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끈한 씨감자 한 알, 잘 먹어야 잘 바뀐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따끈한 씨감자 한 알, 잘 먹어야 잘 바뀐다!

0 개 1,176 월드비전
6290afc2715596f44c543eef9de22b2e_1636507403_9383.jpg

얼마 전 한 끼를 금식하는 시간이 있었다. 


점심 한 끼 안 먹었다고 모든 힘이 쭉 빠져서 머릿속이 텅텅 빈 느낌이었다. 우리의 일상에서 당연하게 소비하고 있는 음식이 사라지는 순간, 얼마나 큰 타격을 받는지 겪어본 사람들은 충분히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견디기 힘든 배고픔과 기아가 일상이 되어버린 사람들이 있다. 본인의 의지가 아닌데도 말이다. 


기고문 ‘씨감자 한 알에 담긴 희망’ 


충분히 건강한 식사를 하지 못한다는 것 


6290afc2715596f44c543eef9de22b2e_1636507444_5668.jpg
 

제대로 된 식사, 즉 충분한 식사를 하지 못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충분히 건강한 식사’를 쉽게 풀어보자면 몸에도 좋고 맛도 좋은 신선한 음식 재료가 다양하게 갖춰진 식사라고 할 수 있어요. 좋은 음식을 잘 챙겨 먹을수록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삶의 지혜를 우리는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특히 건강을 위해 식단 관리를 경험하신 분이라면 훨씬 더 깊이 공감하실 거예요. 영양가 있는 음식을 골고루 챙겨 먹는 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열량과 영양 성분을 꼼꼼히 따져 매일 하루 세 끼, 식단을 짜는 것 자체가 만만치 않은 일이에요. 비교적 쉽게 제철 음식을 구할 수 있는 한국에서도 어려운 일인데 전 세계에서 극심한 식량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현장 사정을 생각해 보면 이게 얼마나 ‘그림의 떡’과 같은 일인지 이해할 수 있어요.


최근에는 기후 변화와 코로나19로 인해 식량 부족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월드비전 연구 결과를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식량 가격 인상은 에티오피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 가장 극심하며, 식량 부족으로 제일 고통받는 것은 안타깝게도 아동들이다. 영양실조로 인해 병이나 죽음에 가장 취약한 것도 아동이다. 


기고문 ‘씨감자 한 알에 담긴 희망’ 


여전히 우리의 관심이 절실한 식량위기 


6290afc2715596f44c543eef9de22b2e_1636507477_7307.jpg
 

최근 월드비전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전 세계 식량 가격의 변화를 조사한 보고서를 발행했습니다. 보고서에 의하면 전 세계 식량 가격은 지난 10년 동안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사회•경제적 교류가 감소하며 실업률이 증가했고, 가정의 수입이 줄어든 것이죠. 지금 같은 추세가 계속된다면 1천3백만 명의 아동이 추가로 영양실조를 앓게 되리라 예상됩니다.


전 세계 식량위기를 겪는 어린이와 주민들이 충분히 건강한 식단을 누리기 위해선, 단순히 구호 식량을 배분하고 지역 먹거리를 풍부하게 만드는 것 이상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취약국가에서 계속되는 분쟁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의 가속화로 인한 불안은 식량위기 문제를 더욱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고 있어 우리의 관심이 더욱 간절한 상황입니다.


굶주린 이들에게 지속 가능한 먹거리를 제공해요.


6290afc2715596f44c543eef9de22b2e_1636507545_9185.jpg
 

인도적 대응의 최소 기준에 따르면, 성인 한 사람은 매일 최소 2,100kcal 만큼의 영양소를 섭취해야 합니다. 이 안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소가 모두 포함되어야 하죠. 단백질은 총 열량의 10~12% 그리고 지방은 17% 비율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도 전 세계 10명 중 4명, 30억 명이 넘는 사람들은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곳곳, 식량 위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현장에서 월드비전은 과연 충분히 건강한 식량을 굶주린 사람들에게 잘 지원하고 있을까요?


