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하기 조차 힘든 Auxiliary Verb(조동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발음하기 조차 힘든 Auxiliary Verb(조동사)

0 개 7,280 NZ코리아포스트
나는 영문법 선생이 아니라 영어 선생이다. 또한 한국에서 지학사, 맨투맨, 금성 출판사 등에서 영어 참고서를 지난 해 말까지 17권을 출간 한 중에서 1권만이 본격적인 영문법 책이고 독해 참고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또한 지난 해 말 한국에서 메가 스터디, 메가 북스와 출판 계약을 하고 뉴질랜드로 돌아와 지금 부지런히 제일 먼저 원고를 쓰고 있는 책도 영문 독해 책이다. 이 책을 다 쓰고 나면, 쓰기 책과 이휘 책을 올해 말까지 쓸 예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질랜드에서 영어를 가르칠 때는 유독 영문법을 강조하게 된다.

왜 일까? 학생들에게 바로 Essay를 쓰는 훈련을 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한국 출신의 학생들은 의대나 치대 또는 법대에 진학을 희망한다.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의대나 법대 1학년에 입학해서 많은 책을 읽고 에세이를 써서 제출해야 할 때, 탄탄한 영어 실력이 뒷 받침 되어있지 않으면 버텨낼 재간이 없다. 이 때 말하는 영어 실력은 말하고 듣는 영어 실력뿐 아니라, written English (읽고 쓰는 영어) 실력에 더 중점을 둔 것이다. 또한 spoken English라 하더라도 주어진 논제에 대해서 학문적인 토론을 하고 발표를 할 수 있는 고급 Written English 수준의 회화 실력인 것이다.

Spoken English에서 Written English로 옮겨져 가는 중간 단계에 바로 English Grammar (영문법)라는 과정이 있다. 피할 수도 없고 피해서도 안되는 과정이다. 미국에 있는 조카들은 초등학교 말 정도에 미국 공립 학교 정규 교과 과정에서 영문법을 배웠다. 또한 미국에서 초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에 진학하는 주로 원어민 학생들이 보는 SAT 영어 시험에도 영문법 문제가 꽤 많이 출제된다. 그런데도 뉴질랜드 일선 학교 교과 과정에는 영문법 과목이 없다. 왜 일까? 미국과 한국과 이나라의 대학 진학률과 산업 구조 등을 비교 종합해서 곰곰히 생각해 보시기 바란다.

영어 vocabulary의 60-70%는 고대 그리스어나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문법을 가리키는 grammar라는 영어 단어도 역시 letter(글자)를 뜻하는 ‘gramma’라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온 말이다. 즉, spoken language(말하고 듣는 언어)에서 뿐만 아니라, 특히 written language(문자로 읽고 쓰는 언어)에 보다 더 엄격히 적용되는 언어 사용 규칙이 바로 문법인 것이다.

영문법 중에서 일목 요연하게 정리되는 것이 아니라, 배웠다 하더라도 끊임없이 다시 확인하여 정리해 두어야 하는 것이 조동사다. 한국에서 흔히 ‘조동사’라고 부르는 영어 단어 auxiliary도 역시, 영어 발음치고도 약간 껄끄러운 발음이라고 느껴지는데서 알 수 있듯이, 원래의 영국 지역에서 쓰던 낱말이 아니라 to help(도와주다)의 뜻을 갖고 있는 라틴어 ‘auxilium’이라는 단어에서 온 말이다. 따라서 auxiliary verb는 뒤에 따라오는 main verb를 ‘도와주는, 보조해 주는’ 동사라는 뜻이다. 간단히 auxiliary라고 부르기도 하고 쉬운 말로 helping verb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보통 ‘조동사’라고 뭉뚱그려 같이 묶어서 가르치지만 미국이나 영국에서 출판된 많은 영문법 책에서는 auxiliary verb를 primary auxiliary verb(be, have, do)와 modal auxiliary verb(can, may, must should…)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be, have, do’는 그 자체가 main verb(본동사)로 쓰일 수도 있고, 다른 동사들 앞에서 auxiliary(조동사)로 쓰일 수 있는데, main verb(본동사) 앞에서 auxiliary(조동사)로 쓰일 때는 자체의 특별한 뜻은 갖고 있지 않고 main verb를 도와주는 auxiliary 기능 만을 한다. 이러한 auxiliary를 primary auxiliary(기능 조동사)라 한다.

