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한강의 노고를 기리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작가 한강의 노고를 기리며

fancy7lettuce
0 개 472 명사칼럼

49aa4d295e2d8cfc7ef77a8628e0e85c_1730845172_2943.png
▲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의 노벨 문학상 수상이 가지는 가장 중요한 의의는 훌륭한 번역을 통해 세계의 독자들이 비로소 한국문학이라는 두꺼운 책의 한 페이지를 열어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강은 두말할 것 없이 뛰어난 작가이지만 그의 성취는 한국근현대문학이라는 풍요로운 토대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물론 여기서 ‘풍요로운 토양’이라는 말은 반어이다. 한국문학의 풍요로움이란 ‘식민지-전쟁-분단-냉전-군사독재-압축성장-민주화-극한 신자유주의, 그리고 그 모든 과정을 관통한 완강한 가부장주의’라는, 근대세계가 겪을 수 있는 거의 모든 역경을 다 거쳐온 한국현근대사가 만들어낸 역설적인, 문학적 풍요이기 때문이다.


분단 이후의 남한의 소설문학으로만 한정하더라도 최인훈, 이청준, 조정래, 황석영, 김원일, 현기영, 조세희 등의 남성작가들과 박경리, 박완서, 오정희 등의 여성작가들은 그 자체로 세계사의 모순과 질곡의 현장이기도 한 한국사회의 현실과 맞서서 혼신의 투쟁을 벌여왔으며 그들의 문학적 성취는 세계근대문학의 지형에서 영미권이나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의 제3세계 어떤 곳의 문학적 성취와 견주어도 조금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한다. 이들 중 누구라도 한국어라는 핸디캡이 없었다면 벌써 노벨상 후보로 여러 차례 거론되었거나 수상을 했더라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다만 한국어라는, 서구어로 번역되어야만 하는 소수어로 쓰였다는 것, 게다가 노벨상의 국제정치학상 한국의 배당율이 워낙 낮았다는 것 등 작품 외의 악조건들만이 문제였을 뿐이다. 그런데 마침내 한강이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이것은 한국의 문화적 위상과 한국어의 국제적 소구력이 높아짐에 따라 번역보급의 문제가 극복되기 시작했고 노벨상위원회에서의 위상과 주목도 역시 높아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침 적절한 때에 한강이라는 뛰어난 작가가 존재했던 것이다. 그는 이미 부커상, 메디치상 등으로 세계적 주목을 받온 ‘준비된 후보’였다.


하지만 그보다 훨씬 더 작가적 경륜이 앞서는 원로 남성 거장 황석영이 있는데 왜 그보다 젊은 여성 작가 한강에게 먼저 이 상이 돌아갔을까? 황석영이 오랫동안 한국소설의 성취와 위엄을 대표해 온 대작가로서 한국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할 자격을 갖추었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황석영은 한강에 비해 분명히 낡았다. 그는 정통 리얼리즘 작가다. 그것은 그가 그만큼 근대소설의 문법에 충실한 작가라는 뜻이다. 근대소설은 루카치 이후 오래도록 ‘성숙한 남성성의 형식’이라 불린 것처럼 강인하고 문제적인 남성 주체의 탐험서사였다.


황석영의 대표작인 <객지>나 <삼포가는 길>의 주인공들의 방황은 사실은 계산된 방황. 여행이 끝날 줄 알고 떠나는 여행이다. 주인공은 내일을 모르나 작가는 그들이 내일을 모른다는 사실을 잘 알기 때문이다. 근작들인 <손님>과 <철도원 삼대>에 이르면 죽은 자들이 등장하여 산 자들을 이끄는 ‘초현실’이 등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작품 속 인물들의 운명은 ‘선험적 진리’가 견고하게 장악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19세기 이래 근대소설의 전형적 상황이다.


하지만 한강의 소설들은 이와 다르다. 그의 소설들에는 질문들은 무성하나 대답은 없다. 쓰고 있는 작가 역시 대답을 모른 채 질문의 형식으로 소설을 끌고 간다. 이것은 탈근대, 혹은 후기 근대적 글쓰기의 전형이다. 게다가 한강 소설들의 여성인물과 여성화자들은 오래도록 근대 남성들이 구축한 계몽적 이성의 세계에서 밀려나 있던 주변인, 소수자, 타자들의 형상으로 그들의 언어는 늘 확고한 이성과 진리의 체계에서 비켜난 형식으로 발화되고 전달된다.


<채식주의자>의 주인공은 육식의 세계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탈락한 소수자 여성으로서의 존재성을 스스로 식물이 됨으로써 겨우 지켜낸다. 그리고 이처럼 주류의 언어를 가지지 못하고 침묵을 강요당하는 여성 등 희생제의의 대상일 뿐인 벌거벗은자들, 즉 호모 사케르들이 거대한 국가폭력을 만났을 때 어떻게 자기를 보존할 수 있는가를 묻는 소설들이 바로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이다. 이 작품들에 가득한 초현실과 비의와 주술성은 근대합리성의 폭력에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이자 약자의 지혜이다.


