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 재 이민, 역 이민, 역역 이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이민, 재 이민, 역 이민, 역역 이민

sbyoonnz
0 개 2,321 한일수

32ee9e8f696c26b55c62551563e4531a_1681264068_7803.jpg

 

뉴질랜드에서 투자이민법이 발효되자 1989년부터 한국에서 이민 유입이 활발해지고 이어서 일반이민법이 발효되면서 1992년부터 본격적으로 한인 사회가 성장물결을 타기 시작했다. 그 때 까지는 취업, 국제결혼, 입양 등의 목적으로 소수의 한국인들이 뉴질랜드에 거주하고 있을 뿐이었다. 이러한 근거에서 한인들의 뉴질랜드 이민 역사가 34년에 이른다고 볼 수 있다. 2018년 통계에 의하면 35,664명(남 16,731명, 여 18,933명)의 한국인이 뉴질랜드에 거주하고 있으며 평균 연령은 33.2세 이다. 여기에는 조사 당시 뉴질랜드에 있는 관광객, 유학생, 방문객 등이 포함됨으로 실제 영주권자, 시민권자의 수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본다.       


이민, 재 이민, 역 이민, 역역 이민에 대한 말이 대두되는 것도 뉴질랜드 이민 역사가 그만큼 흘렀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이민 사회가 성숙되어 가는 과정을 이주(Migration) - 정착(Settlement) - 적응(Adaptation) - 문화변용(Acculturation) - 동화(Assimilation)의 5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개인차가 있어 일괄적으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뉴질랜드 이민사회도 이제 문화변용의 단계에 와 있다고 본다. 2세대들은 현지 적응-문화변용의 단계가 자연스럽게 전개될 것이나 1세대들은 많은 기간이 소요되었다. 동화의 단계는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서서히 진행될 것이다. 초창기에 부모 따라 이민 온 1.5세대들은 이제 35세-45세로 성장했을 것이고 2세대들도 1세-33세까지 분포되어 있을 것이다. 여기서 1.5세대에 대한 범위는 한국에서 중 3을 마치기 전에 뉴질랜드에 와서 학업을 계속한 경우로 본다. 따라서 중 3을 수료하고 이민 온 경우는 1세대로 간주하는 것이다. 여기서 태어나 자랐을 땐 물론 2세대이다. 


이민 동기를 물어볼 때 대개는 자식 교육을 위해서 라고 대답한다. 자식을 위해서 모든 것을 버리고 한국을 떠났는데 그 자식들이 성장해서 부모 곁을 떠날 나이가 되었고 뉴질랜드나 호주에 정착 하던가 한국으로 돌아가 정착하기도 하고 미국, 영국 등 제3국으로 진출해서 포부를 펼쳐나가기도 한다. 그동안에 1세대들은 이곳 실정에 맞는 학업을 다시 시작하여 취업하기도 하고 직업 전선에 뛰어 들어 생활을 개착하기도 하였다. 일부는 호주나 미국, 캐나다 등으로 재 이민을 가기도 했다. 이런 과정에서 1990년대에 나이 35세가 넘어 이민 온 1세대들은 이미 65세 정년 나이가 되어 연금을 타고 있는 대상이 되었다.                      


뉴질랜드보다 이민 연륜이 깊은 미국의 경우 역 이민 이라는 화두가 1980년부터 대두되기 시작했다. 직장인이 일 년 월급을 모아야 미국 가는 항공료가 충당되던 시절 당시 미국으로 가는 기술 이민의 바람을 타고 멀고도 험한 길을 떠났다. 정착 자금을 제대로 준비할 사정이 안 되었기에 미국에 도착하자마자 부부 간에 취업 전선에 뛰어 들어 남자는 건설 현장 등 막노동을 하거나 여자는 봉제 공장에서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나이 먹어 이민 생활이 지겹게도 느껴지고 떠나온 고국이 그리워 질 무렵 한국으로 역 이민을 생각하게 된다. 


한국에 와보니 과거의 모습은 볼 수 없고 모든 것이 엄청나게 변했고 발전했고 호화로워 보인다. 한국의 1년은 미국의 10년이란 말이 실감 난다. 미국에서 눈코 뜰 사이도 없이 30년을 살아오는 동안 한국은 300년이나 변한 것 같았다. 한국에 역 이민 와 살아보니 모든 것이 달라졌다. 산천도 많이 변했을 뿐더러 인심도 전과 같지 않다. 국민소득이 100배로 증가했다지만 삶은 더 팍팍해지고 배려심도 없으며 형제간에도 의절하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미국에서 살다 다시 돌아온 역 이민자한테 살갑게 대할 여유가 있겠는가? 노년의 나이에 이주를 하는 것은 새로 적응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래도 세계 최강국이요 30년 이상 고락을 같이했던 미국이 더 편안할 것이란 생각이 들어 다시 미국으로의 역 이민을 감행하는 것이다. 



