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72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정(精) 72근

0 개 997 수선재

인간이 지구에 태어날 때는 원칙이 있습니다.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주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인간이 태어나서 깨달음으로 갈 수 있겠는가를 정합니다. 어느 정도의 적정 에너지면 되겠는가 하는 것을 선인들이 많이 연구를 해서 창조의 원칙으로 72근의 정을 줍니다. 

 

“72근 정도 주어서 내보내면 인간이 60평생, 또는 70평생 동안 지구에 태어나서 살아가면서 깨달음에 이를 수 있겠다.”라고 해서 정해진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은 출생할 때 주어진 72근을 잘 활용하면 살아 있는 동안에 깨달음까지 갈 수 있고 잘 못하면 그냥 살다가 죽습니다. 

 

정 72근을 아끼라는 말씀을 많이 드리는데 그것이 제일 많이 분출되는 것이 정자(精子)입니다. 그냥 나가는 거거든요. 72근이 어느 정도인지는 재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아무튼 정 72근을 많이 배출하면 명을 다하고 죽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수명을 90살을 타고났어도 살아갈 에너지, 정(精)이 없으면 못 사는 거죠. 그저 최소한의 에너지만 남긴 상태로 누워서 살아가거나 명을 다하지 못하고 죽습니다. 이미 너무 많이 썼는데 어떻게 하느냐는 분도 계실텐데 다시 주워 담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니 남아 있는 것만이라도 잘 보전하셔서 기화시켜서 살아가시기 바랍니다. 

 

여자도 마찬가지예요. 난자 안에 생명이 탄생될 수 있는 모든 에너지가 들어있는데 최대한 활용해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에너지를 많이 비축하시기 바랍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안 쓰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의 정을 기화시켜서 살아가기보다는 우주기, 천기를 받아서 쓰십시오. 내 기운은 단전에 들어가면 다시는 안 나오는 것으로 생각하십시오. 

 

또 72근 중에 무덤 속에 일곱 근을 가지고 갑니다. 땅에 묻히고 나서 100년 정도 되면 기화가 되는데 시체가 다 기화될 때까지 일곱 근 정도가 남아 있게 됩니다. 시체 속에도 100년 동안 최소한도의 에너지를 가지고 간다고요. 그러니까 결국 72근에서 일곱 근을 뺀 65근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인데 이 기운이면 충분히 인간이 태어나서 깨달음까지 갈 수 있다고 판정해서 준 것입니다. 왜냐하면 에너지는 유한하기 때문에 인간이라고 해서 마냥 에너지를 줄 수는 없거든요. 

 

음식이나 보약, 혹은 기운이나 단전호흡을 통해서 정을 보충하거나 더 만들 수는 없는지를 문의하셨는데 기계 같은 것을 만들 때도 미리 수명을 정하고 쓰잖아요. 

 

기름칠을 아무리 한다고 해도 10년이면 10년 정해진 수명이 있듯이 원칙적인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음식을 아무리 많이 먹고 기운을 많이 보충해도 한꺼번에 많이 분출해 버리면 소용이 없습니다. 

 

그러니까 안 쓰는 것, 덜 먹고 덜 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많이 먹으면 또 많이 써요. “식욕은 성욕” 이라는 말도 있듯이 많이 먹으면 자연히 분출하고 싶어집니다. 보충은 보충대로 많이 하시되 덜 쓰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 외 누기(漏氣)가 되는 통로는 갈등이나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많이 손기(損氣)가 됩니다. 갈등이라는 것은 기 싸움을 하는 것입니다. 

 

둘 중 하나가 지면 갈등이 안 생기는데 대립해 있을 때 갈등이 생기고, 또 한 사람의 몸 안에서도 두 가지 생각이 대립되어 있을 때 갈등이 생기는 것입니다. 특히 아주 강한 두 개의 요소가 대립되어 있을 때 기 싸움 하느라고 갈등이 생기고 에너지가 많이 소모됩니다. 

