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법과 일상생활 – 고용관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뉴질랜드 법과 일상생활 – 고용관계

0 개 665 강승민

지난 칼럼까지 수회에 걸쳐서 뉴질랜드 법이 부부관계를 어떻게 보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우리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루어 보았습니다.


이번화 부터는 부부관계만큼 흔한 관계라고 볼 수 있는 고용관계를 다루어보려고 합니다. 뉴질랜드에 이민을 오셨던, 아니면 뉴질랜드에서 나고 자라셨던, 재산이 있으셔서 처음부터 비즈니스를 운영하실 수 있는게 아니면 보통은 고용주 밑에서 급여를 받으며 근로를 하는게 사회생활의 첫걸음일테고, 집에서 보내는 시간을 빼면 대부분 직장에서 시간을 보내실테니깐요. 또한 비즈니스를 운영하시게 되더라도 직원을 한 명도 고용하지 않고 운영하시는 일은 드물 것 같습니다. 독자분들께서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고용주이시건, 급여를 받으시는 근로자이시건, 이 나라의 경제를 든든히 뒷받침하는 근간이라는 점은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이 분야는 이미 성태용변호사님께서 유익한 실제 판례 위주로 수년간 다루어주시고 계시기 때문에 저는 원론적이고 법률 위주의 접근을 해보려고 합니다.


뉴질랜드에서 일반 계약법은 엄격한 보통법 (common law) 하에 있어서, ‘모든 성인은 동등하다’ 라는 전제가 붙습니다. 즉,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모든 성인은 수평적 관계만 갖고 본인들이 원하는대로 계약할 수 있으니 의회에서는 그 개입을 최소화하고, 법원에서는 관계법률이 거의 없으니 계약서의 해석 위주로 초점을 맞춥니다. 이 부분은 추후에 별도로 다루겠습니다.


부부관계는 보통법보다는 형평법 (equity) 에 가까운 특수 관계로, ‘다른걸 같게’ 취급함으로서 형평성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두 성인의 신체나 자라온 배경이 다르니 그들의 역할과 재산환경이 완전히 같을 수가 없는데, 그래도 무조건 반반 나누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입니다. 


고용관계도 계약법의 영향이 없진 않지만 형평법에 훨씬 가까운데, ‘다른걸 다르게’ 취급함으로서 형평성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고용주에게 소위 “hiring & firing”, 즉 직원들을 (마음대로) 고용할 수 있고 해고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고용주와 직원의 관계 그 자체가 절대로 동등해질 수가 없다는 점을 인지하고, 고용관계법 (Employment Relations Act 2000) 등을 비롯한 다양한 법률을 제정해서 직원들을 보호하고 고용관계의 불평등을 해소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법률이 항상 계약서의 상위에 있기 때문에 “직원이 최저시급보다 덜 받기로 동의했다”, “직원이 해고당해도 이의제기 안하기로 동의했다”같은게 성립이 안되는 것이지요.


구체적으로 뉴질랜드에 어떤 법률들이 있으며 어떻게 고용관계 불평등을 해소하려고 하는지는 앞으로 찬찬히 다루도록 하겠고, 이번 화에서는 고용법의 특별한 탄력성이 좀 흥미로운 것 같아 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영미법의 일반 계약법은 저 멀리 로마법에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도 있지만, 대부분 1600년대 명예혁명 이후부터 판례 위주로 발전해온 것을 기원으로 삼을 것입니다. 아직까지도 많이 인용되는 판례중에서는 1800년대나 1900년대 초 판례들까지 있을 정도로 유서가 깊고, 반대로 보면 발전이 비교적 더디고 굉장히 정적인 법니다. 


