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과 숟가락, 삼지창과 젓가락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칼과 숟가락, 삼지창과 젓가락

0 개 4,046 NZ코리아포스트
Greek and Latin have been the sources of most of the words in the English language. (그리스어와 라틴어는 영어단어 대부분의 원천이었다.) The third principal source is the family of Germanic languages.(영어 단어의 세 번째 중요한 원천은 게르만어 계열이다.) Almost all of these words were added to the language long after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nd they continue to be added to this day. (거의 대부분의 이러한 단어들은 로마 제국이 멸망한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영어에 첨가되었고,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다.) New words are constantly being invented, and most of them, especially those in the sciences, are still making use of Greek and Latin roots. (새로운 영어 단어들이 끊임없이 만들어 지고 있는데, 그것들의 대부분은, 특히 학문 분야에서, 그리스어와 라틴어 어원을 여전히 이용하면서 새 단어들이 만들어 지고 있다.)

그리스 문명과 로마 제국의 영향은 길기도하다. 찬란한 고대 그리스 문명은 그 영화를 다 했지만 그 유적들은 관광자원으로 남아 그리스 후손들을 오랫동안 먹여 살렸다. 세계 금융위기의 출발점인 미국에 이어서 유럽 금융위기의 출발점이 되어버린 오늘날의 그리스의 현실은, 위대한 조상을 둔 부끄러운 후손들의 모습으로 전 세계인들에게 충격을 주었지만, 아직도 유럽 문명의 출발점이라는 그리스 문명의 생명은 참으로 길다. 각종 헐리웃 영화와 문학 작품들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 패션 문화에서도 그 찬란한 문명의 옷자락을 걸치고 있다. 베르사체 상표 문양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메두사 문양이고, 펜디 상표 문양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야누스 문양을 하고 있다.

“All roads lead to Rome.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라는 말이 있듯이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하면서도 넓은 영토를 소유했던 나라로 로마를 꼽기에 주저하지 않는다. 8.15 해방 이후 물밀 듯 들어온 미국 중심, 서양 중심의 교육을 받아온 우리 세대의 상식으로는 그랬다. 그러나 마하트마 간디와 더불어 인도 독립 운동 아버지라 불리우고 독립된 인도를 초대 총리가 되어 이끌었던 Jawaharlal Nehru의 Glimpses of World History라는 책을 대학시절 읽기까지는 나도 그랬다. Nehru의 말처럼 “There were bigger and more powerful and more cultured States than the Roman Empire in China and India from time to time. (이따금 중국과 인도에서는 로마제국보다 더 크고 강력하고 발달된 국가들이 있었다.)”

그리스 문명도 그 당시 먼저 발달된 아프리카의 이집트 문명에 비하면 뒤따라오는 변방의 문명에 불과했었다.

그런데 왜 명쾌한 역사적 사실까지도 나에게는 잘못 입력되어 있던 것일까? 일제 시대 때부터 이어온 ‘식민지 교육’의 폐혜라 생각한다. 올해는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나라를 빼앗긴지 100년이 되는 해다. 그 때부터 우리 민족에게 끊임없이 쇠뇌되었던 열등 의식, 식민지 의식의 뿌리는 너무도 깊고 그 그림자는 너무도 넓다. 그리스 문명이나 로마 제국의 그림자처럼.

뉴질랜드로 와서 살기 시작한지 벌써 10년 째로 접어들고 있다. 그 동안 너무나 깨끗한 환경에 놀라고, 길거리에서 서로의 눈이 마주치면 다툼으로 번지기 쉬운 한국 사회와는 달리 서로 웃어주며 인사를 건네는 이들의 여유에 참으로 커다란 부러움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그러는 가운데에서 이들의 문명, 서양 문명에 대한 그 동안 가졌던 뿌리 깊은 열등의식을 벗게 되었다.

