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차 한잔에 담긴 선의 경지를 엿보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맑은 차 한잔에 담긴 선의 경지를 엿보다

0 개 119 템플스테이

<해남 대흥사 일지암>


a755e472e41c7dc85bbf796fc4a1fbc1_1742939452_2386.png
 

최상의 옥과 같이 맑은 차 한잔, 과연 그 차는 얼마나 특별했기에 한 잔에 겨드랑이에 바람이 일고 선경에 이르렀을까. 달과 구름조차 찻자리를 밝히는 배경이 되어줄 정도니, 궁금할 법도 하다. 초의선사(1786~1866)가 사랑했던 그 특별한 차를 만나기 위해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해남 두륜산 대흥사로 향했다. 대흥사는 백제시대 창건된 천년고찰로 한국 차문화의 성지 일지암이 부속암자로 있다. 일지암은 초의선사가 말년까지 40년을 주석하며 『동다송』과 『다신전』을 집필한 곳이다. 부연할 필요도 없이 초의선사는 우리나라 차의 맥을 중흥시킨 성인, 즉 다성(茶聖)으로 지칭되니 그 상징성이 지금도 오롯이 전승된다.


3월 초봄, 서울에서 차로 대여섯 시간 걸려 당도한 대흥사는 서늘한 날씨에도 이미 매화가 만개했고, 일지암은 아직 나무의 새순이 돋기 전인데 도량 내 차나무밭만이 초록의 기운을 가득 머금었다. 찻잎을 따는 절기 곡우(穀雨, 4월 19일)까지 한참 남았으니, 햇차가 나오기엔 이른 시기다.


대흥사에 들어서자 템플스테이 지도법사 법은 스님이 반가운 인사로 객을 맞는다. 경내는 이미 봄을 찾아 전국에서 온 상춘객들로 붐볐다. 초의선사의 발자취를 찾아 떠난 길인 만큼, 부도탑으로 분주한 걸음을 옮겼다. 경내 진입로 왼편 부도전에 모셔진 수많은 부도탑 가운데 초의선사 부도가 있다. 이곳에 모셔진 부도는 무려 56기, 대흥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부도가 모셔진 사찰이기도 하다.


a755e472e41c7dc85bbf796fc4a1fbc1_1742939477_7397.png
 

부도전을 참배하고 다시 발길을 돌려 대흥사로 향하는 걸음 곳곳에서 변화가 포착된다. 진입로부터가 산책로로 차근차근 변모하는 중이다. ‘천년숲 옛길’을 시작으로 ‘길 정원’이라는 콘셉트로 구간별 특색을 살린 가운데, 사색을 위한 산책코스들이 순차적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초의선사로부터 이어진 차문화의 전통을 복원하고 이어가기 위한 노력도 한창이다. 이미 지난해 차를 덖는 덕장을 새롭게 정비했고, 더 많은 대중들이 차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차문화체험관이 완공을 앞두고 있었다. 덕장에서 만드는 차는 ‘대흥관음녹다’라는 이름으로 대중과 만난다. 탱화장터로 불리던 ‘마전밭’도 인근 차밭과 연계해 정비될 예정이다.


‘대흥관음녹다’라는 명칭은 새롭게 지어졌지만, 사실 대흥사에서 차를 만드는 전통은 꾸준히 지속돼 왔다. 매년 곡우를 전후해 대흥사 스님들은 야생차밭에서 딴 찻잎을 며칠간 꼬박 덖어 녹차를 만들었다. 대흥사가 관리하는 차밭은 일지암을 포함해 7곳가량. 무려 3만 평 남짓 규모다. 1년 중 가장 정성을 기울이는 대대적인 울력이지만, 만드는 차의 수량은 그리 많지 않아 주로 사중에서 의식에 공양 올리거나 스님들이 음용해 왔다.


a755e472e41c7dc85bbf796fc4a1fbc1_1742939501_0303.png
 

초의선사의 제다법에 근거해 어른 스님들이 기억하고 전승해 온 방식으로 만들어야 하기에, 차를 만드는 과정도 결코 호락호락하지 않다. 그래서 차를 만든 경험이 있는 스님들이 주축이 되어 그 해의 차 맛을 진두지휘한다. 제일 처음 완성된 차는 대흥사 조실 보선 스님을 비롯한 어른 스님들이 맛을 보고, 차 덖는 온도 등 세밀한 부분에 대한 조언을 더하기도 한다. 청정한 환경에서 자란 야생 찻잎을 전통 제다법에 따라 정성으로 덖어낸 만큼, 그 맛과 기운은 더할 나위 없이 뛰어나다.


