 2008.12.24
이제 2009년도 희망찬 새해가 밝았습니다. 많은 꿈과 희망과 기대로 설레게 합니다. 미래를 설계하고 마음을 새롭게 하고 각오를 다지며 성공적 한해를 자신합니다.… 더보기

한해의 감사

댓글 0 | 조회 3,173 | 2008.12.09
12월의 마지막 달력 한 장을 바라보면서 세월이 빠르구나! 한 해를 어떻게 보냈지 생각합니다. 우리 절에 나오는 남자 신도 한 분이 있습니다. 항상 힘들어 하고 … 더보기

뉴질랜드의 빈 그릇 운동

댓글 0 | 조회 4,111 | 2008.11.26
빈 그릇 운동은 음식을 먹을 만큼 덜어서 먹고, 남기지 않고 깨끗이 비워서 가정과 지구를 살리는 사회 환경운동이다. 왜 음식물을 남기지 않아야 하느냐 하면 음식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