뉴질랜드 한인 사회도 미국 이민 사회를 답습할 게제에 와 있는 것 같다. 1세대들은 이제 노년이 되어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강해지고 한국에서 여생을 편히 보내고자 역 이민을 감행한다. 그러나 막상 한국에 가서 생활 터전을 가꾸어보려고 하지만 역시 한국의 사정도 만만치가 않음을 경험하게 된다. 뉴질랜드에서의 생활에 더 익숙해져서 한국에서의 생활이 불편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님을 실감하게 된다. 그래서 다시 뉴질랜드로 이삿짐을 싸고 뉴질랜드에 도착해서 재정착을 해 보는데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는 게 낫겠다는 판단이 선다. 그래서 다시 이삿짐을 싸고…… 어떤 교민은 그렇게 역 이민 이삿짐을 일곱 번 반복했더니 몸과 마음, 가정 경제가 바닥이 났다고 한다. 


자녀들이 있는 곳에 가까이 살고 싶다는 욕망은 누구에게나 공통된 심정일 것이다. 그러나 막연히 외로워서 친구나 친척을 찾아 역 이민을 택한다면 후회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 노인 인구가 20%를 초과해 초 고령사회의 민낯을 들어 내놓고 있는 현실인데 새로 유입되는 노년 인구를 반가워 할 처지가 못 된다. 이민 가서 벌어온 돈을 친지들에게 베풀어 가며 생활하겠다면 모를 일이다. 언어가 다르고 문화가 다르며 인종이 다른 뉴질랜드에 와서 살다가 다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누구나 할 수도 있다. 늙어서는 혼자가 편하다는데 자연환경이 좋고 사회보장이 합리적으로 잘 되어 있고 갈등으로부터 자유로운 뉴질랜드가 여생을 보내기에 더 낳을 수도 있다. 다만 적극적으로 뉴질랜드에서 유리한 일과 취미, 여가 선용, 사회활동 등을 개발하여 더불어 즐기며 살아가는 생활 창조 형 노년기를 맞이하겠다는 행동 양식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이 세상 어디에도 천국은 없다. 이 세상 어디에도 천국은 있다. 지금 살고 있는 세상을 천국으로 만들어라!”

TMI TMI

댓글 0 | 조회 125 | 8시간전
요 며칠간 정원일을 좀 하다보니 얼굴이 꽤 많이 그을렸습니다. 선크림 바르라는 아내의 말을 귓등으로 스쳐들으며 ‘나는야~ 자연인~’을 흥얼거리더니만.. 댓가를 톡… 더보기

수도에서 흙탕물이 나와요!

댓글 0 | 조회 421 | 18시간전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작년 큰 홍수로 비 피해를 입은 후, 갑작스러운 폭우가 내리면 마음이 불안해지시죠? 지붕에서 물이 떨어지고, 게러지로 물이 … 더보기

생각만 해도 기쁜 날

댓글 0 | 조회 180 | 18시간전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파카 만년필로 손 편지를 써 보내고 싶고아저씨용 삼천리자전거로 동네를 돌고 싶고엿장수 가위소리에 병 하나 들고 나가 엿 한 가락과 바꾸고 싶… 더보기

남은 인생 10년

댓글 0 | 조회 279 | 18시간전
마츠리(Matsuri; まつり)가 ‘이름도 몰라요, 성도 몰라’인 그녀를 소환했다. 긴 머리가 치렁치렁하고 앞머리는 이마를 덮을 만큼 동그랗게 자른 것이 눈썹위에… 더보기

6월의 북쪽 하늘을 바라보며 . . .

댓글 0 | 조회 187 | 21시간전
계절은 한치의 어김이 없어 또 다시 6월을 맞이하게 되었다.우기(雨期)다운 질척한 겨울이여서 더 음산하고 어두운 나의 6월이다.“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 날을.… 더보기

반복적인 행동을 하거나 불안감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229 | 21시간전
과거에 비해 무척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 사회 안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며 우리는 때로 무언 가에 쫓기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이처럼 사회가 복… 더보기

균형을 향해 가는 시간 화엄사의 공양

댓글 0 | 조회 95 | 22시간전
구례 화엄사의 적멸보궁에 이르면 네 마리의 사자가 지키고 선 보물 제35호 4사자 삼층석탑을 만날 수 있다. 사자가 지키는 석탑의 중심에는 누군가가 합장을 한 채… 더보기

지피지기 백전백승, 파트너쉽 영주권

댓글 0 | 조회 628 | 2일전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의 파트너 자격으로 영주권을 신청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는 차고도 넘칩니다. 이 쪽 말이 맞는 것 같기도 하고 저 … 더보기