부부관계법에 있어서 뉴질랜드는 항상 타 선진국들을 압도하는 발전을 해왔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1800년대 후반 발빠른 여성참정권부터 시작하여 1900년대 여성인권신장과 함께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이미 1976년도에 동등분할이라는 진보적인 법률을 만들었고 현재 재산분할법도 그걸 근간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때 이름은 Matrimonial Property Act 1976). 2000년대 초중반에는 사실혼, 동성혼까지 흔해진 사회상을 포괄하기 위해 대대적인 법률개정이 있있고 (현재 이름은 Property (Relationships) Act 1976) 그 이후로는 약간의 ‘땜빵’만 이루어지고 있을 뿐 큰 수정은 없었습니다. 보수성향의 정당이 집권을 하던 진보성향의 정당이 집권을 하던 현재로서는 재산분할법이 특별히 달라질 여지는 없을 것 같습니다. 법원의 해석이나 적용도 가정법원 판사 개개인의 해석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는 있었지만 큰 틀은 항상 유지가 되었었구요.


이와 달리 고용관계법은 산업혁명때부터 급격히 발전되어 왔습니다. 처음에는 잠 잘 곳도 없이 도시로 몰려든 청년들, 심지어 아동들까지 관짝같은 곳에서 자면 다행이고 그것도 없으면 빨래줄 같은것에 몸을 기대서 (그것도 유료로) 잠을 이루면서 하루 14시간이 넘는 노예같은 생활을 하다보니 법률로서 개입을 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지요. 그 이후로 사회발전, 경제발전에 발맞추어 꾸준한 발전이 있어왔습니다. 현재 뉴질랜드 고용관계법도 2000년에 만들어진 조금은 오래 된 법이고 큰 틀은 유지되어 왔지만 의회에서 부분개정 되어왔던 내용들 및 사법기관에서 그걸 적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정부 성향에 따라, 그리고 경제 상황에 따라 좋게말하면 탄력적이었다 (나쁘게 말하면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었다 한다)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아래와 같은 것들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최대한 가치중립적으로 서술하겠습니다):


• 추후에 자세히 다루겠지만 Trial period는 고용주에게 유리한 조항이고, 2009년 보수성향 정부하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소규모 업체에만) 2011년 전체 고용주에게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2019년 진보성향 정부에서는 이걸 다시 소규모 업체로 한정시켰고, 2023년 보수성향 정부는 이걸 다시 전체 고용주에게 확대시켰습니다.


• 2022년 진보성향 정부는 Fair Pay Agreements Act 라는 산업 전반에 걸친 단체협약이 가능한 법을 만들었고 2023년 보수성향 정부는 바로 이 법을 폐지시켰습니다.


• 최근에 항소법원에서, Uber 운전자분들이 Uber와 계약한 개인사업자가 아니라 직원일 수 있다는 점을 다시한번 확인한 판례가 나왔습니다. 정부성향을 떠나 순수 고용법 측면에서 큰 획을 그은 발전이라고 볼 수 있었는데,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현재 보수성향 정부의 고용관계 장관 (Minister for the New Zealand Workplace Relations and Safety)이 Uber 임원들과 만났었고 개인사업자들이 사법기관에서 직원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제한하는 법률을 제정을 계획중이라고 피력했습니다. 


• 순전히 제 ‘뇌피셜’일수도 있겠지만, 구조조정관련 법률해석이 경기침체 기간에는 비교적 고용주에게 수월하게 이루어졌던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2020년 COVID19 사태 초반에는, 락다운 등으로 인한 구조조정은 절차만 제대로 따랐으면 대부분 해고가 정당화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고용법원보다는 고용관계청 (Employment Relations Authority)에서 좀 더 그랬던 것 같습니다.


당연히 사업자분들과 근로자분들 모두가 뉴질랜드 경제의 근간이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어느 한쪽만 편을 들 수는 없고 형평성이 한쪽으로 몰리지 않도록 아슬아슬 줄다리기를 타는 것 같았습니다. 고용법이 너무 고용주를 탄압해서 아무도 사업을 안하고 (혹은 1인사업만 하고) 일자리창출을 하지 않는 것도 문제이고, 고용법이 근로자들을 보호하지 못해서 고급인력이 다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도 문제일 테니깐요.