Primary auxiliary와는 달리 그 자체로는 main verb(본동사)로는 쓰일 수 없고, main verb(본동사) 앞에서 possibility(가능성)나 ability(능력), permission(허락), volition(의지) 등의 뜻을 더해주며 auxiliary verb(조동사)로만 쓰이는 ‘can, may, might, must, should, will, would’ 등을 modal auxiliary verb(양태 조동사) 또는 간단히 modal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modal 중에서 ‘can’은 ability(능력)나 possibility(가능성), permission(허락)의 뜻을 갖고 있고, ‘may’는 possibility(가능성)나 can을 쓸 때 보다는 좀더 공손한 표현이 되는 permission(허락)의 뜻을 갖고 있다. 또한 ‘의무’를 나타내는 auxiliary로 must와 have to를 구분하지 않고 가르치는데, ‘must’는 개인적 느낌에 있어서의 obligation(의무) 즉, ‘I feel it’s necessary. (나는 그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는 뜻으로, have to는 객관적 사실이나 상황에서 비롯된 obligation(의무) 즉, ‘Another person makes it necessary. (다른 사람이 그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는 뜻으로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should는 moral obligation(도덕적 의무)을 나타낼 때 쓰고 ought to로 바꿔 쓸 수 있지만 이 경우 ought to 보다는 should를 더 많이 쓴다.

그 밖의 자세한 auxiliary(조동사)의 용법들도 반복해 공부하고, 구분해서 사용해야만 할 것이다.

* 이 내용은 필자의 신간 ‘English Grammar Alive(지학사)’에서 간추린 내용입니다. 이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김재석과 ㈜지학사에 있습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ride and self-esteem(자신감과 자존감)

댓글 0 | 조회 3,846 | 2011.09.27
‘show off(과시하다), boast(뽐내다)’라는 말들은 별로 좋은 소리로 들리지는 않는다. 여기서 더 나가 극단적 우월 주의를 부르짖는 chauvinism… 더보기

뉴욕과 서울의 우울

댓글 0 | 조회 3,835 | 2011.09.13
모든 것이 빠르다. 안철수 교수는 역시 디지털 시대의 지도자이다. 우리가 기존에 보아왔던 정치인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지지를 보내는 것이다.… 더보기

‘A DEE DAH DAY’ by John Ortberg

댓글 0 | 조회 3,924 | 2011.08.24
키위 할머니를 통해 만나게 된 책인 ‘The Life You’ve Always Wanted’의 작가는 John Ortberg이다. 저자의 글 속에는 스트레스를 받… 더보기

틀리기 쉬운 조동사의 용법들

댓글 0 | 조회 5,116 | 2011.08.10
영어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조동사 (Modal Auxiliary)들이 있다. 한국 사람들이 영어를 공부할 때 꼭 필요한 영어의 문법 중에서 가장 쉽게 보이는 부분… 더보기

정보, 지식, 그리고 지혜 (Information, Knowledge, and W…

댓글 0 | 조회 3,396 | 2011.07.27
People can get information on their computers from all the world without leaving their hom… 더보기

Speech와 Essay 쓰기의 차이점

댓글 0 | 조회 5,555 | 2011.07.13
최근 한국 영어 교육에서 영어로 말하기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서 영어권 국가에 단기간 공부를 하러 온 학생들도 영어로 ‘speech’를 잘 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 더보기

진짜 시험의 조건

댓글 0 | 조회 3,836 | 2011.06.29
또 시험이다. 작년 말 ‘지학사’에서 ‘English Grammar Alive’책을 출간한 후, 한국의 ‘메가스터디 출판사 메가 북스’와 독해, 어휘, 쓰기 영어… 더보기

한국 중2 이하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대입 영어시험의 변화

댓글 0 | 조회 4,565 | 2011.06.16
한국의 영어 교육의 장기적인 목표는 무엇일까? 가끔 한 번씩 생각해보곤 한다. 한국의 교육제도나 시험제도가 바뀔 때 마다, 마치 한국교육의 최고 목표가 사교육을 … 더보기

5월에 tense(시제)를 가르치며

댓글 0 | 조회 4,096 | 2011.05.25
‘When an action takes place(어떤 동작이 언제 일어나는지)’나 ‘when a state exists(어떤 상태가 언제 존재하는지)’를 명확하… 더보기

TOEFL, SAT에서 Signal Words(표시어)의 중요성

댓글 0 | 조회 4,818 | 2011.05.11
글을 쓰는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개해 나가기 위해 signal words(표시어) 즉, transitions(바뀜 표시어)를 사용한다.(Writer… 더보기

