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못하는 건 상대방도 할 수 없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내가 못하는 건 상대방도 할 수 없다

0 개 1,768 이현숙

어느 형태의 관계에서 던지 적용해야 하는 것이 평등하고 공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못하는 것이라도 상대방에게 기대를 건다 던지 요구를 하게 되고 그것을 해내지 못하는 것을 보고 부정적인 비난과 감정을 표현하기 때문에 흔히 관계에서 갈등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부부간에서 보면 늘 닭이 먼저야 달걀이 먼저냐의 형태로 싸움이 시작됩니다. 당신이 그런 말을 했기 때문에 그런 행동을, 습관을 고치지 못했기 때문에, 나를 화가 나게 했기 때문에 나는 화를 내는 것이고 상대방은 그런 화를 낸 배우자의 통제하지 못하는 감정표현이 하루 이틀도 아니라서 짜증이 밀려와서 같이 화를 냅니다. 그렇다면 이 경우 역시 닭이 먼저야 계란이 먼저냐일 뿐 둘 모두 화를 내는 것은 같기 때문에 내가 못하는 것은 상대방도 할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누구 하나가 잘못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잘못한 것이지요.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부모는 마치 어려서부터 철이 빨리 들어서 방 정리도 잘하고 부모말에 순종하고 공부도 열심히 하는 훌륭한 어린아이 혹은 청소년이었을 까요? 물론 내가 못했다고 해서 자녀에게도 기대를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닙니다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나 자신도 마음은 하고 싶었지만 안되었던 부분들이 많았고 부모가 그런 나의 마음을 알아주기 보다는 보여지는 것으로 인해 판단하고 비판하는 것이 힘들었는데 어느 순간 나도 나의 부모처럼 내 자녀를 대하고 있게 됩니다. 교육이라는 것이 말로만 되어지지 않고 경험과 실수들을 통해 성장하는 부분도 많은 데 자녀에게만큼은 실수를 용납하지 않고 순조롭게 발전만 해나가기를 바랍니다. 부모이기 때문에 그럴 수 밖에 없다고 충분히 그 마음을 이해해서 양보한다 해도 내가 하지 못했던 것들 그리고 지금도 하지 못하는 것을 어린 자녀가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때로 강요하는 것은 서로간에 상처만 줄 뿐 긍정적인 발전으로 이끌기는 힘듭니다. 흔한 예로, 부모는 손에서 휴대폰을 놓지 않고 SNS나 유투브 등을 잘 때까지 보면서 더 자기 통제가 안되는 자녀에게는 강요만 하는 것은 전두엽(통제의 영역)이 아직 다 자라지도 않은 자녀에게 할 수 없는 자기 통제력을 끄집어 내려고 하는 것입니다. 부모가 같이 절제하며 함께 해나가면서 격려해줘야 하는 데요. 



누구나 자기 입장을 우선 생각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지만 내가 누군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를 원한다면 내가 못하는 것은 상대방도 할 수 없다. 즉 내가 상대에게 바라는 것이 있는 데 상대방이 그것을 하지 못하고 애를 써도 잘 되지 않는 다면 나도 마찬가지로 상대에게 바라는 것을 멈출 수 없고 계속 바라는 것을 그만하고 싶어도 잘 안되는 구나 여기면서 마음에 여유를 가지기를 바랍니다. 내가 한 걸음 뒤로 물러나서 바라보게 되는 세상과 사람들은 제법 이해하고 사랑할 만합니다. 가까이 다가가기만 하다보니 좁은 세상과 속이 좁은 사람이 더 현미경처럼 확대되어보여서 답답한 것입니다. 


우리가 상대방의 입장도 생각할 수 있다면 관계에서의 갈등은 존재하지도 않을 것이고 바람직한 관계만 존재할 것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여러 번 갈등을 겪고 같은 문제로 서로 더 깊은 상처만 준다고 여길 때 나의 주장과 고집을 잠시 내려 놓고 상대를 바라보는 시간을 가진다면 그리고 둘이서는 해결하기 힘든 상태까지 갔다면 용기를 내어 전문 상담사의 도움을 받는 다면 전과는 다른 관계를 정립해갈 수 있습니다. 늦는 다 생각할 때가 빠르다는 옛말은 정말 맞는 말입니다. 


