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0 개 1,007 박명윤

한국인 232만명이 고혈압(高血壓), 당뇨병(糖尿病), 고지혈증(高脂血症)을 모두 앓고 있는 복합 만성질환자이다. 이 세 가지 질병은 동시다발적으로 생기며, 나이가 60대를 넘어갈수록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난 10월 3일 한국헬시에이징학회(Korea Health Aging Society) ‘2024 가을 건강 심포지엄’에서 건강•장수 가로막는 최대 복병 <복합 만성질환>이 논의되었다.


<복합 만성질환>을 주제로 논문 6편이 ▲콜레스테롤, 지질 그리고 혈관건강, ▲당뇨병 대란, 합병증 예방하며 관리하기, ▲고혈압 관리를 통한 심뇌혈관질환 치료와 예방, ▲반지 혁신 혈압을 진단하다, ▲직장인 건강검진 데이터로 본 복합 만성질환 관리, ▲집이 마지막 병원, 디지털로 스마트한 만성질환 관리 순으로 발표되었다.


대한고혈압학회(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23년 팩트 시트에 따르면, 고혈압 치료를 받고 있는 한국인 전체 환자 1045만여 명을 놓고 봤을 때, 고혈압만 치료받는 경우는 347.9만여명(33.3%)에 불과했다.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같이 있는 경우는 407.5만여명(39%),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 세 가지를 동시에 치료받는 환자는 232만6천여 명으로 22.2%에 달했다.


건강검진 최대 의료기관인 한국의학연구소(Korea Medical Insitute)가 2023년에 수행한 50대 남성 직장인 10만여 명의 검진 데이터에 따르면,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이 하나도 없는 경우는 27%이고, 이 중 한 가지만 있는 경우는 42%였다. 나머지 21%는 두 가지 이상 겹쳐 있었다. 그러다 60대에서는 두 가지 이상 갖고 있는 비율이 39%로 높아진다.


국제 과학 학술지 네이처 리뷰(Naure Reviews)에 실린 심장학연구 논문에 따르면, 세 가지 질병이 동시에 있는 경우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오르는데, 세 가지를 모두 관리하면 그 위험이 20.6%이지만, 관리하지 않으면 51.1%로 치솟는다. 고혈압은 환자가 스스로 혈압 측정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당뇨병•고지혈증 등의 동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진단 기준은 <고혈압(Hypertension)>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이며,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공복혈당 126mg/dL 이상, 당화혈색소(HbA1c) 6.5% 이상이다. <고지혈증(Hyperlipidemia)>은 총콜레스테롤 240mg/dL 이상, LDL 콜레스테롤 160 이상, HDL 콜레스테롤 40 이하, 중성지방 200 이상이다.


<고혈압(高血壓)>은 일반적으로 특이 증상이 없기에 ‘침묵의 살인자’라고 부른다. 우리는 흔히 뒷목이 뻣뻣하다 당긴다든지 두통이 심한 경우 고혈압이 아닌지 의심한다. 하지만 혈압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아침에 일어날 때 뒤통수 부위에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어지러움, 두근거림, 피로감 등 비특이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혈압(血壓)은 심장이 각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혈액을 밀어낼 때 혈관 내에 생기는 압력을 말한다. 보통 심장이 한 번 뛸 때마다 한 번의 혈압이 생기며, 활동정도나 심리적 변화 등에 따라 계속 변한다. 따라서 한 번의 혈압 측정만으로 고혈압으로 판단하지 않으며, 적어도 2회 이상 측정한 혈압의 평균치로 판단한다.


대한고혈압학회는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인구의 28%(30세 이상 성인의 33%), 약 1230만 명을 고혈압 인구로 추정한다. 고혈압 진단은 5분 이상 안정된 상태에서 혈압이 120/80mmHg 미만이면 정상 혈압이라고 하고, 140/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또 고혈압 기준에는 미치지 않지만 120/80mmHg보다 높은 경우를 고혈압 전 단계라고 한다.


혈압은 나이에 비례해 증가하여 고혈압환자의 70-80%는 60세 이상이다. 이는 노화(老化)에 따라 전신의 동맥혈관 탄력이 떨어지고 혈관도 딱딱해지면서 혈압이 증가한다. 하지만 고혈압 발병요인에는 유전적인 요인, 주변 환경, 생활습관 등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젊은층도 안심해선 안 된다. 특히 젊은층은 중장년보다 고혈압 진행속도가 빠르며, 장기손상 합병증 위험이 높다.


