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ㆍ소아 신장암(腎臟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성인ㆍ소아 신장암(腎臟癌)

cfr_asia
0 개 1,248 박명윤

신장(콩팥, Kidney)은 크게 신실질(腎實質)과 신우(腎盂) 두 부분으로 나뉜다. 신실질(renal parenchyma)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오줌(尿)을 만들어내는 곳이며, 신우(renal pelvis)는 오줌의 배출에 관여한다. 즉 신실질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신배(腎杯)를 거쳐 신우에 잠시 모였다가 긴 파이프 모양의 요관(尿管)을 통해 방광(膀胱)으로 내려간다.


신장암은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신실질에서 발생하는 종양과 신우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구분한다. 신장에서 발생한 종양의 대부분은 원발성 종양(原發性腫瘍, primary tumor)이며, 85-90% 이상은 악성종양인 신세포암(腎細胞癌)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신장암(腎臟癌)이라고 하면 신세포암을 의미한다.


신장암(Renal Carcinoma)은 한쪽 또는 양쪽 신장에 종괴(腫塊, 혹 덩어리)를 형성하며, 대개 40대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60-70대의 노년층에서 최고의 발생빈도를 나타낸다. 신장암은 비뇨기계(泌尿器系)에 일어나는 악성 종양 중에서는 전립선암과 방광암 다음으로 많다. 성인과 달리 소아(小兒)에는 윌름스종양(Wilms tumor)이라고 하는 신모세포종(腎母細胞腫)이 발생하는데, 주로 9세 이전에 발생한다.


2020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8년 우리나라에서 총 243,837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신장암은 5,456건(남자 3,806건, 여자 1,650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2.2%로 10위를 차지했다. 남녀의 성비는 2.3: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26.6%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4.1%, 70대가 19.4%의 순이었다.


2018년 신장암 발생 건수를 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발생 빈도는 ▲암종(Carcinoma) 91.9%(신세포암 90.4%, 편평이행세포암 0.5%, 기타 명시된 암 0.4%, 상세 불명암 0.6%), ▲기타 명시된 악성 신생물 0.8%, ▲상세불명의 악성 신생물 7.3%이다. 한편 소아(小兒)의 윌름스종양(Wilms tumor)은 24건(남자 12건, 여자 12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01%를 차지했다.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위험인자로 환경적 요인, 생활습관, 기존의 신장질환, 유전적 요인 등이 있다. 환경적 요인과 생활습관과 관련된 인자는 흡연, 비만, 고혈압, 과다한 동물성 지방섭취 및 고에너지음식 섭취 등이다. 또한 유기용매나 가죽, 석유제품, 카드뮴 등의 중금속에 직업적 노출, 다낭종신 같은 신기형이나 신결석, 장기간의 혈액투석 같은 기존 질병도 위험인자이다.


흡연은 신세포암 발생의 가장 유력한 원인 인자이며,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1.4-2.5배의 신장암 발생 위험성이 있으며 흡연량과 흡연기간에 비례하여 위험도가 높아진다. 식이(食餌)와의 관련성은 과다한 동물성지방 섭취, 고(高)에너지음식의 섭취 등이 신세포암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신체활동이 적은 사람은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에 비해 신세포암 발생이 많다는 연구가 있다.


특정 직업종사자와 신세포암 발생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으며, 철강관련 노동자, 석유제품 및 석면사용 관련 직업, 섬유업종 관계자, 유기용매관련 노동자, 납과 카드뮴 등에 노출되는 직업의 종사자 등이 위험군이지만 연관성은 확실하지 않다. 유전적 요인으로 신세포암의 가족력이 있으면 위험도는 4-5배 증가하지만, 전체 신세포암 중 유전성은 4-5%에 불과하다.