 

그러니 부부간에라도 갈등이 있을 때는 져주십시오. 자기 자신을 위해서 대립하지 말라는 겁니다. 왜냐하면 싸우면 우선 자기가 손해나거든요. 절대 못 진다는 것 하나만 남겨 놓고 다 져주시고 봐주십시오. 다 이기겠다고 하면 안 돼요. 가급적 불필요한 에너지는 쓰지 마시고 그냥 져주면서 하고자 하는 것만 하시면 됩니다. 

 

현재 정(精) 72근

댓글 0 | 조회 998 | 2019.01.16
인간이 지구에 태어날 때는 원칙이 있습니다.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주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인간이 태어나서 깨달음으로 갈 수 있겠는가를 … 더보기

피라미드

댓글 0 | 조회 1,376 | 2018.12.24
전에 어떤 분이 피라미드에 관해서 강의를 한다고 해서 찾아갔었습니다. 정신세계원에서 했는데 처음 30분 정도는 굉장히 흥미진진했어요. 도입부에서 가설을 몇 가지 … 더보기

사람의 인자(因子)

댓글 0 | 조회 937 | 2018.12.11
다 같은 사람인데 왜 이 사람은 이렇고 저 사람은 저런가, 어떻게 틀린가, 사람을 구분 짓는 기준은 무엇인가 궁금하시죠?그러나 인간의 창조 목적이 ‘진화’이기 때… 더보기

성. 명. 정

댓글 0 | 조회 1,166 | 2018.11.28
엊그제 어느 분이 성(性), 명(命), 정(情)이 무엇이냐고 질문을 하셨습니다. 그런 질문을 받을 때는 참 반가워요. 수련을 하시면서 스스로 터득이 되겠지만 근본… 더보기

공주병, 왕자병

댓글 0 | 조회 1,290 | 2018.11.14
공주병, 왕자병 걸린 사람들 있죠?그 얘기 들어 주기 굉장히 힘들죠. 참 인내가 필요한데 그냥 들어 주면 되거든요. 그렇게 공주이고 싶어서 그러는데 못 들어 줄 … 더보기

인간 관계

댓글 0 | 조회 1,523 | 2018.10.26
수련생들의 인간 관계나 가족간의 관계는 시소를 타는 관계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시소 탈 때 유능한 사람은 항상 상대방에 맞춰 줍니다. 두 사람이 탈 경우 상대가… 더보기

낭비

댓글 0 | 조회 1,224 | 2018.10.11
장편, 중편, 단편이 있는데 장편은 출생에서부터 죽을 때까지 다 다루는 거예요. 그리고 중편은 어떤 시점, 예를 들어 대학에 들어가는 시점에서부터 어떤 시점까지 … 더보기

뻔한 스토리

댓글 0 | 조회 1,123 | 2018.09.26
지금까지의 인생은 아무렇게나 살아왔을 수도 있고 실패했을 수도 있지만 앞으로는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연출해서 첫 장면부터 철저하게 계산해서 가십시오. 좋은영화일수… 더보기

인생은 드라마

댓글 0 | 조회 1,573 | 2018.09.14
“인생은 드라마다.”라는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개운법은 스스로 자신의 운을 개척할 수 있는 명상법입니다. 오늘 개운법 명상을 하시면서 “이제부터는 내 인생을 … 더보기

정성

댓글 0 | 조회 1,158 | 2018.08.23
“온갖 정성을 다하여” 라는 말이 있죠?무슨 뜻이냐 하면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 오로지 그 생각만 하는 것이 정성입니다.저는 맛있는 음식을 보면 굉장… 더보기

밥상을 차리는 여자

댓글 0 | 조회 1,287 | 2018.08.09
저희 어머니가 옛날에 집에 귀한 손님이 오시면 며칠 전부터 쌀을 고르셨어 요. 겨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낟알을 고르면서 온전한 쌀하고 온전하지 못한 쌀을 골라내시… 더보기

먹어 치우기

댓글 0 | 조회 1,301 | 2018.07.26
사과 한 상자를 사면 그 중에서 상한 것부터 계속 드시는 분이 있고 좋은 것부터 드시는 분이 있어요. 성격 차이죠.저는 항상 제일 좋고 맛있게 생긴 것부터 먹어요… 더보기

