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위들의 다도 열풍!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키위들의 다도 열풍!

0 개 3,635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
20081111133556_5276.jpg


지난 11월 1일부터 9일까지 North Shore City에서는 Heritage Week 기간으로 정해 시민들에게 다민족의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축제를 가졌다.

그 중에 '남국다도회'는 11월 6일에 11시부터 1시까지 Northcote 도서관으로부터 한국다도 시연을 초대 받고, 도서관 안에서 몰려든 키위들에게 정통다도 시연 Korean Tea Ceremony와 차 시음 서비스를 펼쳤다. 키위들은 한국문화의 새로운 모습을 본다며 흥미로워 했고, 차 맛도, 향기도 뛰어나다고 좋아했다.

커피만 마시던 키위들은 다도시연을 진지하게 관찰하고 그 의미를 알려고 했다.

'커피와 그린 티는 어떻게 다르고 또 다도란 무엇이란 말인가?'라며 궁금해 했다. 차를 그냥 맛으로 마시면 음료가 된다. 그러나 차에 의미를 부여하면 다도(茶道)가 된다.

茶자는 나무 목자(木)와 풀초 변 (艹)과 사람 인(人) 3자로 구성되어 있다. 풀어서 해석해 보면 차를 마시는 사람의 인품은 나무처럼 너무 딱딱하지도 말고 풀처럼 너무 연약하지도 말고, 또 강할 때는 강하고, 부드러울 때는 부드럽게 중도(中道)를 유지하면서 마음을 돌아보고 인격을 수양하라는 뜻이다.

차를 다관에 넣고 물을 부어 너무 오래 우리면 맛이 떫고, 일찍 따르면 맛이 싱겁다. 비유하면 거문고의 최상 음을 얻기 위해서는 그 줄의 현을 가장 알맞게 조율 했을 때 좋은 음을 얻을 수 있는 것과 같다. 이 중도의 진리가 생활화 되고 사회화 될 때 우리의 마음과 사회는 혼란스럽지 않고 안정되고 평화롭다.

다도정신을 현실에 적용해 보면 정치를 너무 강하게 하면 위기를 맞이하고, 너무 약하게 하면 혼란스러워진다. 경제도 너무 고금리로 가면 성장이 둔화되고, 너무 환율이 낮아도 수출이 어렵다.

돈도 너무 많이 쓰면 빚을 지고, 너무 인색하면 고독해 진다. 친절이 너무 지나치면 아부가 되고, 부족하면 고독해 진다. 운동도 강하면 몸에 해롭고, 약하면 건강을 잃는다. 사업도 투자를 너무 많이 해도 부도가 나고, 너무 적게 해도 비전이 없다.

이와 같이 한 잔의 차를 알맞게 우려 마시면서 그 마음이 아내에게, 남편에게, 자녀에게, 사업과, 돈과 건강과 인간관 계가 너무 강한지 너무 나약한지 확인하면서 마실 때 지혜를 얻고 좋은 결과를 얻는다. 차(茶)에는 이와 같이 양변에 기울지 않고 그 양변을 수용하는 진리를 담고 있다.

이 진리에는 평화와 행복 자유의 깊은 뜻이 있다. 정치인 이 경제인이 문화인이 일반인들이 한 잔의 차를 마시며 그 뜻을 의미하고 사회화 할 때 가정과 나라가 발전하고 평화롭다.

새로운 21세기를 살아가면서 정치, 경제, 사회, 가정이 어려울 때 차(茶 )의 정신은 단순한 음료의 차원을 넘어 기계 문명의 어둠을 풀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런 뜻에서 조선의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은 <茶를 마시는 민족은 흥하고, 茶를 마시지 않는 민족은 쇠한다>라고 했다. 그 말은 차의 정신을 인격화하는 사람은 발전하고 차를 마시지 않는 사람은 퇴보한다는 뜻일 것이다.

그는 전남 강진에서 20여 년 동안 언제 사약이 내려올지 모르는 불안하고 긴긴 유배생활에서 茶로서 고독과 울분을 위로하며, 중도의 균형을 잃지 않으려고, 茶를 사랑하고, 호를 다산(茶山)이라 하고, 사는 집을 다산초당(茶山草堂)이라 현판을 걸고 저술과 차 생활로 극복하면서 복권되었다.

다산과 동시대를 살았던 한국의 다성(茶聖) 초의선사는 차를 노래하기를 "고래성현구애다(古來聖賢俱愛茶): 옛부터 성현들은 모두 차를 사랑했으니. 다여군자성무사(茶如君子 性無邪): 차는 군자와 같아서 그 성품에 사악함이 없기 때문 이다"라고 했다.