신세포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기존 신질환은 만성신부전(慢性腎不全)으로 장기간 혈액투석(血液透析)중인 환자가 대표적이다. 특히 후천선 신낭종이 발생한 환자의 4-9%는 신세포암이 발생하여 정상인에 비해 30-100배의 위험도가 있다. 또한 신기능 부전으로 신장이식(腎臟移植) 후 면역억제제 투여 중인 환자에서도 암 발생이 증가한다. 다낭종신(多囊腫腎), 마제철신(horseshoe kidney) 등 신기형(腎畸形)이나 가족성 사구체병증(絲球體病症)의 경우에도 암 발생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신장암은 대부분의 암과 같이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다른 장기로 전이된 후 발견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신세포암의 3대 증상으로 이전에는 옆구리의 통증이 환자의 약 40%, 혈뇨(血尿)가 60%, 만져지는 복부의 혹 덩어리가 45%에서 발견되었지만 실제로 이 세 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는 전체의 10-15%에 불과하다. 또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서 병원을 찾으면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건강검진에서 초음파 영상검사가 보편화되면서 60-70% 이상은 별다른 증상 없이 건강검진이나 위장관계통(胃腸管系統)의 증상에 대한 검사 등에서 우연히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10-30%는 진단 당시 폐(肺) 전이로 인한 호흡곤란, 뇌(腦) 전이로 인한 두통, 골(骨) 전이로 인한 뼈의 통증이나 요통 등의 증상으로 인해 발견되고 있다. 신세포암의 전이 부위는 폐(50-60%), 림프절(30-40%), 간(30-40%), 뼈(30-40%), 부신(20%), 반대편 신장(10%), 뇌(5%) 등 다양하다.


신장암 진행단계별 초기 증상은 신세포암 크기가 작을 때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어느 정도 커져서 주위 장기를 밀어낼 정도가 되어야 증상이 나타난다. 이에 암 진단이 늦는 경우가 많아 첫 진단 시 환자의 10-30%는 이미 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된 상태이다. 후기 증상으로 측복부(側腹部, 옆구리)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측복부 혹은 상복부에서 종괴(腫塊, 혹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으며,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다. 전신 증상으로 체중 감소, 발열(發熱), 발한(發汗) 등이 있다.


진단방법에는 이학적 검사, 임상병리검사, 영상학적 진단, 조직학적 진단 등이 있다. 이학적 검사(理學的檢査, physical examination)는 배에서 혹이 만져지거나, 갑자기 고혈압이나 남성 고환 상부의 정맥혈관이 확장되는 정계정맥류(精系靜脈瘤, varicocele)가 발생할 수 있다. 임상병리검사(臨床病理檢査, clinical pathology examination)에서 혈뇨, 빈혈, 혈구침강속도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신세포암 환자의 약 절반은 혈뇨(대부분 현미경적 혈뇨)가 발견된다.


영상학적 진단은 초음파 검사(Echography),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으로 한다. 복부(腹部)초음파촬영은 복부 내의 여러 장기를 함께 관찰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검사로 단순낭종(물혹), 복합성 낭종, 고형종물(덩어리)의 감별에 매우 유용한 검사이다. CT는 신종물의 악성 여부 평가를 비롯하여 신혈관 주위, 신장 주변, 신정맥, 하대정맥(下大靜脈), 부신, 간, 국소 림프절 등 주위 장기로의 침범 및 전이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암의 병기를 결정하고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MRI는 신세포암인지 지방조직이 적은 신혈관근지방종(Angiomyolipoma)인지 구별이 안 되거나, 신세포포암이 하대정맥을 침범하여 종양 혈전이 있으면 그 범위를 평가한데 효과적이다. 신동맥 조영술은 신보존술을 하기 전에 혈관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하지만 최근에는 CT를 이용한 혈관 조영술을 이용하며, 주로 수술이 불가능해 신동맥색전술(renal artery embolization)을 시술할 때 시행한다.


폐(肺) 전이 유무를 관찰할 때 단순 흉부 촬영을 한다. 골주사(뼈 스캔, bone scan)검사는 골전이(骨轉移)가 의심될 때 전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시행한다. 조직학적 진단은 최근 세침흡인검사(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대신 보다 굵은 침을 이용한 조직검사를 시행하면 침생검(針生檢)으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으면서 과거보다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다.