칼과 삼지창으로 식사를 하는 것이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식사하는 것보다 더 우월한 것이 아니라, 유목민의 자손들과 농경민의 자손들의 차이에서 비롯된 식사 도구의 차이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른바 ‘경양식 집’에 가서 ‘돈까스’를 처음 먹었던 어린 시절로부터 참으로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에야 정말 단순 명료한 일반적인 사실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제 3의 물결’이라는 책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인류 역사상 ‘제 1의 물결은’ 떠돌이 유목 생활이 아니라 한 곳에 정착하여 씨를 뿌리며 곡식을 수확해, 밥을해서 숟가락으로 퍼먹으며 생활할 줄 알았던 농경 민족이 이룩한 혁명이었다. 그 후‘제 2의 물결’이라는 기계 문명의 출발점이 되는 산업 혁명을 유럽에서 먼저 출발시켰기에, 핏물이 남아있는 고기를 식탁 위에 놓고 칼로 썰고 삼지창으로 찍어먹는 유목민들이 이룩한 문명은 참으로 오랜 세월동안 전 세계를 이끌어 올 수 있었다.

이제는 새로운 물결 ‘제 3의 물결’ 위에, 전세계인들과, 나와 우리의 후손들은 그 물결 위에 타고있다. 숟가락과 젓가락을 정교하게 사용할 줄 아는 아시아의 문화, 우리의 문화 속에 새롭고 거대한 제 3의 물결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의 씨앗이 들어있다고 토플러를 비롯한 많은 미래 학자들은 이야기한다.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전 세계에 씨앗을 뿌리며 준비해야 할 때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학생들이 잘 틀리는 영어 표현 II - 일치(agreement/ conco…

댓글 0 | 조회 8,414 | 2010.09.20
학생들의 에세이 지도를 할 때 학생들이 많이 틀리는 또 다른 실수들은 ‘일치(agreement, concord)’의 문제들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치’는 영어공… 더보기

현재 칼과 숟가락, 삼지창과 젓가락

댓글 0 | 조회 4,047 | 2010.08.25
Greek and Latin have been the sources of most of the words in the English language. (그리스어와… 더보기

한국 학생들이 잘 틀리는 영어 표현 I - tense(시제)

댓글 0 | 조회 6,156 | 2010.08.11
가끔 만나는 뉴질랜드 사람들(키위들)에게서 한국 학생들이 영어 공부를 너무 힘들어 한다는 소리를 들을 때가 있다. 그럴 때 필자는 그들에게 영어 이외의 외국어를 … 더보기

Coming from a Black Man’s Soul - (흑인의 영혼에서 울려…

댓글 0 | 조회 3,705 | 2010.07.28
“My old man’s a white old man. (나의 아버지는 백인 노친네.)/ And my old mother’s black. (나의 어머니는 흑인 노… 더보기

편한 길과 바른 길

댓글 0 | 조회 3,450 | 2010.07.14
요즈음은 무엇이 옳은지 무엇이 그른지, 무엇이 좋은지 무엇이 나쁜지 판단하기 어려운 세상이다. 갈수록 정보는 넘쳐나고 얻기도 쉬워지고 있는데 어느 것이 바르고 좋… 더보기

열정과 냉정의 사이

댓글 0 | 조회 3,037 | 2010.06.24
Try to put yourselves in the other people’s place and to see why they hold the opinions or… 더보기

라틴어와 그리스어 숫자에서 온 영어 단어들

댓글 0 | 조회 5,452 | 2010.06.09
한국에서 유학을 오거나 이민을 온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다 만나게 되는 문제점 중 하나가 영어 어휘를 어떻게 바르게 공부해 나갈까 하는 문제이다. 뉴질랜드에서 … 더보기

친 환경 복지 국가의 과제

댓글 0 | 조회 3,431 | 2010.05.25
No living creature, plant or animal, can exist in complete isolation. (식물이든, 동물이든, 어떤 살아있는… 더보기

Pioneer Women in New Zealand (뉴질랜드의 개척민 여성들)

댓글 0 | 조회 3,821 | 2010.05.12
뉴질랜드를 차로 여행할 때 가장 인상적인 풍경은 푸른 잔디가 뒤덮인 들판이나 언덕 위에 양떼와 소떼들이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는 장면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화로… 더보기

Passion(열정)

댓글 1 | 조회 3,748 | 2010.04.28
천재란 무엇인가? 천재를 결정 짓는 정수는 과연 무엇인가? Genius is one percent inspiration and ninety-nine percent… 더보기

비 결

댓글 0 | 조회 3,091 | 2010.04.13
A young king of the East, anxious on his ascent of the throne to rule his kingdom justly, … 더보기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댓글 0 | 조회 3,568 | 2010.03.23
오랜 세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가장 힘든 일은 교육현장에서 봉구를 만났을 때이다. 솔직히 말해서 엄마 아빠가 모두 두뇌가 명석하고 좋은 직업을 갖고 있는 집안의 … 더보기