이와 같이 사사로움이 없는 차는 인간의 정신을 인격화 시키는 따뜻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차를 마시는 동안 차를 통한 명상 속에 놓이게 되고, 차를 통해 자연과 인간에 대한 사랑과 영혼을 담아 낼 수 있다. 명상은 거지를 황제로 만들 수 있다. 명상이 없으면 황제도 거지로 추락할 수 있다. 이 명상을 통해 자신의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서 각성 할 때 <제 삼의 눈>을 얻는다. 각성을 통해 인간은 더 진화 된 의식을 가진다. 이런 사유의 방법과 열린 시각이 茶와의 만남이다.

한 잔의 茶를 격 있게, 의미 있게, 행복하게 마시자!

일찍이 프랑스의 문명비평가 '기 소르망'은 <문화가 한 국가의 의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했다. 문화의 수출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와 효능을 안겨 준다. 이번 행사는 지난 9월 코리안 나이트에서 내빈들에게 시연 한 다도 행사를 본 노스코트 도서관장의 초대로 이루어 진 것으로 이제 교민사회를 넘어 키위들에게 전파 되는 것에 보람을 느낀다.

환경과 문화의 나라로 일컬어지는 뉴질랜드에서 코리언들은 고유한 문화를 현대적, 과학적으로 계승 발전시켜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고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경쟁력 있는 문화교역의 역할을 다해서 현지화에 노력하고 기쁨을 얻자.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ow

현재 키위들의 다도 열풍!

댓글 0 | 조회 3,636 | 2008.11.11
지난 11월 1일부터 9일까지 North Shore City에서는 Heritage Week 기간으로 정해 시민들에게 다민족의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축제를 가졌다.그… 더보기

아침에 고구마 식사!

댓글 0 | 조회 5,062 | 2008.10.30
해외에 살다 보면 아침식사를 제대로 하기가 쉽지 않다. 교민들이 대게 늦게 자고 아침 일찍 일어나다 보니 아침 준비 하기도 바쁘고 입맛도 없다. 자녀들은 우유에 … 더보기

좋은만남

댓글 1 | 조회 3,256 | 2008.10.14
1993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에 오정해, 김규철, 김명곤 주연의 영화 <서편제>는 한국영화 최초로 1백만 관객을 동원하고 제31회 대종상 작품, 감독,… 더보기

겉 다르고 속 다르고”- 종교편향(Ⅱ)

댓글 1 | 조회 3,108 | 2008.09.23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시장 재직 시 종교 편향으로 물의를 일으킨 서울봉헌 발언을 감상해 보자! '종교평화'와 '종교 화합을 통한 국민통합'을 이렇게 해서야 이룰 수… 더보기

“겉 다르고 속 다르고”- 종교편향(Ⅰ)

댓글 1 | 조회 3,234 | 2008.09.10
종교편향은 정치 지도자나 공직자, 지휘관들이 개인적 종교와 신앙을 사적인 자리에서 표현하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공적인 자리에서 종교와 신앙적 발언을 하여 공직의… 더보기

좋은 이웃!

댓글 0 | 조회 3,102 | 2008.08.28
세월이 각박하고 신뢰할 수 없을 때는 나의 주변에 좋은 이웃이 필요하다.아니 일생을 통해서 함께 할 수 있는 좋은 이웃을 갖는다는 것은 기쁘고 행복 한 일이다.아… 더보기

음식 못하는 여성!

댓글 0 | 조회 3,549 | 2008.08.14
좋은 음식과 아름다운 음식은 보약이고 즐거움이다. 인생의 다섯 가지 즐거움인 재(財), 색(色), 식(食), 명(名), 수(壽), 오욕락(五慾 樂) 중에 순위가 … 더보기

[385] 기도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3,194 | 2008.07.22
"기도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해 기독교와 카톨릭신자, 불교도의 생각은 다를 것이다. 종교에 따라 혹은 개개인의 주관에 따라 기도에 대한 정의와 형식은 달라진… 더보기

[384] 신 '개미와 베짱이' 유혹에 빠지다!

댓글 0 | 조회 3,300 | 2008.07.08
잘 아는 우화 한 토막 중 개미와 베짱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옛날식 얘기는 아니고 새로 나온 버젼으로 말하면 이렇다. 봄부터 가을까지 열심히 일해서 많은 곡식을 … 더보기

[383] 뉴질랜드 기후변화 탄소 제로에 도전하다

댓글 0 | 조회 3,710 | 2008.06.23
뉴질랜드의 날씨가 지금 겨울의 초입인지 늦가을의 마지막 잎새인지 혼잡해 있다. 3,4,월 단풍이 화려하더니 한국에 1달 갔다 온 6월에도 입이 큰 나뭇잎들은 여전… 더보기

[382] 시위와 촛불의 의미

댓글 0 | 조회 3,495 | 2008.06.10
촛불은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 는다. 모든 종교의례에 촛불이 빠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종교의식과 제례에 촛불은 무슨 의미를 가질까? 전통적으로 구도자들은 … 더보기

[381] 부부의 화내는 마음!

