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3] 제니의 지팡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63] 제니의 지팡이

0 개 2,836 KoreaTimes
  "처음에는 네 발로 기어 살다가 두 발로 서고 나중에는 세 발로 걷는 동물 이름이 뭐게?" 어렸을때 수수께끼로 재미있어 했던 놀이였다. 허지만 철없던 시절 사람이 왜 세 발로 걷느냐고 박박 우겨대던 아이가 머리 나쁜 나였던게 생각난다. 사람이 살아가는 과정임을 스스로 깨닫기까지 꽤나 세월이 지났었던 걸로 기억된다. 누구나 아이 때는 기어 다니다가 자라면서 두발로 서서 걷는다. 그러나 그 힘이 다 되어 세 발로 살아야 한다면 그것은 곧 저물어 가는 인생임을 뜻함이 잖은가.

  옆집의 제니는 나보다 한살 아래의 여인이다. 그가 얼마 전부터 지팡이를 짚고 힘들게 다니는 것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빛나는 은발에 살 집이 아주 좋은 아이같이 순수한 영국 여인이다. 옆에서 보면 마치 다이아몬드 형으로 불룩 나온 배와 큰 엉덩이 때문에 가느다란 다리가 지탱을 못해서인지. 아니면 유별나게 자상한 남편 때문에 어리광으로 그러는지? 함께 외출할 때는 지팡이 대신 튼튼한 남편의 팔에 메달려 뒤뚱뒤뚱 오리 걸음으로 따라 가는게 우습기도 하고 안쓰럽기도 하다. 그러나 따뜻한 사랑의 감정이 교류하는 남편 지팡이를 가진 제니는 자랑하듯 그런 모습을 늘 즐거워 하는 표정이어서 다행스럽다.

  우리가 벌써 그런 때가 되었나? 당연한 일이 새삼스럽기만 하다. 문득 빗소리를 들으며 괜스레 슬퍼져서 눈물 솟는 밤이 있다. 열 여덟에 경험 했던 그런 감정이 아직도 내 마음속에 남아 있을리는 없고...... 이유없이 촉촉해지는 가슴 한 귀퉁이에서 겸허한 삶의 한줄기 빛이 섬광처럼 번쩍이고 지나간다. 이것이 곧 살아 있음이야. 어쩔수 없이 저물어 가는 아슬아슬한 순간에 내가 진정 살아 있음을 일깨운다. 모든 것이 희석되어 희미해져 가는 하루하루를, 무엇을 사고하며 무슨 희망과 낙으로 살아 내야 하는지 수없이 의문 부호를 찍으며 황혼을 맞이해야 하는 시간들, 이런거였을까? 인생이란 게.... 참 재미없고 시시하다. 웃음조차도 젊음의 전유물인 듯 잊어 버린지 오래인데 슬퍼서 눈물이 난다는 것도 어찌 보면 사치스런 감정인지도 모른다. 차라리 그래서 고맙기도 하고 반갑다. 아직도 퇴색되지 않은 열정의 찌꺼기가 손톱만큼이나 남았나 보다,라고 눈물을 찍어 내며 혼자 씁씁한 미소를 흘린다.
  나이 먹어 살아 간다는 게 이렇게 어려운 것인지도 생각해 보지 못했다. 쉽게 잠이 오지 않는 것도 두렵고, 적막 가운데 열심히 움직이는 시계의 초침 소리가 너무 크게 울려서 징그럽고 사납다. 추적 추적 고요한 밤의 정적을 깨는 빗소리가 메마른 가슴에 단비를 내려 주고 있음인지 외로움에 벗이 되고 있어 차라리 다행이다.

  내일을 맞기 위해 이 밤이 존재한다는 것은 얼마나 큰 축복인가. 일찌기 루즈벨트 대통령 부인 "에레나"는 이렇게 말했다. "어제는 옛 일이고 내일은 신비이며 오늘은 선물이다" 내게 오늘이 있다는 것은 축복 받은 선물이고 다시 내일을 맞이한다는 것은 분명 신비로움에 틀림없다. 이 밤 비가 오고 나면 내일은 더욱 찬란하게 빛나는 태양이 우리를 비춰 줄 것이다.

  제니는 어김없이 빨래 통을 안고 나오는 남편 팔에 메달려 다리를 끌며 따라 나올 것이고 커다란 쓰레기 바켓츠를 빨랫줄 밑에 갖다가 놓고 세탁물을 올려 놓아 줄 때까지 위태위태하게 서서 기다릴 것이다. 바라보는 이 쪽이 불안하고 불편한데 그녀는 장난삼아 그렇게 하는 아이처럼 마냥 히죽거리며 웃는다. 나는 그 모습이 존경스러워 늘 도둑 고양이처럼 훔쳐보며 낯선 풍경을 즐기고 시샘이 번져 나오는 마음을 달랜다. 몸이 불편해도 티없이 해 맑게 웃을 수 있는 그녀의 여유가 부러워 그렇게 닦아 보자고 다짐도 해 본다. 현실을 긍정하며 밝고 아름답게 살아가는 제니에게 세발 인생인들 뭐가 그리 두려울까. 몸은 아니어도 마음은 언제 늙을지, 그녀의 표정은 활짝 핀 한 송이 수선화처럼 화사하기만 하다. 사실 나는 제니보다 더 큰 소리로 웃으며 살아도 되질 않는가. 언제인가 춥다고 웅숭거리는 나를 보고 몸에 살이 너무 없다고 안쓰러워 하던 제니. 깡 말랐어도 나는 아직 튼튼한 두 다리로 마음놓고 다닐 수 있으니 말이다.