그날 딴 찻잎은 당일 덖는 것이 원칙이다. 제다의 과정으로 살청과 유념, 건조를 거쳐야 하는데 특히 살청은 고온에서 찻잎이 타지 않게 수없이 덖어내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무려 280℃ ~350℃ 고온의 가마솥에 손을 넣은 채 5~10분 이어지는 쉽지 않은 작업이다. 순간의 열을 감지해 수없이 손으로 돌리며 덖어야 하기 때문에 경험으로 쌓인 감각과 노하우가 필수적이다.


a755e472e41c7dc85bbf796fc4a1fbc1_1742939520_5373.png
 

덖어낸 찻잎을 광목천 위에 펼쳐내어 손으로 비비는 작업은 유념의 과정이다. 광목천에 올린 찻잎을 두 손으로 강하게 비비다 보면 찻잎에 미세하게 붙어 있던 하얀 털들이 진액처럼 뭉쳐 나오는데 이 과정에서 차의 독성이나 강한 성분이 빠진다. 유념을 끝낸 찻잎을 건조한 후 다시 약한 불로 덖는 가향 작업에도 남다른 정성을 쏟는다.


차를 우리는 방식도 조금 다르다. 보통 녹차를 우릴 때 물을 끓인 후 70℃~80℃ 정도로 식히는 것과 달리, 대흥사의 녹차는 뜨거운 물로 우린다. 그래도 떫지 않으며 맑고 담박한 맛과 향이 은은하게 감돈다. 이것이 대흥사가 계승한 초의차의 전통 제다법의 핵심이다. 맛이 뛰어난 만큼 과정은 결코 쉽지 않다. 몇 날 며칠 쉼 없이 차 울력에 매진하고 나면 손끝 감각이 없어질 정도로 고되다.


a755e472e41c7dc85bbf796fc4a1fbc1_1742939535_482.png
 

햇차가 나오기 직전의 이른 봄은 차의 춘궁기여서 객은 결국 ‘대흥관음녹다’의 맛을 경험하지 못했다. 아쉬운 마음 안고 일지암으로 발길을 옮겼다. 대흥사에서 도보로 한 시간 남짓, 차량으로는 15분 정도지만 깎아지른 듯한 경사가 예사롭지 않다. 일지암에 당도하자 탁 트인 풍경이 숨통을 틔운다. 초의선사가 머물렀다는 초정을 등지고 두륜산 아래를 내려다보니 햇빛이 닿는 곳마다 차나무로 가득하다. 진초록의 광택을 머금은 찻잎 하나하나가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그 생명력을 한껏 드러내는 듯하다.


39세 초의선사는 이곳에 한 칸의 띠집을 지어 일지암이라 이름 짓고 말년까지 40년을 머물렀다. 차나무 씨앗을 심고 차를 재배했으며 돌 틈에서 흐르는 물을 받아 백운천이라 칭했다. 차를 덖고 만들고 샘물로 차를 우려 마셨으며 수행 정진으로 삼매에 들기도 했다. 또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썼다. 차의 경전이라 칭해지는 『동다송』과 『다신전』도 이곳에서 집필했다. 차를 매개로 추사 김정희와 다산 정약용과 남다른 교우도 이어졌다. 시대를 풍미했던 두 유학자와 초의 사이의 일화는 수없이 많다. 특히 제주에 유배간 추사 김정희가 초의선사의 차를 조르는 편지를 보낸 기록이 지금도 남아 전하니 흥미롭다. 일지암 초정에서 초의선사가 만들었다는 연못을 향하는 석축에 다감(茶龕)이라고 새겨진 돌 하나가 무심히 놓였는데 초의선사의 글자를 새겼다고 전해진다.


a755e472e41c7dc85bbf796fc4a1fbc1_1742939552_3892.png
 

차의 춘궁기라 마음 비운 덕인지 일지암주 법경스님이 내어주신 녹차를 맛볼 수 있었다. 과연 맑고 청명한 탕색에 향과 맛이 달고 깔끔해 한 모금 넘기자 눈앞이 환히 밝아지는 듯하다. 어느 순간 겨드랑이에 바람이 일었을지도 모르겠다.


a755e472e41c7dc85bbf796fc4a1fbc1_1742939564_6968.png
 

“차는 혼침과 산란을 막는다고 합니다.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면서 정신을 깨우죠. 스님들이 차를 가까이하는 이유는 분명해요. 수행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다선일여(茶禪一如), 차와 선이 같음을 차를 마시는 순간마다 느낍니다.”