신세포암의 진행단계는 TNM 병기(病期)분류법에 의하여 분류하며, T는 암의 국소 진행 정도, N은 림프절 전이 여부, M은 원격 전이 여부를 말한다. 제 1기는 신장 내에 국한되어 있는 직경 7cm 이하의 종양, 제2기는 신장 내에 국한되어 있는 직경 7cm 초과 종양을 말한다. 제 3기는 주요 정맥이나 신장 주위 조직을 침범하였으나 신주위근막(제로타 筋膜)은 넘지 않은 경우, 국소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이다. 제 4기는 동측 부신(副腎)의 직접 침윤 또는 신주위근막을 넘어 주위 장기로의 침범이 있거나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이다. 신장과 부신 주위에 있는 결합조직인 콩팥근막을 제로타근막(Gerota’s fascia)이라 부른다. 루마니아인 Gerota 해부학교수는 방광과 충수돌기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했다.


신세포암의 치료는 암의 병기(病期)와 환자의 나이, 전신 상태, 동반 질환의 유무 등에 따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신세포암은 방사선치료나 항암화학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으므로 수술로 암을 제거한 것이 최선의 치료이다. 수술은 개복 또는 복강경이나 로봇을 이용한 근치적 신적출술(腎摘出術)이나 부분 신절제술(腎切除術)을 시행한다. 다른 장기에 전이가 있거나 재발성 신세포암은 종양감축 신절제술, 전이병소절제술(Metastasectomy) 등의 수술치료와 함께 표적치료나 면역요법 등을 시행한다.


부분 신절제술은 신장을 모두 적출하는 근치적 신적출술과 달리 암병변을 포함한 신장의 일부만을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은 보존하는 수술방법으로 신원보존술(Nephron Sparing Surgery)이라고도 한다. 크기가 작은 신세포암의 부분 신절제술은 종양학적 치료 결과가 근치적 신적출술과 비슷하다. 수술 전 영상진단에서 림프절 종대(lymph節 腫大)가 있거나 수술시야에서 커진 림프절이 있는 경우에만 림프절 절제술을 추천한다.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활성 물질인 사이토카인(cytokine)을 기본으로 하는 면역치료(免疫治療)는 진행성 신세포암의 치료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었다. 최근에는 기존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전통적인 면역치료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보다 특이적인 면역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작은 신종물(혹)을 가진 환자 중에서 고령(高齡)이거나 심각한 내과질환을 동반하고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어려운 환자는 주기적인 추적관찰(追跡觀察)만 하는 경우도 있다.  


신세포암의 수술 후 재발은 대개 1-2년 사이에 많이 발생하지만 수술 후 10-15년 이상 지나서 재발한 보고도 있다. 따라서 수술 후 재발이나 진행여부에 대한 추적검사가 필요하다. 추적검사는 대개 수술 후 2년까지는 매 3-4개월마다, 그 이후에는 6개월-1년 간격으로, 5년 이후에는 1-2년마다 시행한다. 추적검사로는 이학적 검사, 혈액검사, 흉부단순촬영 등을 시행하며, 필요시에는 CT, 뼈 스캔, PET 등을 시행한다.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가 2019년 12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3-2017년의 신장암의 5년 상대생존율(relative survival rates)은 남녀 전체 83.1%(남자 83.1%, 여자 82.9%)로 나타났다. 병기 분류에 따른 5년 상대생존율은 ▲국한(localized, 암이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음): 97.2%, ▲국소(regional, 암이 발생한 장기 외 주위 장기, 인접 조직, 또는 림프절을 침범): 78.0%, ▲원격(distant, 암이 발생한 장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에 전이): 13.1% 등이다.