  행복은 그렇듯 비교 속에서만 잠깐 느껴지는 요물일까? 유치하기 짝이 없지만 내 보잘 것 없는 속물이기에 어쩔수가 없나 보다.

현재 [363] 제니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2,837 | 2007.08.28
"처음에는 네 발로 기어 살다가 두 발로 서고 나중에는 세 발로 걷는 동물 이름이 뭐게?" 어렸을때 수수께끼로 재미있어 했던 놀이였다. 허지만 철없던 시절 사람이… 더보기

[361] 바보가 되어가는 이야기 하나

댓글 0 | 조회 2,624 | 2007.07.23
"여기 우산 떨어졌는데요" 등 뒤에서 들려 오는 말에 흘낏 돌아보니 어떤 젊은이가 내 우산을 집어서 작은 돌담에 얌전히 걸쳐 놓고 간다.(어머나 큰일 날 뻔 했네… 더보기

[358] 서울내기 전원에 살다

댓글 0 | 조회 2,555 | 2007.06.13
숨가쁘게 달리던 차가 여주 "세종대왕 능" 부근에서 한숨 돌리듯 속도를 늦춘다. 엄청 조용하고 아늑했을 명당이련만 지금은 개발의 붐을 타고 근처까지 파헤쳐져 어수… 더보기

[354] "실수였다" 구요.

댓글 0 | 조회 2,630 | 2007.04.12
한입 덥석 깨물면 상큼한 향기를 뿜으며 입안으로 들어오는 신선한 사과, 건강한 치아를 가졌을 때의 그 맛을 이젠 잊어버린지도 오래다. 더구나 지금은 그런 계절도 … 더보기

[351] 순아! 잘 다녀 와

댓글 0 | 조회 2,838 | 2007.02.26
아이의 나이는 그 때 세살이었다. 그 애가 집 마당에 나서면 휀스 저쪽으로 옆집 제 또래의 아이가 우연히 이 쪽을 바라보며 서있는 것을 발견하곤 했다. 그 때마다… 더보기

[349] 고국에서 가을 단풍이…

댓글 0 | 조회 2,948 | 2007.01.30
해가 바뀌니 내가 원치 않아도 어김없이 또 나이 하나를 보탠다. “형님은 이제 ㅇ십대네요. 나는 아직 ㅇ십대인데…” 세살 아래인 흉허물없는 사이의 어떤 자매님이 … 더보기

[347] 나 홀로 밥상

댓글 0 | 조회 2,962 | 2006.12.22
나를 먼저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하게 된다는데 나는 사랑이 없는 사람일까? 살아가는데 먹는 일만큼 중요한게 없는데 왜 나는 그 일에 그리 소홀하고 성의가 없을… 더보기

[345] 젊음의 바다에 풍덩 빠져 버리다

댓글 0 | 조회 2,669 | 2006.11.27
어느 날씨 좋은 일요일 늦은 오후, 차나 마시러 나가자는 친구의 반가운 전화가 걸려왔다. 아주 사소한 일에 불과하지만 그것은 지금 나이테가 적잖은 우리가 누릴 수… 더보기

[343] 안녕하세요?

댓글 0 | 조회 2,761 | 2006.10.24
마감을 거의 앞둔 바쁜 시간에 허둥거리며 뛰어 들어간 우체국. 아무도 없는 빈 홀 안에 정리를 서두르는 직원들만 카운터 앞에서 서성거린다. “헬로! 쏘리”로 다가… 더보기

[341] 모든 것의 고마움을

댓글 0 | 조회 2,868 | 2006.09.25
아침 잠에서 깨어나 커튼을 제치니 예사롭지 않은 바람소리가 귓청을 때린다. 아마 태풍의 소용돌이에 깊이 휘말렸나 보다. 따뜻한 이불 속이 너무나 좋아 마냥 게으름… 더보기

[339] 아름다운 고별

댓글 0 | 조회 2,789 | 2006.08.21
건강이 그리 양호한 편은 아니었지만 아직 병석에 눕지는 않으신 어느 어른의 갑작스런 부음을 듣는다. 밤새 안녕이라는 말의 실감에 전율이 온다. 삶과 죽음의 갈림길… 더보기