씨감자 프로젝트 성공기 


6290afc2715596f44c543eef9de22b2e_1636507586_7265.jpg
 

식량부족과 빈곤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월드비전은 씨감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산지대가 많은 에티오피아에서 영양가가 풍부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감자는 식량 안보에 중요한 작물이지만 재배 기술 낙후와 질 좋은 씨감자 보급의 어려움으로 생선상은 다른 아프리카에 비해 낮았습니다.


씨감자 프로젝트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지 않으면서 질이 좋아 많은 생산량을 얻을 수 있는 ‘무병 씨감자’를 공급하고, 재배기술을 전수하는 사업입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프로젝트 참여 조합들의 씨감자 판매 소득 증가와 자립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감사하게도 약 3년 반의 프로젝트 진행 결과, 대부분의 조합이 목표했던 씨감자 생산량을 달성해 판매 소득 증대를 이루었습니다.


바나나 나무 한 그루로 이룬 농장


6290afc2715596f44c543eef9de22b2e_1636507632_945.jpg
 

콩고민주공화국 동부 국경 지역은 오래전부터 분쟁을 겪은 취약 지역입니다. 세월이 흐르며 20년 전 분쟁을 피해 다른 나라로 떠났던 난민들이 하나, 둘 고향으로 돌아와 정착을 하고 있는데요. 우간다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두 나라 주민들이 서로 왕래하며 식료품이나 생필품을 사고파는 게 흔한 일이었습니다.


월드비전은 난민들이 하루빨리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국경 근처에 마을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식량 보관소를 만들었고, 주민들은 직접 재배한 바나나, 양파 등 상품성이 좋은 농작물을 판매해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사업 현장에서 만난 주민 한 분은, 바나나가 주렁주렁 달린 농장을 자랑스럽게 보여주며 한 그루로 시작한 바나나 농사가 이제 열 그루가 넘어 농장을 이루었다고 해맑게 웃기도 하셨어요. 월드비전의 지원 덕분에 안정적인 수입이 생겨 가정 형편이 나아지신 것이죠.


안정된 식량 지원이 일으킨 나비효과


6290afc2715596f44c543eef9de22b2e_1636507658_2044.jpg
 

씨감자 프로젝트의 경우 참여한 많은 조합원들이 삶의 긍정적인 변화도 경험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내 손으로 얻은 감자로 삼시 세끼 걱정 없이 아이들을 먹일 수 있게 되었고, 씨감자를 판매해 얻은 소득으로 아이들 대학도 보내게 됐지요. 아직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조합들이라 만족할만한 소득 증대를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시행착오가 필요하겠지만, 그럼에도 자신의 손으로 얻은 식량과 소득으로 희망을 얻고 꿈을 이야기하는 긍정적인 영향이 커지게 된 겁니다. 식량의 문제가 단순히 배고픔의 영역만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죠.


이처럼 월드비전은 모든 어린이들의 풍성한 삶을 위해 지금 이 순간에도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악의 식량위기 상황을 막기 위해 식량 공급을 확대하고, 주민들이 스스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소득 증대를 위한 가정의 경제적 지원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 끼의 먹거리뿐만 아니라, 일상을 살아갈 단단한 힘을 기르는 것까지 함께 지원하고 있습니다.


6290afc2715596f44c543eef9de22b2e_1636507702_5409.jpg
 

고통에 처한 사람들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것은 알 수 없는 내일에 대한 불안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단순히 퍼주기만 하는 원조를 ‘죽은 원조’라고 합니다. 반면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애쓰는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가 가진 기술과 자원을 지원하여, 그들이 자립하고 희망을 꿈꿀 수 있게 한다면 서로를 ‘살리는 원조’가 됩니다. 우리는 그 안에서 삶의 희망을 엿볼 수 있습니다. 함께 먹고, 같이 살아가는 세상입니다.


매년 10월 16일, 

세계 식량의 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며 

식량 부족으로 고통받는 이웃의 삶에 관심을 갖고

‘살리는 원조’에 동참해 보면 어떨까요?