한강의 소설세계는 루카치가 단편소설에서 한정하여 인정해 준서정성이 절대 우세한 세계로 분명 근대장편소설의 본령에서 비켜나 있다. <채식주의자>나 <소년이 온다>가 하나의 장편서사라기보다는 사실상 작은 서사들의 연쇄로 이어지고, <작별하지 않는다> 역시 사실과 몽환의 교직이 내면에 주는 시적 울림이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것은 객관적 진리에 의해서는 보증될 수 없는 ‘미숙한 주체’들의 산문형식이다.


하지만 그 ‘미숙성’에서 새로운 언어가, 형식이, 사상이 탄생한다. 그런데 요즘 한국소설은 이런 형식들이 대세를 이루고 그 대부분이 젊은 여성작가들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이는 오래도록 민족 민중 계급 등의 대문자 주체에 숨어 세상을 지배하는 남성가부장의 목소리에 대한 결연한 거부이며 나는 이것이 어느덧 21세기 한국소설의 주류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노벨문학상이 이러한 당대 주류 한국여성소설가들의 맏언니의 자리에 있는 1970년생 한강에게 주어진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런 추세라면 한국문학은 아마도 한 10년 후를 전후해서 다시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학은 영광의 기록이 아니라 고통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이토록 사람들을 들들 볶아서 유지되는 한국사회는 역설적으로 그러한 역량이 충분히 확대재생산 가능한 사회이기 때문이다. 문학은 기본적으로 역설과 반어의 형식으로 존재한다. 노벨문학상의 수상은 한국이 만든 또 하나의 1등으로 기억되어서는 안된다. 그것은 맹목의 한국 사회에 아직도 멈추어 돌아보고 기억하고 성찰하는 힘이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여전히 남아있음을 증거하는 사건으로 기억되어야 한다.


* 출처: 한겨레 신문

■ 작가 : 김 명인교수

병을 이기는 여섯 가지 실천

댓글 0 | 조회 360 | 2024.12.04
첫째, 마음을 편히 하십시오.둘째, 가능한 모든 세상의 진단방법을 사용하여 유혹의 실체를 확인하십시오.셋째, 가능한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를 받으십시오.넷째, … 더보기

의대 적성고사 “UCAT” 제대로 알고 준비하기

댓글 0 | 조회 653 | 2024.12.03
뉴질랜드에서 의대를 보유하고 있는 오클랜드 대학교와 오타고 대학교는 의약계열(Clinical Programme) 입시를 위해서는 두 학교 모두 GPA, UCAT,… 더보기

오클랜드 공항

댓글 0 | 조회 1,085 | 2024.12.03
도시의 외곽에서 살아가는 나로서는, 공항 입구에서 쏟아져 나오는 분주 함들 때문에 어쩌다 고국에서 오는 손님을 마중할라 치면 여간 긴장되는 게 아니다.전광판에 나… 더보기

방학, 자녀와 함께 건강한 게임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댓글 0 | 조회 384 | 2024.12.03
방학이 되면 청소년들이 게임에 몰두하는 시간이 늘어나곤 합니다. 게임은 즐거운 오락 활동이 될 수 있지만, 일부 게임의 설계와 사용 습관은 도박과 유사한 위험 요… 더보기

미안한 일

댓글 0 | 조회 325 | 2024.12.03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여름 지내고 편히 쉬려는 낙엽을 밟고 지난 다닌 일.넓은 방을 가졌지만 더 이상 콩기름 바른 장판 냄새를 잃어버린 일.성스러운 거룩함을 찾다… 더보기

디지털 시대, 메모는 생존의 기술

댓글 0 | 조회 264 | 2024.12.03
메모를 잘하며 살던 한 ‘수첩 공주’가 있었다. 들으면서 바로 요약해 적는 건 어찌보면 대단한 기술이다. 누군가 ‘적자생존(適者生存)’이라고 쓰고 “적는 자가 살… 더보기

보약 한 첩보다 아침식사!

댓글 0 | 조회 805 | 2024.11.29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연령별 아침 결식률(缺食率)은 12-18세 30%, 19-29세 37.4%, 30-49세 24.5%, 50-64세 10.7%, 65세 … 더보기

이런 고등학교는 피하세요

댓글 0 | 조회 2,156 | 2024.11.29
필자가 뉴질랜드에 처음 이민 왔을 1990년대 초만해도 오클랜드 대학의 세계랭킹이 50위권 이내였고 한국은 세계 랭킹 100위권 이내에 드는 대학이 아예 없을 정… 더보기

36. 지방산, 오메가3과 오메가6의 균형이 가져다 주는 좋은 일들

댓글 0 | 조회 932 | 2024.11.27
신체 내의 염증 반응과 관련하여 오메가3와 6의 체내 비율이 큰 역활을 한다. 오메가6의 지방산이 너무 많으면 염증을 잡을 수 없다. 염증은 암의 원인이 되고 노… 더보기

잊혀져 버린 정의, 그들을 기억하며

댓글 0 | 조회 431 | 2024.11.20
▲ 항일 투쟁과 반독재 투쟁으로 점철된 생애를 담은 자서전 ‘최후의 분대장’의 작가 김학철항일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였던 고 김학철(1916~2001)의 인생을 다룬… 더보기