영성이 높은 식물

댓글 0 | 조회 1,147 | 2018.07.14
그런데 왜 우리가 주식으로 하필이면 쌀을 먹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어떤 스님에게 천부경에 대해서 물어보니까 “쌀밥이 맛이 있지?”하시더랍니다. 천부경이 쌀… 더보기

밥의 소망

댓글 0 | 조회 1,363 | 2018.06.28
오늘은 음식을 드시는 자세에 대해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어떤 분이 밥만 보면 그냥 눈물이 막 나온다고 그래요. 왜 그러냐고 그랬더니 너무 맛있어서 그렇대요. 그래… 더보기

명상과 생활의 조화

댓글 0 | 조회 1,237 | 2018.06.17
생활과 명상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가족을 자기편으로 만드는 지혜가 있어야 수련을 오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열 가지 중 아… 더보기

아름다운 만남

댓글 0 | 조회 1,359 | 2018.05.25
문학을 하는 사람들이 지저분한 밑바닥까지도 알아야 된다고 직접 체험해 보는 경우가 있는데 아무리 문학을 해도 그렇게 까지 할 필요는 없어요. 잘못된 인식입니다. … 더보기

인연

댓글 0 | 조회 1,498 | 2018.05.08
결혼을 하면 짐은 무겁지만 발걸음은 가볍고, 결혼을 안 하면 자기 혼자 가니까 짐은 없는데 발걸음이 무거워요. 왜냐하면 아무래도 우리 사회에서 결혼을 안 한다는 … 더보기

건설은 어려우나 파괴는 쉬워

댓글 0 | 조회 1,457 | 2018.04.26
수련이 많이 되신 경우에는 한두 번의 만남으로도 상대방의 혈을 다 열어줄 수 있습니다. 무슨 뜻이냐 하면 그만큼 만남이라는 것이 에너지 소모가 많이 된다는 얘기죠… 더보기

기혼 남녀

댓글 0 | 조회 1,316 | 2018.04.12
기혼 남녀끼리의 경우는 안 된다고 못을 박아 둡니다.하나가 기혼, 하나가 미혼인 것도 안 돼요.또 어중간한 상태, 예를 들어 별거 중인 상태에서는 한쪽을 완전히 … 더보기

배우자 선택 기준

댓글 0 | 조회 2,415 | 2018.03.28
스스로 각성을 하는 글을 보니 주로 남녀 문제에 대해서 많이 쓰셨더군요. 그래서 그 문제를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여러 말씀 속에서도 아직 머리 속에서 정리가… 더보기

여자의 사랑 속성

댓글 0 | 조회 1,316 | 2018.03.14
왜 여자들은 사랑 때문에 불행해지는지 모르겠어요.꼭 지팡이 짚고 가려는 속성 때문에 그렇죠.남자 지팡이 짚고서 가려는 속성 때문에 불행해진다고요.사랑내지 남자를 … 더보기

여자와 명상

댓글 0 | 조회 1,173 | 2018.02.28
수련 인연이 있으신 여자분들은 보통 대가 센 분들이 아니십니다. 어쨌거나 다수는 아니기 때문에 수련에 들기까지 아주 힘든 관문을 뚫고 들어오는 것입니다. 그런데 … 더보기

세종대왕께서도 선인이셨는데 후궁들이 많았다고...

댓글 0 | 조회 1,581 | 2018.02.15
세종대왕께서도 선인이셨는데 후궁들이 많았다고 들었습니다. 어떻게 생각을 해야 할지?세종대왕의 경우는 저도 이상했어요. 팔십 몇 명이나 여자가 있었다고 해서 처음에… 더보기

지감止感 (Ⅱ)

댓글 0 | 조회 1,138 | 2018.02.01
지감이라는 것은 느낌을 멈추는 것인데 영화를 한 편 소개해 드리자면 중국 영화인데 제목이 화혼(畵魂)이에요. 감독은 장예모이고 공리가 주연한 영화입니다.공리가 기… 더보기

지감止感

댓글 0 | 조회 924 | 2018.01.16
마음에 관한 사항을 끊는다는 것인데 희로애락애오욕, 즉 느낌에 대해서 느끼지 않는 것입니다.어떤 느낌이 오면 계속 깊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그 느낌 자체를 잊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