출처: 한국월드비전


후원문의 뉴질랜드 월드비전 박동익 간사

연락처: 027 625 0204 / 이메일: peter.park@worldvision.org.nz

https://www.worldvision.org.nz/give-now/sponsor-a-child-korean/


World Vision New Zealand is the largest international humanitarian organisation in New Zealand, Last year alone, we helped 2.9 million children across 23 countries around the world. 

We work to engage New Zealanders in the fight against global poverty and injustice. Our vision for every child, life in all its fullness, our prayer for every heart, the will to make it so


2022년 목표는 골프 클럽 DIY 상품 진행...

댓글 0 | 조회 1,407 | 2022.02.09
2022년은 골프 클럽 DIY 상품 진행 할 예정입니다. 용어가 딱히 없어서 피팅, 리페어, 어셈블리 등등을 썼는데 골프클럽 DIY라고 하는게 적절할 것 같습니다… 더보기

설날 떡국 앞에서

댓글 0 | 조회 1,103 | 2022.02.09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하늘만큼 컸던설날의 설렘이이제는 조각으로만 떠돕니다방앗간 긴 줄 뒤에이고 온 쌀을 내려놓고시린 발을 구르던 고무신의 어머니꼬득하게 굳어야 잘… 더보기

긍정의 Him

댓글 0 | 조회 1,063 | 2022.02.09
‘웰링턴 허리케인즈….?’처음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의 연락처 확인을 위해 이메일 주소를 받았을 때 내심 놀라지 않을수 없었습니다. 이거 혹시.. 이 녀석 웰… 더보기

[포토스케치] 와이탕이...

댓글 0 | 조회 1,233 | 2022.02.08
▲ 와이탕이....

발바닥 적신호, 족저근막염

댓글 0 | 조회 2,506 | 2022.02.05
필자는 ‘제2의 심장’이라 불리는 발에 관한 건강칼럼을 준비하면서 발과 발가락에 관심을 가지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사유(思惟)의 방(Room of Quiet Con… 더보기

바둑이

댓글 0 | 조회 1,293 | 2022.01.27
■ 최 현숙내 방 벽에는 그림 한 점이 걸려 있다. 이사를 해도 같은 위치에서 눈을 맞추는 사십 년 지기 룸메이트다. 검정 바탕에 배와 목덜미로 하얀 털빛이 조화… 더보기

관계 재산(Relationship Property): 제 3부

댓글 0 | 조회 1,414 | 2022.01.27
관계재산에 관한 총 3부에 걸친 시리즈 중 제 3부에서는 관계가 법적으로 어떻게 종료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만약 관계가 종료된다면, 공식적으로 그리고 법적으로… 더보기

내 마음의 방

댓글 0 | 조회 1,066 | 2022.01.27
■ 시인 박 노해지상에 집 한 채 갖지 못한 나는아직도 유랑자로 떠다니는 나는내 마음 깊은 곳에 나만의 작은 방이 하나 있어눈물로 들어가 빛으로 나오는 심연의 방… 더보기

내 숨이 붙어있는 동안 후원은 계속해야지요.

댓글 0 | 조회 1,260 | 2022.01.27
“내 숨이 붙어있는 동안 후원은 계속해야지요.” │시각 장애인 할머니와 요양보호사 후원자님 스토리 < 유영애, 최진숙 후원자님>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더보기

줄이고 또 줄여야

댓글 0 | 조회 1,601 | 2022.01.27
오늘 저녁에 손님들을 초대하여 함께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그들을 만나면 내 입 꼬리는 자연스레 올라가고 엉터리 영어지만 창피함을 모르고 함께 떠들게 된다. 그들… 더보기

그날 수자타로부터

댓글 0 | 조회 1,084 | 2022.01.27
수자타는 정성스럽게 소젖을 짜 일곱 차례에 걸쳐 끓이고는,다시 맑은 물을 담은 새 그릇에 깨끗한 쌀을 넣어 정성스럽게 죽을 만들었다.이윽고 깨끗한 발우에 죽을 담… 더보기

오늘은 상체 근력 키우는 날!