10. 소장 내에 곰팡이와 세균이 득실거린다고…

댓글 0 | 조회 535 | 2일전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소장에는 낮은 밀도의 세균이 발견된다. 그것도 주로 유익균들이 발견된다. 그러나 어떠한 사유로 소장 내에서 곰팡이나 유해균이나 단세포 … 더보기

비즈니스파트너와 피고용인의 경계

댓글 0 | 조회 322 | 2일전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이 비즈니스파트너 또는 동업자와 같이 사업을 하는 경우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파트너가 있으면 자산을 함께 모아서 더 큰 … 더보기

가난한 사랑의 노래

댓글 0 | 조회 150 | 2일전
시인 신 경림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너와 헤여져 돌아오는눈 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가난하다고 해서 두려움이 없겠는가두 점을 치는 소리… 더보기

커피만 마시며 사는 아주머니 이야기

댓글 0 | 조회 509 | 2일전
인간은 마음이 몸을 지배합니다. 어느 정도만 공부가 되어도 마음의 힘이 어떻다는 것을 압니다. 인간의 마음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아는 것이지요.마음 한 번 삐끗 잘… 더보기

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댓글 0 | 조회 993 | 6일전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암(癌)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가 추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6월 6일 보도했다. 한편 노지… 더보기

9. 장내 유익균들을 소멸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의외의 것들

댓글 0 | 조회 1,090 | 9일전
장내 미생물들이 사람의 정신건강이나 신체 건강과 매우 밀절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이미 말해왔다. 장내 미생물의 건강한 환경과 상태가 나의 건강과 일치한다. 그런데… 더보기

의사결정 취약자를 위한 법률 재심의

댓글 0 | 조회 248 | 9일전
어떤 사람이 치매나 뇌졸중 또는 학습장애 등으로 의사결정 능력이 없으면, 생활상의 중요한 결정들을 적법하게 처리하기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의료 치료에 대한 …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973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호흡으로 명이 길어질 수 있어

댓글 0 | 조회 479 | 2024.06.12
호흡의 길이와 명(命)의 길이는 관계가 있습니다. 요즘 호흡과 수명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더군요. 연구에 따르면 호흡의 길이와 동물의 수명은 상… 더보기

이 한 그릇의 마음으로 쉬어가기를

댓글 0 | 조회 368 | 2024.06.12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서 듣는동화 스님의 행복한 사찰음식 이야기‘행복으로 가는 길은 없다. 행복이 곧 길이다’동화 스님의 수업을 듣고 있자면 불가의 격언이 떠오른다… 더보기

2024 예산의 새로운 세율 기준

댓글 0 | 조회 1,358 | 2024.06.12
뉴질랜드 정부는 2024 예산을 발표하면서 소득 구간을 조정하여 $25.7억 뉴질랜드 달러의 세율 감면에 관한 핵심 선거 약속을 이행했습니다.소득 구간을 조정하여…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댓글 0 | 조회 425 | 2024.06.12
지난 한 달 동안, 리커넥트는 Henderson High School 에서 “Care to Self-care?” 프로젝트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리커넥트는 주기적으… 더보기

비 오는 날 이성계 능 앞에서

댓글 0 | 조회 332 | 2024.06.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비 오는 날동구릉 이성계 능 앞에 섰다능 위로 무성한 억새는아직도 그대의 뛰는 심장 소리를허공에 흩 뿌리고한 나라를 뒤엎은 결기새로운 나라를… 더보기

8. 설탕과 술이 지닌 위대한 마력들

댓글 0 | 조회 425 | 2024.06.11
원래 사람은 씨 맺는 모든 채소(허브 또는 푸성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식량으로 주셨다고 성경에는 적혀있다. 씨맺는 채소류, 허브류, 더 나아가 곡… 더보기

‘큰 북한’으로 변해가는 러시아

댓글 0 | 조회 406 | 2024.06.11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페이스북은 북한에서도 러시아에서도 차단돼 있지만, 주북 러시아 대사관은 여전히 페이스북 계정을 운영한다. 이 계정을 오랫동안 열심히 보면서… 더보기

낙타와 낙타풀

댓글 0 | 조회 120 | 2024.06.11
시인: 송 재학세상의 모든 낙타들은 다 길들여졌으나고비 사막 어딘가야생 낙타가 남아 있다고 한다신기루 따라 걷는 야생 낙타는 타박타박,그 소리는 사막아래의 지하수… 더보기

AEWV 소지자가 알아야 할 6가지 구구절절

댓글 0 | 조회 757 | 2024.06.11
뉴질랜드에서 합법적인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승인한 비자가 바로 워크비자(work visa)입니다. 워크비자의 타입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오늘의 칼럼은 오로지 A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