축복으로 받아들이는 마음

댓글 0 | 조회 291 | 2024.11.20
언젠가 TV에선 얼굴 없는 사람에 대한 얘기가 나오더군요. 미국에 얼굴 없는 사람이 있답니다. 그런데 아이입니다. 태어난 지 2년 반 쯤 되었는데 얼굴이 없답니다… 더보기

11월의 기도

댓글 0 | 조회 327 | 2024.11.20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주님!올해 겪은 놀란 일을더 여유롭게 견뎌내지 못해부끄럽습니다당신 손 놓치지 않을나를 뽑아 견디게 하셨으니슬펐지만 아름다움이었습니다기차역에서… 더보기

대자유의 맛, 다선일미의 차 명상

댓글 0 | 조회 258 | 2024.11.20
예로부터 스님들은 차를 마시며 수행을 했다. 차가 수행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벽암록』의 저자인 송대 원오 극근(圓悟 克勤:1063~1135) 선사의 다선일미… 더보기

욕실 리노가 망설여지는 이유

댓글 0 | 조회 765 | 2024.11.20
최근 몇 주 동안 잘못된 욕실 설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계신 고객분들의 연락을 받았습니다. 욕실은 단순히 깨끗하고 예쁘게 마감하는 것을 넘어서서, 안 보이는 곳… 더보기

사랑

댓글 0 | 조회 279 | 2024.11.20
시인 정 호승그대는 내 슬픈 운명의 기쁨내가 기도할 수 없을 때 기도하는 기도내 영혼이 가난할 때 부르는 노래모든 시인들이 죽은 뒤에 다시 쓰는 시모든 애인들이 … 더보기

아오테아로아 (멀고 긴 흰구름의 나라)

댓글 0 | 조회 321 | 2024.11.20
식물 줄기로 얼기설기 엮어 만든 삼각 돛,큰 나무 속을 파내어 만든 통나무 배,긴 나무를 균형지게 본체 좌 우측으로 동여맨 카누에 몸을 싣고,가족과 친지들을 뒤로… 더보기

전하지못한 이야기 ‘해금강’

댓글 0 | 조회 339 | 2024.11.19
지인 j 님께!H 여사와 우리 셋이 모이면 노후의 삶을 어디에서 살면 좋겠냐는 말을 자주 했었지요.서울에서 나고자라 나이먹은 사람들끼리 시골살이를 동경하는 막연한… 더보기

지피지기 백전백승! 뉴질랜드/호주 의대 제대로 도전하기

댓글 0 | 조회 1,016 | 2024.11.19
의대 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심상치 않은 요즘, 뉴질랜드도 예외가 아니다. 또한 전문직에 대한 직업 안정성과 지속성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의대 치대 약대 등의 … 더보기

고요할 수록 밝아지는 것들

댓글 0 | 조회 273 | 2024.11.19
경남대학교에서 86년부터 18년까지, 33년을 일 하다가 은퇴한 지 6년이 되어간다. 어느 사이 고희(古稀)에 들었고 앞만 보고 가려하는데, 원고 청탁을 받아 잠… 더보기

35. 몸의 진액 부족이 가져다 준 소화 불량과 다양한 문제들

댓글 0 | 조회 1,661 | 2024.11.19
몸의 모든 신진대사 활동은 물, 더 정확히 말하면 몸의 진액과 관계된다. 그래서 진액이 고갈되면 다양한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다. 이는 기계의 그리스나 윤활류가 부… 더보기

(A2+) 프리미엄 우유가 온다

댓글 0 | 조회 1,467 | 2024.11.15
완전식품(完全食品)이란 인간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모두 갖춘 식품을 말한다.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요리가 아닌 가공하지 않은 원료 상태로 섭취해도 사람에게 필요한 영… 더보기

한국의대 입시 어디로 갈 것인가? 파트 2

댓글 0 | 조회 475 | 2024.11.13
11월 14일 2025학년도 수능시험이 치러지고 수시전형은 11월 현재 진행중이며 내년 1월 정시전형을 앞두고 있다.2025학년도는 그 어느때보다도 많은 변화가 … 더보기

나는 이런 사람이 좋다

댓글 0 | 조회 530 | 2024.11.06
시인 헨리 나우헨그리우면 그립다고말할 줄 아는 사람이 좋고불가능 속에서도한줄기 빛을 보기 위해애쓰는 사람이 좋고다른 사람을 위해호탕하게 웃어 줄 수 있는 사람이 … 더보기
Now

현재 작가 한강의 노고를 기리며

댓글 0 | 조회 473 | 2024.11.06
▲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의 노벨 문학상 수상이 가지는 가장 중요한 의의는 훌륭한 번역을 통해 세계의 독자들이 비로소 한국문학이라는 두꺼운 책의 한 … 더보기

받아 적고 읽어 주고

댓글 0 | 조회 286 | 2024.11.06
나는 타자(打字)가 서툴고 느리다. 재주가 없는 모양이다. 그런데 이제 타자하는 수고를 벗어나게 되었다. 말하면 그걸 글자로 바꾸어 주고(STT; Speech 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