증상이 없어도 정기적인 혈압 측정이 중요한 이유는 고혈압이 전신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고혈압은 그 자체론 큰 문제가 아니지만 장기간 지속되면 뇌, 심장, 신장, 눈을 비롯해 몸의 모든 기관에 영향을 미쳐 작은 손상뿐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合倂症)으로 이어질 수 있다. 먼저 높은 혈압에 심장이 장시간 노출되면 심장 벽이 두꺼워지고 심장 크기가 커진다. 이렇게 되면 심장이 혈액을 온몸에 보내야 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는 심부전(心不全)으로 악화될 수 있다.


고혈압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冠狀動脈)을 병들게 만들어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초래할 수 있다. 뇌혈관도 영향을 받아 뇌경색(腦梗塞)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해진 혈관에 균열이 생겨 뇌출혈(腦出血) 위험도 커진다. 또한 고혈압은 신장(腎臟, 콩팥)을 망가뜨려 노폐물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게 되고, 눈의 미세혈관에도 영향을 미쳐 고혈압성 망막병증(網膜病症, retinopathy)을 일으킬 수 있다.


고혈압 치료•관리는 환자가 보유한 위험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개정된 2022 ‘고혈압 진료지침’에 따르면, 합병증이 없는 단순 고혈압은 기존과 동일하게 목표혈압을 수축기혈압 140, 이완기혈압 90 미만으로 관리하면 된다. 하지만 합병증이 없어도 무증상 장기손상, 심뇌혈관 위험인자가 다발성(3개 이상 또는 당뇨병이 동반한 경우 2개 이상)으로 존재하는 경우 목표 혈압을 130/80 미만으로 강화했다.


고혈압 치료 목표는 혈압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이다. 생활방식 변화로 건강한 식단, 운동, 체중 관리, 금연, 절주 등을 실천한다. 약물치료는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angiotensin) 수용체 차단제, 칼슘 통로 차단제, 이뇨제(利尿劑) 등 다양한 약물이 사용된다. 고혈압 예방은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다. 즉 건강한 식생활, 칼륨이 풍부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흡연 금지, 과도한 음주 제한 등이다.


9d9ed191d540f19390a2c670cff695c2_1730465948_2608.png
▲ 혈당의 변화


<당뇨병(糖尿病)>은 인슐린(insulin)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代射疾患, metabolic disease)의 일종이다.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高血糖)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으로 포도당을 배출한다. 우리나라는 30세 이상 성인 526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고, 발병 전단계는 약 1500만 명에 달해, 약 2000만명이 ‘당뇨병 쓰나미’에 노출되어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당뇨병으로 입원•진료 받은 환자는 383만771명이다.


약한 고혈당에서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증상을 느끼지 못하거나 모호해서 당뇨병이라고 생각하기 어렵다. 혈당이 많이 올라가면 삼다(三多) 증상이 나타난다. 즉, 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시게 되고(多飮), 소변량이 늘어(多尿) 화장실을 자주 가게 된다. 또한 체중이 빠지고 더 많이 먹으려(多食) 한다.


당뇨병은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다. 공복혈당이 100-125mg/dL 혹은 당화혈색소가 5.7-6.4%이면 당뇨병 전단계라 부르는 ‘공복혈당장애’이며, 공복혈당 126mg/dL 이상 혹은 당화혈색소 6.5% 이상의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당뇨병 합병증에는 뇌경색 등 뇌혈관질환, 심근경색 등 심장질환, 성기능 저하, 당뇨발로 인한 궤양, 당뇨병 망막병증, 치주질환, 만성콩팥병, 손발 저림 등이 있다.


치료는 제1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다. 제2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생활습관 교정을 기본으로 하며, 추가로 약물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먹는 약의 경우 하루 1-3회 복용하며 약의 작용 시간에 따라 먹는 시간이라든지 부작용 등이 조금씩 다르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1년 뇌졸중 진료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 뇌졸중(腦卒中) 환자의 35%가 당뇨병을 앓고 있다. 스웨덴, 영국, 일본 등의 뇌졸중 환자가 당뇨를 앓고 있는 비율(23-28%)보다 높다. 국내 뇌졸중 환자 중 남성은 59.8%로 여성(40.2%)보다 많다. 뇌졸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 인자에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흡연 등이 있다.


김수미 국민배우가 지난 10월 25일 심정지 상태로 자택에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향년 75세에 사망했다. 사망원인은 ‘고혈당(高血糖) 쇼크’로 알려졌다. 고혈당증은 당뇨병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이며, 체내에서 분비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저항성이 커 제대로 혈당관리가 안 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혈당 조절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면 심정지 등 생명이 위협받는 응급 상황에 이를 수 있다.