[337] 비 속의 요정들! 겨울꽃

댓글 0 | 조회 2,891 | 2006.07.24
춥고 축축하고 구질구질한 매일 매일의 겨울날씨. 제습기가 빨아 먹고 쏟아 내는 엄청난 물의 양에 놀래면서 내가 마치 물 속에서 사는 듯 후줄근해져 이 겨울이 지루… 더보기

[335] 정서라는 양념 하나 더 김치

댓글 0 | 조회 2,749 | 2006.06.26
카렌다는 유월에 머물러 있는데 요즈음이 김장철이란다. 아직도 계절이 헷갈려 한국 같으면 지금이 몇월쯤에 해당되나 한 번씩 확인을 해봐야 수긍이 되니 여기 사람이 … 더보기

[333] 핑크빛 골프장갑

댓글 0 | 조회 2,933 | 2006.05.22
오래전부터 내 옷장서랍 한 견에는 작은 비닐백에 들은 임자 잃은 골프장갑이 얌전히 자리잡고 있었다.“나는 언제 주인님 손에 끼워져 바깥세상 구경을 하나요?”서랍을… 더보기

[332] 9988ㆍ1234

댓글 0 | 조회 2,617 | 2006.05.08
적당히 잘쓰면 좋지만 잘못쓰면 남에게 혐오감을 주는게 향수(香水)라고 늘 생각해 왔다. “아우님 내가 향수를 좀 썼는데 괜찮은지 모르겠네요.” 너무 진한 향수냄새… 더보기

[331] “여자”를 잃어가는 여성들

댓글 0 | 조회 3,964 | 2006.04.24
“아이 좋아라” 병원에서 그리 환하게 웃는 사람은 처음 보는 것 같다. 진료실 문을 나서며 밝게 웃고 나오는 친구. 마치 아이같은 모습에 밖에서 기다리던 나를 의… 더보기

[330] 그 사람 “프레드”

댓글 0 | 조회 2,674 | 2006.04.10
그사람을 또 만났다. 수영장엘 가면 만나게 되는 사람이지만 내가 자주 가질 않으니 오래간만에 만난 “프레드”다. 그의 곁에는 항상 동양 여자들이 같이 있어 이야기… 더보기

[329] 천사들의 합창

댓글 0 | 조회 2,552 | 2006.03.27
어제 비맞은 골프가방이 아직도 포켓마다 입을 벌리고 말려 달라고 보채고 있는데 오늘 아침도 여전히 비가 오락가락 검고 짙은 구름이 해를 삼켜 버렸다. 반나절을 하… 더보기

[328] 잘못된 친절

댓글 0 | 조회 2,485 | 2006.03.14
“아뿔사 그랬었구나”밤에 잠자리에 들었다가 문득 무언가를 깨닫고 벌떡 일어났다. 갑자기 옆의 누군가에게 망신이라도 당한 듯 얼굴이 화끈 달아 올랐다.(바보 못난이… 더보기

[327] 캔노인과 인삼차

댓글 0 | 조회 3,026 | 2006.02.27
휘휘익~ 가느다랗게 금속성으로 울리는 휘파람을 불며 뒷걸음으로 집에서 나오는 캔 노인, 그리고 짤랑짤랑 방울소리를 내며 종종걸음으로 따라 나오는 회색 고양이. 언… 더보기

[326] 섣달 그믐날

댓글 0 | 조회 2,605 | 2006.02.13
어제까지만 해도 구름이 오가는 변덕날씨에 바람마져 사납더니……, 오늘은 미동도 하지 않는 엷은 레이스의 창문 커텐이 답답할 정도로 무덥다. 볕은 따가워도 그늘에만… 더보기

[325] 청계천을 가보고 싶다

댓글 0 | 조회 2,531 | 2006.01.31
해가 바뀌고 나니까 마음도 바뀌나? 그럭저럭 잘 견디던 향수병이 갑자기 도지나보다. 고국이 그립다. 나 없는 사이 많이도 달라진 서울, 청계천이 다시 살아났단다.… 더보기

[324] Oh, my God! 雪花 秀

댓글 0 | 조회 2,887 | 2006.01.16
雪花! 그 글씨만 보아도 백옥같은 눈꽃이 눈에 시원하다. 요즈음 한국은 눈꽃 속에 파묻힌 하얀 나라란다. 싸한 바람 속에 소복 단장한 고궁 뒷 뜰을 산책하고 싶다… 더보기

[323] “크리스마스 페스티벌 와이카토”

댓글 0 | 조회 2,696 | 2005.12.23
남반구인 이곳 뉴질랜드의 크리스마스는 내려쬐는 태양볕 아래 정열적으로 피어나는 포후투카화 꽃 속에서 맞이한다. 바람을 잔뜩 넣어 부풀려 만든 풍선 눈사람에 줏대없… 더보기

[322] 쌍둥이 아빠 고마워요

댓글 0 | 조회 2,563 | 2005.12.12
지치도록 피곤하게 운동하고 돌아와 막 현관문에 키를 꽂는 순간이다. 마치 내가 돌아왔음을 보고나 있듯이 안에서 요란스럽게 전화벨이 울려댄다. 누가 그리 때를 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