신장암 환자가 한쪽 신장을 제거한 경우에도 반대쪽 신장의 기능이 정상이라면 활동 및 생활에 전혀 문제가 없으므로 식생활과 일상생활에 크게 주의할 사항은 없다. 하지만 지나친 염분 섭취와 급격한 체중 증가는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적당한 일과 충분한 휴식은 환자에게 활력을 주며 암과 투병에서 이기겠다는 의지를 높여준다.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2,133 | 2021.04.29
과거와는 달리 정신적 건강의 위험신호와 질병에 대해 거부감이 줄어 들고 있고 전문가를 찾아서 도움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정신건강의 문제에 … 더보기

강남, 그들만의 세상

댓글 0 | 조회 1,616 | 2021.04.29
“심수련 가방, 송혜교 시계, 전지현 반지...”적게는 수백만 원에서, 많게는 5억원에 달하는 연예인 아이템을 주저 없이 사들이는 이들이 있다. 한국의 강남 엄마… 더보기

불면증, 이제 그만

댓글 0 | 조회 1,310 | 2021.04.29
‘불면증’이라 함은 ‘잠을 푹 자지 못했다’ 또는 ‘수면시간이 너무 짧다’라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전날밤에 몇시간을 잤든 간에 다음날 낮에… 더보기

가을 탓인가?

댓글 0 | 조회 1,250 | 2021.04.29
하늘은 눈물이 날 만큼 투명했다.태풍 ‘산바’가 지나간 며칠 후부터 그랬다. 아침마다 안개가 자욱이 산허리를 감아 피어오르고 나무들은 비릿한 냄새를 풍겼다.마당에… 더보기

월드비전에도 BTS가 있다고?

댓글 0 | 조회 1,534 | 2021.04.29
“BTS? 뭐야뭐야~!” 하신 분 계신가요? 월드비전의 BTS는 특별한 의미가 있어요. 바로 Be The Solution의 약자로 청소년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몸과… 더보기

퀸스타운 중심가의 Ben Lomond 트랙

댓글 0 | 조회 1,273 | 2021.04.29
뉴질랜드 남섬을 여행한 분이라면 뉴질랜드 대표 관광도시인 퀸스타운은 반드시 한번은 방문해 보았을 것이다.그리고 퀸스타운 중심가에 있는 곤돌라를 이용하여 높이 올라… 더보기

Give up the thought of giving up

댓글 0 | 조회 987 | 2021.04.29
지난주의 일 입니다. 몇 아이들로 구성된 클라스에 달랑 한명만 출석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방학이 되다보니 오케스트라 캠프를 간 아이도 있었고 가족들과 여행을 떠… 더보기

이 가을, 뒷동네 여인들

댓글 0 | 조회 1,643 | 2021.04.28
이슬도 마르지 않은 축축한 이른 아침부터 마당 의자에 나와 앉아있는 여인이 있군요. 볼품없이 뚱뚱하고 거칠게 생겨서 나이를 짐작하기도 어려운 마오리 아줌마였습니다… 더보기

가을에

댓글 0 | 조회 1,070 | 2021.04.28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국에는 봄꽃이만개했다 하던가요내가 사는 곳은가을이 가득합니다봄볕의 고국과가을로 물든 이곳이서로 다정하여고국이 그립지만내가 사는 여기도 가슴… 더보기

대원사 권역

댓글 0 | 조회 1,372 | 2021.04.28
남원에서 함양으로 간다. 둘레길 ④구간 금계-동강. 벽송사를 경유하면 12.7km다. ⑤구간 동강-수철(12.1km). 4개의 마을을 지나 산청에 이르는 길이다.… 더보기

굽은 등은 펴지고, 뻣뻣한 목은 부드럽게!

댓글 0 | 조회 1,355 | 2021.04.28
평소 휴대폰이나 컴퓨터 많이 사용하시나요? 사용 후에 목과 어깨의 긴장감, 뻣뻣함이나 통증 같은거 느껴지시나요?잘못된 자세나 정신적 스트레스는 목의 긴장감을 가져… 더보기

건강하게 사는 법

댓글 0 | 조회 1,062 | 2021.04.28
몸은 자신을 싣고 가는 도구몸은 이번 생에 자신을 싣고 갈 도구입니다. 컴퓨터에 비유하자면 몸은 하드웨어(Hard ware)입니다. 이 하드웨어에 마음이란 소프트… 더보기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556 | 2021.04.28
피고용인의 비자 만료가 다가올 경우 고용주는 고용법의 의무와 이민법의 의무를 모두 준수해야 합니다. 하지만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거하여 피고용인을 대해야 한다는 고… 더보기