댓글 0 | 조회 3,092 | 2008.05.27
얼마 전 신도님이 오셔서 함께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직장에 다니는 아내가 퇴근하고 집에 돌아와서 보니 남편은 아내를 본둥 만둥하고 텔레비전만 보고 있어서 남편한테… 더보기

[380] 거짓말 대회!

댓글 0 | 조회 3,039 | 2008.05.13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거짓말 하지 않고 살아 갈 수는 없는 것인가? 진실 된 말만 하고는 생존하기 어려운 것인가? 무한 경쟁의 시대에서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자리… 더보기

[379] 5월 10일, 햐얀 백련이 피다...

댓글 0 | 조회 3,183 | 2008.04.22
아침저녁이 제법 쌀쌀한 날씨가 되었다.무덥든 더위가 지나가고 가을이 오는 느낌이다. 겨울나기를 준비하고 대비하지만 한국처럼 실감이 덜하다. 계절이 바뀔 때쯤이면 … 더보기

[378] 가진 자의 겸손

댓글 0 | 조회 3,137 | 2008.04.08
가진 자가 겸손 하다면 세상이 얼마나 아름답고 훈훈하고 행복할까 생각한다. 재물과, 명예와, 지위와, 권력이 높을수 록 겸손하고 오늘을 있게 한 주변사람들 에게 … 더보기

[377] 온 세상이 불타고 있다

댓글 0 | 조회 3,159 | 2008.03.26
온 세상이 불타고 있다.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으로 불타고, 권력과 부와, 명예와 사랑으로 불타고 있다. 이 불은 과거로부터 현재로 이어지고 미래에도 끝임없이 지… 더보기

[376] 기도는 진실하다

댓글 0 | 조회 3,013 | 2008.03.11
종교적인 예불과 기도, 참회, 수행은 타의적인 강요의 행위가 아니라 종교인으로서의 내면적인 찬탄과 자기관리와 자기 확인의 시간이다. 방일과 무지에서 벗어나 내재해… 더보기

[374] 만족한 삶

댓글 0 | 조회 3,298 | 2008.02.12
살아 가는데 있어서 만족하며 사는 삶이 무엇일까 생각해 본다. 사랑과 부와 명예와 권력을 가지고 존경 받으며 살아간다면 더없이 행복하다. 더 이상 소유하지 않아도… 더보기

[373] 설날 덕담, 복(福) 많이 받으십시오

댓글 0 | 조회 3,603 | 2008.01.30
얼마 있으면 음력으로 최대의 명절 설날(2월7일)이다. 설날이 되면 옷을 곱게 차려 입고 웃어른 들을 찾아 뵙고 세배를 드린다. 공손하게 큰절을 올리면 부모님이나… 더보기

[372] 세월을 알차게!

댓글 0 | 조회 2,897 | 2008.01.15
2008년 새해가 시작되었다. 새해에는 모두들 희망과 꿈과 목표를 가지고 출발한다. 새해에는 건강하기를, 경제적으로 안정되기를, 자녀가 공부 잘 하기를, 사업이 … 더보기

[371] 한 해의 감사, 새해의 희망

댓글 0 | 조회 3,086 | 2007.12.20
계절이 물 흐르듯 한 해의 언저리에 닿았습니다. 새해가 지난밤 꿈 같았는데 12월의 송년이 무상을 알립니다. 희망과 기대만을 가지고 살면서 이룬 일도 있고 미완의… 더보기

[370] 불교의 경제관

댓글 0 | 조회 2,840 | 2007.12.11
무욕의 삶을 사는 승려로서 돈의 자유로움에 관한 글을 2어편 기고 했더니 비평이 있는 모양입니다. 돈을 소유하되 집착과 구속된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 더보기

[369] 부자되는 마인드 개발 5단계

댓글 0 | 조회 2,884 | 2007.11.27
'인터넷의 부처'라고 불리는 조 비테일 박사는 전 세계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마케팅 전문가로, '영혼 마케팅'의 창시자다. 평생 동안 정신과 마케팅을 결합한 통… 더보기

[368] 돈과 유혹

댓글 0 | 조회 2,981 | 2007.11.12
우리 주위에는 셀 수 없는 유혹이 산재해 있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든 욕구에 유혹이 있다. 돈, 명예, 권력 인간관계, 음식 등 그 중에 돈과 권력 앞에 무릎… 더보기

[367] 세상을 비추는 거울

댓글 0 | 조회 3,586 | 2007.10.24
사회의 행복과 정의를 위해 사람들은 제도를 만들고 환경을 지킨다. 그 제도는 기준이 되고 환경은 삶의 터전이 되고 그 속에서 살아가며 자신을 비춰 보게 한다. 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