■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원하시는 분들은 https://www.asianfamilyservices.nz/546204439750612.html  
(한국어 서비스) 혹은 asian.admin@asianfamilyservices.nz / 0800 862 342 “내선 2번을 누르세요”로 연락주세요

코비드19 시대의 공부 - 적극적 숙제완료

댓글 0 | 조회 1,558 | 2021.03.10
자~ 지난 시간에 숙제 준 문제들 다… 더보기

템플스테이, 그 ‘일탈적 체험’이 주는 행복에 대하여 (1)

댓글 0 | 조회 1,258 | 2021.03.10
2002년 시작한 템플스테이는 201… 더보기

바다뱀과 지빠귀부리왕 4편

댓글 0 | 조회 1,462 | 2021.03.10
상대를 길들이는 방법‘바다뱀’에 등장… 더보기

네가 페스트였다니!

댓글 0 | 조회 1,464 | 2021.03.10
15년 전에 나는 어렸을 때의 내 소… 더보기

동의 보감이 말하는 당뇨

댓글 0 | 조회 1,411 | 2021.03.10
보편적으로 당뇨는 초기에 발견하지 못… 더보기

안동소주

댓글 0 | 조회 1,451 | 2021.03.10
시인: 안 상학나는 요즘 주막이 그립… 더보기

스핀량 많은 골프공

댓글 0 | 조회 1,744 | 2021.03.09
스핀량 많은 골프공이 정타율 낮은 아… 더보기

북섬 최대 물개서식지와 케이프 팰리져

댓글 0 | 조회 1,325 | 2021.03.09
뉴질랜드 수도인 웰링턴보다도 좀 더 … 더보기

상처받은 시인의 아름다움

댓글 0 | 조회 1,260 | 2021.03.09
지금으로부터 34년 전인 1987년 … 더보기

복권도 도박

댓글 0 | 조회 2,154 | 2021.03.09
많은 분들이 복권을 사는 것이 자연스… 더보기

방송인 박미선이 전하는 7살 소녀 파스카 이야기

댓글 0 | 조회 1,906 | 2021.03.09
나무를 구하러 산에 갔다가사고로 돌아… 더보기

라이프 리엔지니어링

댓글 0 | 조회 1,440 | 2021.03.09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Business… 더보기

지치고 힘들때 위로가 되는 음악과 요가

댓글 0 | 조회 1,161 | 2021.03.09
불안, 우울, 외로움..안녕하세요. … 더보기

시선, “낯선” (2)

댓글 0 | 조회 1,206 | 2021.03.09
“2,000년 전 그리스도 예수께서는… 더보기

대추 이야기

댓글 0 | 조회 1,438 | 2021.03.06
대추(棗)는 설, 추석 등 명절 차례… 더보기

꿈꾸는 소녀 니무냐의 신나는 글 읽기

댓글 0 | 조회 2,597 | 2021.03.04
“교실에 책상이 넉넉히 놓여져 있는 … 더보기

나의 젊은날의 초상(1부)

댓글 0 | 조회 1,840 | 2021.03.01
누구나 자기인생을 뒤돌아 볼 때가 찾… 더보기

이민법무사와 이민부가 보는 비자 심사의 속도

댓글 0 | 조회 4,119 | 2021.02.24
20년 넘게 이민컨설팅을 해온 저는 … 더보기

영웅은 없다

댓글 0 | 조회 1,217 | 2021.02.24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비극의 주인공… 더보기

현재 내가 못하는 건 상대방도 할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769 | 2021.02.24
어느 형태의 관계에서 던지 적용해야 … 더보기

지구가 제대로 가고 있는지요?

댓글 0 | 조회 1,398 | 2021.02.24
선생님, “다큐멘터리 한국의 선인들”… 더보기

보약 보다는 해독

댓글 0 | 조회 1,561 | 2021.02.24
각종 성인병과 원인을 알 수 없는 신… 더보기

겨울 폭포

댓글 0 | 조회 1,324 | 2021.02.24
나이에 맞게 살 수 없다거나시대와 불… 더보기

템플스테이란?

댓글 0 | 조회 1,408 | 2021.02.24
한국불교문화사업단에서는 해마다 엄격한… 더보기

5인 이상 집합금지 행정명령

댓글 0 | 조회 3,151 | 2021.02.24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많은 것…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