몸통스윙 원심력 생각에 골프가 어려울 수 있다

댓글 0 | 조회 2,350 | 2021.04.28
몸통스윙 원심력 생각에 골프가 어려울 수도 있다.골프스윙에서 몸통 꼬임으로 몸통 스윙으로 쳐라.몸이 돌고 어깨가 돌아야 스피드가 빨라진다. 라는 말을 정말 많이 … 더보기

저 거리의 암자

댓글 0 | 조회 1,249 | 2021.04.28
시인 : 신 달자어둠 깊어가는 수서역 부근에는트럭 한 대 분의 하루 노동을 벗기 위해포장마차에 몸을 싣는 사람들이 있습니다.주인과 손님이 함께출렁출렁 야간 여행을… 더보기

행복의 맛

댓글 0 | 조회 1,089 | 2021.04.28
재작년에 분양을 받은 다육이 들이 제법 새끼를 많이 쳐서 친구에게 분양해주기로 했었다. 그런데 그 친구가 자신보다 더 급한 곳이 있다고 하면서 그곳에 분양을 해주… 더보기

자발적으로 소외된 곳으로 나아가는 리커넥트

댓글 0 | 조회 1,247 | 2021.04.28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려요안녕하세요 저는 21살, 1999년생 박민선이라고 합니다관심 있는 분야/공부하는 전공이 무엇인지 말해주세요저는 지구과학 이랑 환경과학으로… 더보기

펜트하우스 유감

댓글 0 | 조회 1,347 | 2021.04.28
“100층 펜트하우스의 범접불가 ‘퀸’,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욕망의 ‘프리마돈나’, 상류사회로의 입성을 향해 질주하는 ‘여자’와 채워질 수 없는 일그러진 욕망으… 더보기

수면장애(Sleep Disorder)

댓글 0 | 조회 1,434 | 2021.04.24
필립스(Philips)가 3월 19일 ‘세계 수면의 날’을 맞아 한국을 포함한 13개국 1만3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COVID-19)이후 글로벌 수면동… 더보기

현재 성인ㆍ소아 신장암(腎臟癌)

댓글 0 | 조회 1,249 | 2021.04.19
신장(콩팥, Kidney)은 크게 신실질(腎實質)과 신우(腎盂) 두 부분으로 나뉜다. 신실질(renal parenchyma)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오줌(… 더보기

안 보이는 사랑

댓글 0 | 조회 1,191 | 2021.04.14
시인 송재학강물이 하구에서 잠시 머물듯어떤 눈물은 내 그리움에 얹히는데너의 눈물을 어디서 찾을까정향나무와 이마 맞대면너 웃는 데까지 피돌기가 뛸까앞이 안 보이는 … 더보기

코로만델의 아름다운 해안 Cathedral Cove

댓글 0 | 조회 1,737 | 2021.04.14
커시더럴 커브는 오클랜드에서 동쪽으로 2시간 거리의 코로만델 반도에 위치해 있는 아름다운 절벽 해안가이다.남섬, 북섬 곳곳에 여행 촬영지가 아주 많은 뉴질랜드인데… 더보기

'교수가 된 후에도, 매달 도착한 후원금 15달러' 미국의 노부인 후원자가 일으킨…

댓글 0 | 조회 1,746 | 2021.04.14
“45년 동안 매달 편지와 15달러를 받았어요.제가 1990년에 건국대 교수가 됐는데,그때까지도 계속 15달러를 보내주셨죠.…아마도 에드나 어머니는‘너도 나처럼 … 더보기

Internal? External!!

댓글 0 | 조회 1,465 | 2021.04.14
늦은 시간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은 한적하기보다는 얼핏 을씨년스럽기조차 했습니다. 아마 진한 겨울비 냄새를 머금은 눅눅한 공기가 처량맞은 감성을 사방팔방 대류시키기… 더보기

실상사 권역

댓글 0 | 조회 1,766 | 2021.04.14
실상사 권역은 둘레길 ①구간주천-운봉(14.7km), ②구간운봉-인월(9.9km), ③구간 인월-금계(20.5km)를 포함한다. 지리산 서북능선을 조망하며 걷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