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칼럼 | 지난칼럼 |
언젠가 TV에선 얼굴 없는 사람에 대한 얘기가 나오더군요. 미국에 얼굴 없는 사람이 있답니다. 그런데 아이입니다. 태어난 지 2년 반 쯤 되었는데 얼굴이 없답니다. 성형수술을 스물 몇 번을 해서 얼굴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눈을 만들고, 코를 만들고, 입도 만들고 그랬는데 정말 사람이라고 볼 수가 없더군요.
찢었습니다. 눈도 찢고, 코도 찢고……. 그 코로 숨을 쉴 수가 없어서 코에다가 기계를 달았습니다. 또 입으로 물도 못 삼켜서 입에도 뭘 잔뜩 달았습니다. 어딘가에 뚫어서 주스 같은 것만 마셔요. 눈은 감지를 못해서 항상 떠있고요. 그래서 잘 때는 눈에 안대를 합니다. 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닫아 놓아요.
사람이라고 볼 수가 없는데 부모는 그 아이를 그렇게 지성으로 돌봅니다. 아버지도 어머니도 지성으로 그 아이를 사랑합니다. 큰 애는 또 그렇게 예뻐요.
그러면서 그 부부가 하는 얘기가, 자신들이 생각할 때 그 아이는 하늘이 주신 축복이라는 겁니다. 아이를 통해서 하느님께서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는 것이지요. 얼굴만 없지 인간이라는 것, 아주 귀한 사람이라는 것, 그리고 다른 것은 다 똑같다는 것, 그것을 자기네에게 알려주고 싶으셨을 거래요. 그래서 그 아이를 선물로 주셨을 거랍니다.
큰 아이가 유치원에 가는데 그 아이를 함께 데려가서 계속 보여주더군요. 처음에는 아이들이 무서워하고 숨고 그럽니다. 매일 데려가서 보여주니까 나중에는 반기고 그 아이 손도 만집니다.
그러면서 그 애들한테 설명을 해줍니다. 너희들하고 다 똑같은데 몸이 어떤 병에 의해서 불구다, 선천성 질병이라서 얼굴이 없는 것이다, 이렇게 설명을 해줍니다. 다른 건 다 똑같다, 말을 못하고 음식을 못 먹고 그런 것은 근본적인 차이가 아니다, 이런 얘기를 해 주니까 애들이 알아듣습니다.
그리고 큰애한테도 교육을 합니다. 네 동생은 어찌어찌해서 이렇게 됐는데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 다 똑같다. 단지 질병이 있을 뿐이다, 이렇게 설명을 합니다. 그 언니가 동생을 굉장히 사랑하더군요.
그렇게 아름다운 가정을 이루면서 최선을 다해 살더군요. 또 밤에는 간호사를 고용한답니다. 잠시라도 그 아이를 보살피지 않으면 숨이 막혀서 죽을 수가 있답니다. 낮에는 엄마가 돌보는데 그것을 그렇게 축복으로 받아들이더라고요. 그러니 그런 부모한테 그런 아이를 보내신 겁니다. 생명은 다 소중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그런데 그 아이 성형이 다 끝난 게 아니랍니다. 제대로 되려면 아직 50번 정도 더 남았다고 합니다. 어린아이가 그 아픔을 다 감수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얼굴이 제대로 찾아지겠습니까? 그래도 부모는 그 아이를 정상으로 만들려고 그렇게 애를 쓰면서 그 아이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갖습니다. 이런 분은 명상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보다 훨씬 높은 경지입니다.
이유가 있을 거라는 거예요. 아이를 자기한테 보내신 이유가……. 불구지만 생명은 소중하다는 것, 사람은 다 똑같다는 것, 인간은 귀하다는 것, 그걸 알려주고 싶으셨을 거라는 거예요. 그 부모가 그걸 알아낸 겁니다. 그 아이에 비하면 여기 아프신 분들은 그 정도면 축복이잖아요?
어느 교수님께서 불구이신데, 그것 때문에 살아오면서 많이 깨달았답니다. 특히 ‘생명은 소중한 것’이라는 걸 깨달았답니다.
살아있다는 것은 행복하다, 두발로 디딜 수만 있다면 행복하다, 통증을 느끼지 않고 재채기 한 번만 할 수 있다면 행복하다…… 왜? 살아있기 때문에. 살아있다는 것은 모든 가능성입니다. 이것도 할 수 있고 저것도 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는 것이잖아요? 죽으면 못 하는 것이잖아요?
살아있다는 것만으로도 너무 고맙다는 것을 절절히 깨달았는데, 암이 재발하면서 더 깨달았답니다.
아픔을 통해서 만물에, 부모님께, 주변에 감사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만 있다면 아픔이 선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