초정의 문을 열고 찻자리를 이동했다. 일지암주법경 스님과 대흥사 템플스테이 지도법사 법은 스님은 도반이다. 편안한 웃음과 담소가 이어지다가도 차 한 모금 머금는 순간엔 잠시 시간이 멈춘다.


초의선사는 『다신전』에서 차를 마실 때 “홀로 마시면 신령스럽고[神], 둘이 마시면 좋은 정취를 느낄 수 있으며[勝], 서너 명은 즐겁고 유쾌하고[趣], 대여섯은 평범하고 구속받지 않으며[泛] 일고여덟명은 그저 나누어 마시는 것[施]”이라 했다.


a755e472e41c7dc85bbf796fc4a1fbc1_1742939578_0737.png
 

차 한잔 머금은 순간 스님들의 겨드랑이엔 바람이 일었을까? 아니면 좋은 정취를 느꼈을까? 객에겐 그리 중요치 않다. 대흥사, 그리고 일지암에서 스님이 사랑한 차 한잔 엿본 것에 만족할 뿐이다.


일지암을 떠나는 길, 곡우가 지날 무렵 다시 이곳을 찾아 ‘대흥관음녹다’를 기필코 맛봐야겠다는 결심이다.


■ 두륜산 대흥사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799)

061-534-5502~3 l http://www.daeheungsa.co.kr


■ 출처: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 매거진(vol.65)


강제적인 시간외 근무

댓글 0 | 조회 821 | 5일전
일반적으로 고용계약서에는 정해진 근무시간이 있습니다. 정해진 근무시간을 초과해서 근무한 경우 고용주는 초과 근무한 시간에 대한 임금만을 지급하면 되며 시간외 근로… 더보기

1. 타네 마후타(Tane Mahuta) – 거대한 생명의 나무

댓글 0 | 조회 304 | 5일전
뉴질랜드의 북섬 깊은 곳, 와이포우아 숲(Waipoua Forest)에는 신비로운 나무가 우뚝 서 있다. ‘숲의 신’이라 불리는 타네 마후타(Tane Mahuta… 더보기

아, 놀라워라,“은퇴 부모 영주권”

댓글 0 | 조회 2,159 | 5일전
고국의 은퇴하신 부모님이 늘 마음에 남는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 신분의 뉴질랜드 자녀라면, 그 분들과 함께 뉴질랜드에서 영구히 거주할 수 있을 방법이 있는지 늘 … 더보기
Now

현재 맑은 차 한잔에 담긴 선의 경지를 엿보다

댓글 0 | 조회 120 | 5일전
<해남 대흥사 일지암>최상의 옥과 같이 맑은 차 한잔, 과연 그 차는 얼마나 특별했기에 한 잔에 겨드랑이에 바람이 일고 선경에 이르렀을까. 달과 구름조… 더보기

아픈 분들을 생각하며

댓글 0 | 조회 262 | 5일전
새벽에 잠이 깨어 일어나 앉았습니다. 어제는 잇몸병이 아닌가 했는데 통증이 잠을 깨우는 것을 보니 충치가 생겼나 봅니다. 가만히 통증을 들여다보며 아픔이 빚어내는… 더보기

법인 파산 (Liquidation) 및 개인파산 (Bankruptcy)

댓글 0 | 조회 519 | 6일전
지난 칼럼에서는 법인 상대로 최후통보를 날리는 statutory demand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 이후의 단계인 법인파산, 그리고 그것과 거… 더보기

밥 한 번 먹자

댓글 0 | 조회 287 | 6일전
문밖을 나서기 불편했던 추위가 사그라지니 거리에 발길이 늘었다. 동네 식당에도 활기가 도는 것 같다. 푸성귀가 나오기 시작하니 식당에서도 찬거리 만들기가 쉬울 것… 더보기

찬란한 배신

댓글 0 | 조회 336 | 6일전
<미수(米壽, 88세) 기념작> - 단편소설주말 늦잠을 자던 시연이 눈을 떴다. 고소한 기름 냄새가 코를 자극했다.“뭘 이렇게 일찍부터 지지고 볶을까?… 더보기