<고지혈증(高脂血症)>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키는 상태이다. 최근에는 비정상적인 혈액 내 지질상태를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로 정의하기도 한다.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혈액 내에 특정 지질이 증가하여 고지혈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비만이나 술, 당뇨병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고지혈증이 생길 수 있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일부에서 합병증이 발생하면 그와 연관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액 내에 중성지방(中性脂肪)이 크게 증가하면 췌장염(膵臟炎)이 발생할 수 있으며 췌장염의 증상은 복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아킬레스건에 황색종(xanthoma)이 생길 수 있다. 눈꺼풀에 황색판종(xanthelasma)이 나타나기도 한다. 검사는 금식을 한 후 시행하는 채혈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는 식사 조절과 운동을 통한 생활 습관 개선 및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과 함께 약물치료가 고지혈증 치료의 중심이 된다. 약물치료에는 스타틴(statin) 계열의 약물이 널리 쓰이는데, 이 계열의 약은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합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며,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집중적으로 떨어뜨리고 중성지방도 일부 떨어뜨린다. 또한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올려주기도 한다.



9d9ed191d540f19390a2c670cff695c2_1730465712_8303.jpg
 

고칼륨혈증과 만성콩팥병

댓글 0 | 조회 97 | 5시간전
필자는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좋아하며 즐겨 먹었다. 그러나 최근 세브란스병원에서 혈액검사를 한 결과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치인 3.5-5.5mmol/L를 초과한 … 더보기

드라이버 한 방의 유혹 - 인생도 한 번에 해결될까?

댓글 0 | 조회 87 | 5시간전
골프장에서 가장 짜릿한 순간은 티샷을 날릴 때다. 드라이버를 손에 쥐고 300m를 가뿐히 날려보낼 상상을 하는 순간, 우리는 마치 PGA 투어 선수라도 된 듯한 … 더보기

강제적인 시간외 근무

댓글 0 | 조회 904 | 10일전
일반적으로 고용계약서에는 정해진 근무시간이 있습니다. 정해진 근무시간을 초과해서 근무한 경우 고용주는 초과 근무한 시간에 대한 임금만을 지급하면 되며 시간외 근로… 더보기

1. 타네 마후타(Tane Mahuta) – 거대한 생명의 나무

댓글 0 | 조회 344 | 10일전
뉴질랜드의 북섬 깊은 곳, 와이포우아 숲(Waipoua Forest)에는 신비로운 나무가 우뚝 서 있다. ‘숲의 신’이라 불리는 타네 마후타(Tane Mahuta… 더보기

아, 놀라워라,“은퇴 부모 영주권”

댓글 0 | 조회 2,304 | 10일전
고국의 은퇴하신 부모님이 늘 마음에 남는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 신분의 뉴질랜드 자녀라면, 그 분들과 함께 뉴질랜드에서 영구히 거주할 수 있을 방법이 있는지 늘 … 더보기

맑은 차 한잔에 담긴 선의 경지를 엿보다

댓글 0 | 조회 142 | 10일전
<해남 대흥사 일지암>최상의 옥과 같이 맑은 차 한잔, 과연 그 차는 얼마나 특별했기에 한 잔에 겨드랑이에 바람이 일고 선경에 이르렀을까. 달과 구름조… 더보기

아픈 분들을 생각하며

댓글 0 | 조회 287 | 10일전
새벽에 잠이 깨어 일어나 앉았습니다. 어제는 잇몸병이 아닌가 했는데 통증이 잠을 깨우는 것을 보니 충치가 생겼나 봅니다. 가만히 통증을 들여다보며 아픔이 빚어내는… 더보기

법인 파산 (Liquidation) 및 개인파산 (Bankruptcy)

댓글 0 | 조회 557 | 2025.03.25
지난 칼럼에서는 법인 상대로 최후통보를 날리는 statutory demand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 이후의 단계인 법인파산, 그리고 그것과 거… 더보기

밥 한 번 먹자

댓글 0 | 조회 311 | 2025.03.25
문밖을 나서기 불편했던 추위가 사그라지니 거리에 발길이 늘었다. 동네 식당에도 활기가 도는 것 같다. 푸성귀가 나오기 시작하니 식당에서도 찬거리 만들기가 쉬울 것… 더보기

찬란한 배신

댓글 0 | 조회 353 | 2025.03.25
<미수(米壽, 88세) 기념작> - 단편소설주말 늦잠을 자던 시연이 눈을 떴다. 고소한 기름 냄새가 코를 자극했다.“뭘 이렇게 일찍부터 지지고 볶을까?… 더보기

대학 입시를 잘 준비하는 법

댓글 0 | 조회 275 | 2025.03.25
필자는 오는 4월 5일 한국대학 및 호주 뉴질랜드 의약계열 입시 세미나를 준비하고 있다. 매년 4~5회 정도의 세미나를 개최하는데 이번 세미나는 2025년 첫 세… 더보기