TOEFL, 시험 대비 Essay writing

댓글 0 | 조회 4,176 | 2011.04.28
뉴질랜드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들은 학교에서 많은 종류의 에세이를 쓰게 된다. 문학 작품을 읽고, 영화를 보고, 시를 읽고 비교 분석하는 에세이에서, 역사과목… 더보기

TOEFL, SAT 영어시험의 수준

댓글 0 | 조회 7,764 | 2011.04.12
미국 대학들과 영국 대학들에서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영어 실력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오랫동안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면서 많이 생각해 본 질문이다. 간단히 말하자… 더보기

권력자와 지도자

댓글 0 | 조회 3,894 | 2011.03.23
무겁게 터져나간다. 칠레에서 크라이스트처치를 거쳐 일본 열도에서. 튀니지에서 이집트를 거쳐 리비아에서. 땅 속이나 땅 위에서나 쌓이고 쌓인 압력을 더 이상 지탱하… 더보기

Pink Ice

댓글 0 | 조회 3,934 | 2011.03.09
“Mummy, I got buried.”(엄마, 나 건물 더미 속에 묻혔어요.) // “I got pinned."(나는 꼼작할 수 없어요.) // “I have … 더보기

현재 발음하기 조차 힘든 Auxiliary Verb(조동사)

댓글 0 | 조회 7,281 | 2011.02.23
나는 영문법 선생이 아니라 영어 선생이다. 또한 한국에서 지학사, 맨투맨, 금성 출판사 등에서 영어 참고서를 지난 해 말까지 17권을 출간 한 중에서 1권만이 본… 더보기

The theory of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

댓글 0 | 조회 4,035 | 2011.02.09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계속되어 왔다. 1780년대 독일에서 처음 이름이 붙여진 Grammar-translation meth… 더보기

피하지 말고 정복해야만 하는 article(관사)

댓글 0 | 조회 8,161 | 2011.01.26
영문법 중에서 한국 사람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article(관사)이다. 우리말에는 전혀 없는 문법이기 때문이다. 영어 원어민들까지도 깐깐하게 따지고… 더보기

Chicken Questions(학인 질문???)

댓글 0 | 조회 3,813 | 2011.01.14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어의 사투리는 몇 가지나 될까? 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미국 내에서도 동부와 서부 남부의 발음이 서로 다르고, 미국보다 영토가 작은 나… 더보기

나의 남편과 우리 남편

댓글 0 | 조회 4,507 | 2010.12.21
우리 나라 사람들은 오랫동안 한 곳에 뿌리를 내리며 살아가는 농경 문화를 기반으로 살아왔던 탓인지 끈끈한 연대감으로 뭉쳐진 ‘우리’라는 의식이 남달리 강하다. ‘… 더보기

나는 내 머리카락이 짧게 잘려지게 시켰다

댓글 2 | 조회 4,788 | 2010.12.08
우리말은 감성에 관련된 어휘나 어법은 많이 발달되어 있지만, 논리성은 발달되어 있지 않다. 이발하는 것을 ‘머리카락을 잘랐다.’고 하지 않고, ‘머리를 잘랐다.’… 더보기

한국식 영어, 일본식 영어, 이탈리아식 한국어

댓글 0 | 조회 4,221 | 2010.11.24
칼럼이 맞는 발음인가, 컬럼이 맞는 발음인가? 미국 California 주지사 이름은 아놀드 슈왈츠제네거로 부르는 것이 맞는 것인가?우선 칼럼이라고 쓰면 구식 발… 더보기

2010년 NCEA 마무리 준비

댓글 0 | 조회 3,532 | 2010.11.10
11월은 뉴질랜드의 대학 입학고사인 NCEA가 있는 달이다. 고등학교(Form 5, 6, 7)학생들은 NCEA 외부고사를 대비하기 위해 마지막 정성을 들이고 있다… 더보기

슬픈 한글, 아파트

댓글 0 | 조회 4,586 | 2010.10.28
일본인들은 줄이는 능력이 탁월하다. 그들이 쓰는 문자인 가나문자 부터가 그 이전부터 써오던 중국의 한자를 간소화하여 만든 문자다. 커다란 식탁이나 밥상을 조그맣게… 더보기

주의해야 할 영어 발음과 표현들

댓글 1 | 조회 8,840 | 2010.10.15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은 영어 발음 이야기가 나오면 주눅이 든다. 한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비교적 많은 소리를 표현할 수 있는 발음체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더보기

위대한 혼, Mahatma

댓글 1 | 조회 3,387 | 2010.09.29
“Who controls the past controls the future. Who controls the present controls the past.”(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