재미있는 영어단어의 어원(etymology)

댓글 0 | 조회 8,346 | 2010.03.09
다른 과목들과는 달리 영어는 한 가지 방향으로만 공부를 해서는 좀처럼 실력의 향상을 이루기가 쉽지 않은 과목이다. 특히 쓰는 영어(written English)에… 더보기

The Brief History of English Language

댓글 0 | 조회 4,214 | 2010.02.24
영어권 국가에서 영어 공부를 하는 학생들 중 가끔은 '쉬운 표현들이 있는데 왜 이렇게 어려운 단어를 공부할 필요가 있어요?'라고 질문하는 학생들이 있다. 심지어 … 더보기

Crisis, 위기인가 전환점인가

댓글 0 | 조회 4,293 | 2010.02.09
Crisis라는 영어 단어를 보면 어떤 우리말 뜻이 떠오르는가? 보통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위기'라는 뜻일 것이다. 그런데 'crisis'라는 단어를 좀 자… 더보기

꿈을 갖게 하자

댓글 0 | 조회 3,323 | 2010.01.27
최근 재미있게 보고 있는 '공부의 신'이란 드라마에서 주인공 강 변호사가 학교 성적이 형편 없는 봉구라는 학생의 부모를 찾아가 봉구가 최고의 대학인 천하대 준비반… 더보기

The Snows of Kilimanjaro in Auckland - 오클랜드, …

댓글 1 | 조회 4,579 | 2010.01.13
Kilimanjaro is a snow covered mountain 19,710 feet high, and is said to be the highest mou… 더보기

어휘(vocabulary) 능력 기르기

댓글 0 | 조회 4,069 | 2009.12.23
영어를 가르치며 가장 난감한 일 중 하나가 학생 들에게 어휘(vocabulary)를 가르치고 배운 어휘를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어느 정도 공부하… 더보기

행복한 광대

댓글 0 | 조회 3,493 | 2009.12.09
계절은 이미 봄이 왔건만, 봄이 오지 않은 뉴질랜드의 날씨 때문인지 마음은 자꾸 한국의 늦가을 속을 거닌다. 모든 것이 떨어져 내리고 흘러가 버리는 계절이다.흐르…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대학입학 시험을 준비하며

댓글 0 | 조회 3,676 | 2009.11.26
이제 막 Cambridge 시험을 끝낸 학생들은 사실상 긴 여름 방학에 들어 가고 있고 NCEA를 통해 뉴질랜드의 대학에 가려는 학생들은 아직 시험이 과목 별로 … 더보기

섬(an isle)

댓글 0 | 조회 3,404 | 2009.11.11
섬(an island)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a piece of land completely surrounded by water"다. 즉, 사방의 건널 수 없는… 더보기

Unfamiliar Texts - NCEA 준비 (2)

댓글 0 | 조회 3,756 | 2009.10.26
시나 산문 또는 연설문을 읽고 글쓴이의 의도와 글의 내용 또는 언어 기법들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하는 시험은 한국에서도 학생들이 국어 시험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유형… 더보기

Film Study(영화 연구) – NCEA 시험 대비

댓글 0 | 조회 3,777 | 2009.10.23
뉴질랜드의 term 3 방학은, 이름 그대로 공부하기 위한 방학이다. 뉴질랜드에서 공부하는 고등학생들이 term 4 기간 11월부터 NCEA 외부고사를 보아야 하… 더보기

Who Moved My Desk? (누가 내 책상을 옮겼는가?)

댓글 0 | 조회 3,297 | 2009.09.22
만일 내가 '충성'을 다 바쳐 열심히 일하고 있던 회사가 갑자기 문을 닫게 된다면 나는 어떻게 반응을 할 것인가? 1997년 시작되었던 IMF의 통제 경제의 어두… 더보기

A Streetcar Named Desire-(욕망 이라는 이름의 전차) - 영미…

댓글 0 | 조회 7,560 | 2009.09.09
몇년 전 뉴질랜드 신문에 학생들에게 가짜 영어 성적표를 만들어 주는 사기꾼(conman)에 대한 기사가 실린 적이 있었다.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필요한 IELT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