댓글 0 | 조회 1,155 | 2022.01.27
‘1일 1요가 챌린지’매일 정해진 시간에 무언가를 꾸준히 반복적으로 해나간다는 것, 결코 쉽지 않은 것 같아요.1월부터 시작된 ‘눈뜨자 마자 요가’ 1일 1요가 … 더보기

우리집

댓글 0 | 조회 1,218 | 2022.01.27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처음 내 집이라 갖게 되니뒷마당까지 덤으로 딸려왔습니다복숭아나무는 달랑 두 개만 열리고도 거드름을 피우구요저렇게 많은 별별 꽃들은 집주인을 … 더보기

요즘 갑이 어디있나요, 같이 을 하는 거죠...

댓글 0 | 조회 1,375 | 2022.01.27
다이아윙스 골프공이 거리가 많이 나가는데 왜 프로 선수들은 사용을 안해요? 라는 질문들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실제로 필드에서 경기하는 KPGA나 KLPGA 1부 … 더보기

5-11세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어린이 백신 예방접종에 관한 정보

댓글 0 | 조회 1,698 | 2022.01.27

특별법 영주권 상황 리포트

댓글 0 | 조회 3,733 | 2022.01.26
2021년의 大尾는 특별법 영주권 신청과 승인소식으로 장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기존에 신청해 놓은 영주권의 심사소식을 이제나 저제나 기다려 오던 분… 더보기

살다보니 이런일이...

댓글 0 | 조회 2,621 | 2022.01.26
온종일 정신없이 일을 해 냈으니 몸이 젖은 솜뭉치처럼 무거웠다. 오랫동안 쓰지않던 근육들이 놀랐는지 뻐근하고 아팠다.여름날 긴 긴 하루가 번개처럼 지나갔다.긴장이… 더보기

귀속에서 삐~ 하는 소리가 들리시나요?

댓글 0 | 조회 3,467 | 2022.01.26
별다른 이유 없이 갑작스럽게 삐~, 또는 치~ 하는 소리가 귓속에서 들리기 시작한다. 특히 조용한 곳에 있다던 지 밤에 자려고 할 때 유독 또렷하게 잡소리를 느끼… 더보기

이대남의 생각

댓글 0 | 조회 1,151 | 2022.01.26
■ 오 길영오늘자 토요판 종이신문에서 이대남(20대 남성)이 생각하는 페미니즘 기획 기사를 읽었다.(기사는 댓글) 시의성 있는 기획이다. 토요판이 알차진 느낌이다… 더보기

거지같다니요!

댓글 0 | 조회 1,554 | 2022.01.26
‘거지같아요!’한다. 복불복프로그램에서 집어든 잔을 한 모금 마시고는 커피 아닌 까나리 액젓임을 알고 뱉은 일성이다. ‘거지같아요!’는 거지가 된 기분 이라는 것… 더보기

피로를 푸는 방법

댓글 0 | 조회 1,547 | 2022.01.26
피로는 대개 마음의 피로입니다. 마음이 가볍고, 스트레스가 없고, 명상을 하여 기운을 많이 받으면 피로하지 않습니다.피로를 푸는 데는 수면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더보기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2

댓글 0 | 조회 1,616 | 2022.01.26
피고용인의 비자 만류를 사유로 고용관계를 종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고용법을 위반했을 경우 피고용인의 임금손실에 대한 보상을 하거나 정신적인 피해에 대한 피해 보상… 더보기

늘 새차처럼! 자동차 수명 연장법

댓글 0 | 조회 1,712 | 2022.01.26
먼 거리를 효과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자동차는 처음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취향을 표현하고, 드라이브를 즐기고, 어디든 함께하는 동반자로 여겨지… 더보기

검은 호랑이의 해

댓글 0 | 조회 1,172 | 2022.01.22
2022년 임인년(壬寅年) 호랑이의 해가 힘차게 솟아올랐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호랑이를 두려워하면서도 의로운 이를 수호하고 잡귀를 물리치는 영물(靈物)로 여겨… 더보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2,124 | 2022.01.20
시간이란 무엇인가?한창 방황하던 20대때 호주머니 쌈지돈 탈탈 털어서 나름 굳은 결심을 하고샀던 스티븐호킹의 책 제목이다.막상 책을 펼치고선 단 한 페이지도 제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