여수

댓글 0 | 조회 176 | 2025.03.25
시인 김 명인여수, 이 말이 떨려올 때 생애 전체가한 울림 속으로 이은 줄 잊은 때가 있나만곡진 연안들이 마음의 구봉을 세워그 능선에 엎어놓은 집들과 부두의 가건… 더보기

‘콩팥’ 신대체요법

댓글 0 | 조회 371 | 2025.03.21
지난 3월 13일, 매년 3월 둘째 주 목요일은 세계 콩팥의 날(World Kidney Day)로 전 세계적으로 신장(콩팥) 건강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신장 질… 더보기

우크라이나 전쟁의 결산

댓글 0 | 조회 501 | 2025.03.12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1천킬로미터 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전선에서는 지금 이 순간에도 양쪽 군인들이 소중한 목숨을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푸틴과 트럼프 … 더보기

공부 잘하는 비결요?

댓글 0 | 조회 445 | 2025.03.12
간혹 사적인 모임자리에서 ‘무엇을 하는 분이세요?’라는 질문을 들을 때가 있습니다. 사람이 선생같은 분위기를 풍겨야 어느 정도 감을 잡고 궁금해하지 않으실텐데 행… 더보기

겸손, 절을 하니 자궁암이 나았다

댓글 0 | 조회 378 | 2025.03.12
다니구찌 마사하루라는 분이 쓴 『생명의 실상』이라는 40권짜리 책을 제가 예전에 읽어 봤습니다. 어떤 남자가 자신의 부인이 자궁암에 걸렸다고 찾아왔대요. 의사는 … 더보기

민사소송에서의 강제집행(2)– Statutory Demand, 법인상대로 하는 최…

댓글 0 | 조회 540 | 2025.03.11
뉴질랜드에서 상업활동을 할 때에는 개인의 이름으로 sole trader가 될 수도 있고, 개인들끼리 partnership을 구성하거나 신탁 trust 제도를 이용… 더보기

의약계열 진로에 잘 맞는 성향은 무엇일까?

댓글 0 | 조회 554 | 2025.03.11
필자가 전화상담을 하거나 대면상담을 할 때 부모님들께서 자주 하시는 말씀이 있다. “저희 아이는 성격이 차분해서 의대에 진학하면 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또는… 더보기

시간이 접힌 선상에서

댓글 0 | 조회 224 | 2025.03.11
여정이 길게 늘어선 선착장에서 줄을 서서 기다린 시간이 근 30분을 넘었을 때,하얗게 햇살 머금은 큰 여객선이 기적을 울리며 웰링톤 인터아일랜드 선착장으로 다가들… 더보기

이 기(氣)가 막힐 현실을 어찌하오리까?

댓글 0 | 조회 372 | 2025.03.11
설날이 지난 어느 날 서울에 있는 딸하고 통화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인사말로 시작했으나 작년에 세계적인 뉴스거리가 되었던 한 강 작가가 생각나서 비꼬듯 한… 더보기

길 위에서 만난 마음

댓글 0 | 조회 107 | 2025.03.11
김천 직지사-명적암-중암3월이 코앞이다. 봄이 오고 있다는데, 어디쯤 오고 있을까? 겨울이 길었던 탓인지 괜히 안달이 나서 쌀쌀한 바람을 맞으며 직지사(直指寺)로… 더보기

달래 냉이 씀바귀...

댓글 0 | 조회 208 | 2025.03.11
춥고 긴 겨울을 준비하는 것이 김장이었다. 오래 두고 먹으려면 짜게 담가야 했다. 무는 뿌리를 씻어 통째로 동치미를 담그거나 네 가닥 정도로 쪼개어 김치를 담갔다… 더보기

새롭게 알아가는 가디언 비자

댓글 0 | 조회 573 | 2025.03.11
유학생 부모라는 이유만으로 신청 가능한 비자가 따로 없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유학 자녀를 돌보기 위해 어떻게든 체류하고자 학생비자를 신청해서 억지로 공부해야만 했… 더보기

자녀와의 갈등, 공감으로 풀어보세요!

댓글 0 | 조회 260 | 2025.03.11
“환경을 바꾸면 학교에 잘 다닐까 싶어 이곳에 왔는데, 학교에 가지 않고 방 안에만 있으니 답답합니다.” “오늘은 배가 아프다며 학교에 가기 힘들겠다고 하네요. … 더보기

자동차 유리(윈드스크린) 손상 시 대처법

댓글 0 | 조회 409 | 2025.03.11
교체 vs. 수리, 보험 적용 여부자동차 윈드스크린에 손상이 가면, 수리와 교체 중 어떤 선택이 더 나은지 고민될 수 있습니다.자동차 윈드스크린은 더블 글레이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