■ 이 칼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률적인 자문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달이와 함께 만난 동물 부처들

댓글 0 | 조회 247 | 2024.11.06
안동 봉정사 영산암 응진전 용과 사슴, 영덕 장육사 대웅전 사자와 코끼리사찰 곳곳에서 만나는 동물들은절을 아름답게 하고 이야기를 담는다.아이가 처음 세상을 배울 … 더보기

배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다

댓글 0 | 조회 587 | 2024.11.06
고등학교 때의 일이다. 조회 시간에 교장선생님 훈화 중 “4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에 대한 내용이 생각난다. 4촌이 논을 사면 기뻐할 일인데 왜 배가 아파야… 더보기

Panic Attack

댓글 0 | 조회 597 | 2024.11.05
공황발작은 갑작스럽고 강렬한 불안감이 나타나는 정신적 증상입니다. 이 발작은 보통 예기치 않게 발생하며, 몇 분 안에 극심한 공포나 불안이 솟구치는 특징이 있습니… 더보기

New NCEA

댓글 0 | 조회 576 | 2024.11.05
대부분의 학부모님께서 이미 알고계시듯 한국은 세계적으로 손 꼽히는 사교육의 천국입니다. 대형입시학원은 말할것도 없고 입시학원 입학을 위한 또 다른 입시학원, 취업… 더보기

34. 소화기관의 병은 이런 순서로 치료해 보세요

댓글 0 | 조회 457 | 2024.11.05
몸의 각종 부위 중에 피부와 점막들은 손상될 가능성이 많다. 왜냐하면 외부 세계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물질을 자주 접하는 신체 기관들이기 때문이다. 다행이도, 손상… 더보기

아플수록 마음관리를 잘 해야

댓글 0 | 조회 419 | 2024.11.05
장영희 교수님을 아시나요? 제가 이 분 글을 인용하면서 참 좋아했는데 얼마 전 신문을 보니까 휠체어에 탄 모습으로 환하게 사진을 찍었더군요. 열두 번 예정된 항암… 더보기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댓글 0 | 조회 1,003 | 2024.11.02
한국인 232만명이 고혈압(高血壓), 당뇨병(糖尿病), 고지혈증(高脂血症)을 모두 앓고 있는 복합 만성질환자이다. 이 세 가지 질병은 동시다발적으로 생기며, 나이… 더보기

한국의대 입시 어디로 갈 것인가? 파트1

댓글 0 | 조회 664 | 2024.10.31
대한민국은 4대 개혁 의료개혁, 연금개혁, 노동개혁 그리고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그 중 의료개혁을 추진하며 2024년 2월 초 20여년동안 정원 변화 없이 한… 더보기

33. 음식, 식습관, 장건강, 심성 그리고 영성의 축

댓글 0 | 조회 518 | 2024.10.30
지금까지 무엇을 어떻게 먹는가가 장건강을 지배하고, 장건강은 뇌에 바로 영향을 준다고 말해 왔다. 그리고 음식, 식습관, 장건강, 심성 그리고 영성이 하나의 축으… 더보기

현재 뉴질랜드 법과 일상생활 – 고용관계

댓글 0 | 조회 666 | 2024.10.23
지난 칼럼까지 수회에 걸쳐서 뉴질랜드 법이 부부관계를 어떻게 보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우리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루어 보았습니다.이번화 부터는 부… 더보기

지팡이 짚고 해탈(解脫)?

댓글 0 | 조회 327 | 2024.10.23
유난히도 햇볕 찬란한 지난 6월 어느 날이었다.기분도 가볍게 외출채비를 하고 나섰다. 얼마쯤 걸었을 때 였다. 한쪽 다리에 약간의 불편함이 느껴지기 시작했다. 조… 더보기

청소년 정신건강 “Care to Self-care”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274 | 2024.10.23
지난 9월, 리커넥트 청소년 정신건강 “Care to Self-care?” 프로젝트가 마쳤다는 소식을 전해드리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프로젝트 첫날부터 … 더보기

음식이 익어가듯 마음을 숙성시킬 수 있다면

댓글 0 | 조회 185 | 2024.10.23
보늬밤을 만들었습니다. 매일 아침 산책길에 다섯 알, 열 알씩 주워 모은 것이라며 알밤 한 상자를 선물 받았기 때문입니다. 예정되어 있던 택배를 받는 날, 예기치… 더보기

32. 유산균제보다는 김치를 이렇게 먹어봅시다

댓글 0 | 조회 524 | 2024.10.22
장건강을 지키는 가장 핵심은 유익균을 강화시키고 유해균을 억재하는 것이라고 했다. 음식이나 식습관도 유익균을 강화시키고 유해균들을 억재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더보기

이제 우리들은 조금씩

댓글 0 | 조회 444 | 2024.10.22
시인 세르게이 예세닌이제 우리들은 조금씩 떠나가고 있다.고요함과 행복이 있는 그 나라로,어쩌면 나도 곧 길을 떠날는지 모른다.덧없는 세간살이를 치워야 한다.그리운… 더보기

사무실 복귀 명령

댓글 0 | 조회 1,211 | 2024.10.22
코로나바이러스 창궐로 인해 기업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 중 하나는 재택근무의 확산입니다. 재택근무는 출퇴근에 드는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등 장점도 있지만 의사… 더보기

잎이 진 자리엔 새순이 돋는다 - 시험이 두려운 그대에게

댓글 0 | 조회 280 | 2024.10.22
세면장 한켠에 작은 나무가 한 그루 자랍니다.이 나무는 작고 작아서 ‘그루’라는 표현이 무색하고 이 나무는 홀로 외로워서 ‘그루’라는 셈의 단위가 어울리지 않습니… 더보기

걸리는데 10년, 낫는데 10년

댓글 0 | 조회 813 | 2024.10.22
여기 계신 000 회원님은 전생에 고물상을 하셨답니다. 고물상을 하면서 많이 돌아다니면서 세상사는 이치를 터득했습니다. 아마 깨달음 직전까지 갔던 것 같습니다.그… 더보기

노인의 날과 경로의 달

댓글 0 | 조회 460 | 2024.10.19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평균 나이는 2023년 말 44.8세였으며, 올해 45세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THE World University Ranking 2025

댓글 0 | 조회 1,443 | 2024.10.10
영국의 권위 있는 세계대학 평가기관 Times Higher Education (일명 THE)에서 매년 세계대학 랭킹을 발표하고 있다. THE는 18가지의 평가지표… 더보기

기분 좋은 날

댓글 0 | 조회 644 | 2024.10.09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성경과 도시락을 동시에 펼쳐 읽고 먹으면서말씀과 도시락 어느 맛에 기쁜지 구분이 안 될 때.몸에 남은 수술 자국을 보며 잘 견뎌낸내가 자랑스… 더보기

Family Trust 로 재산분할을 피할 수 있을까?

댓글 0 | 조회 1,371 | 2024.10.09
Trust는 우리말로 신탁이라고도 하는데, 신뢰를 기반으로 타인이 내 재산을 대신 소유/관리하는 모든 것들을 통칭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실제 소유주는 … 더보기

암세포를 품고 사는 스님 이야기

댓글 0 | 조회 596 | 2024.10.09
어떤 스님이 위암에 걸려서 위의 반 정도가 암세포인데, 암세포가 있는 채로 사시는 것을 보았습니다.암세포도 자기니까 괜찮다고 생각하면 그냥 사는 것입니다. 식사도… 더보기

제철 식재료에 정성 더하기, 최고의 사찰음식 비법

댓글 0 | 조회 378 | 2024.10.09
음식을 먹는 행위에는 많은 의미가 함축돼 있다. 나와 모든 만물이 연결되어 있음을 오롯이 자각하는 순간이며, 음식에 담겨진 우주를 온전히 느끼고 받아들이는 숭고한… 더보기

또 다시 시험기간을 맞으며

댓글 0 | 조회 581 | 2024.10.08
10월 입니다. 한 해의 공부를 마무리 짓는, 그리고 내년의 학업을 준비하는 신호탄이 될 external 시험을 코 앞에 바라보는 요즈음, 시기가 시기인지라 아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