대학 입시를 잘 준비하는 법

댓글 0 | 조회 249 | 6일전
필자는 오는 4월 5일 한국대학 및 호주 뉴질랜드 의약계열 입시 세미나를 준비하고 있다. 매년 4~5회 정도의 세미나를 개최하는데 이번 세미나는 2025년 첫 세… 더보기

여수

댓글 0 | 조회 161 | 6일전
시인 김 명인여수, 이 말이 떨려올 때 생애 전체가한 울림 속으로 이은 줄 잊은 때가 있나만곡진 연안들이 마음의 구봉을 세워그 능선에 엎어놓은 집들과 부두의 가건… 더보기

‘콩팥’ 신대체요법

댓글 0 | 조회 352 | 9일전
지난 3월 13일, 매년 3월 둘째 주 목요일은 세계 콩팥의 날(World Kidney Day)로 전 세계적으로 신장(콩팥) 건강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신장 질… 더보기

우크라이나 전쟁의 결산

댓글 0 | 조회 489 | 2025.03.12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1천킬로미터 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전선에서는 지금 이 순간에도 양쪽 군인들이 소중한 목숨을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푸틴과 트럼프 … 더보기

공부 잘하는 비결요?

댓글 0 | 조회 416 | 2025.03.12
간혹 사적인 모임자리에서 ‘무엇을 하는 분이세요?’라는 질문을 들을 때가 있습니다. 사람이 선생같은 분위기를 풍겨야 어느 정도 감을 잡고 궁금해하지 않으실텐데 행… 더보기

겸손, 절을 하니 자궁암이 나았다

댓글 0 | 조회 365 | 2025.03.12
다니구찌 마사하루라는 분이 쓴 『생명의 실상』이라는 40권짜리 책을 제가 예전에 읽어 봤습니다. 어떤 남자가 자신의 부인이 자궁암에 걸렸다고 찾아왔대요. 의사는 … 더보기

민사소송에서의 강제집행(2)– Statutory Demand, 법인상대로 하는 최…

댓글 0 | 조회 534 | 2025.03.11
뉴질랜드에서 상업활동을 할 때에는 개인의 이름으로 sole trader가 될 수도 있고, 개인들끼리 partnership을 구성하거나 신탁 trust 제도를 이용… 더보기

의약계열 진로에 잘 맞는 성향은 무엇일까?

댓글 0 | 조회 540 | 2025.03.11
필자가 전화상담을 하거나 대면상담을 할 때 부모님들께서 자주 하시는 말씀이 있다. “저희 아이는 성격이 차분해서 의대에 진학하면 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또는… 더보기

시간이 접힌 선상에서

댓글 0 | 조회 209 | 2025.03.11
여정이 길게 늘어선 선착장에서 줄을 서서 기다린 시간이 근 30분을 넘었을 때,하얗게 햇살 머금은 큰 여객선이 기적을 울리며 웰링톤 인터아일랜드 선착장으로 다가들… 더보기

이 기(氣)가 막힐 현실을 어찌하오리까?

댓글 0 | 조회 362 | 2025.03.11
설날이 지난 어느 날 서울에 있는 딸하고 통화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인사말로 시작했으나 작년에 세계적인 뉴스거리가 되었던 한 강 작가가 생각나서 비꼬듯 한… 더보기

길 위에서 만난 마음

댓글 0 | 조회 101 | 2025.03.11
김천 직지사-명적암-중암3월이 코앞이다. 봄이 오고 있다는데, 어디쯤 오고 있을까? 겨울이 길었던 탓인지 괜히 안달이 나서 쌀쌀한 바람을 맞으며 직지사(直指寺)로… 더보기

달래 냉이 씀바귀...

댓글 0 | 조회 199 | 2025.03.11
춥고 긴 겨울을 준비하는 것이 김장이었다. 오래 두고 먹으려면 짜게 담가야 했다. 무는 뿌리를 씻어 통째로 동치미를 담그거나 네 가닥 정도로 쪼개어 김치를 담갔다… 더보기

새롭게 알아가는 가디언 비자

댓글 0 | 조회 536 | 2025.03.11
유학생 부모라는 이유만으로 신청 가능한 비자가 따로 없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유학 자녀를 돌보기 위해 어떻게든 체류하고자 학생비자를 신청해서 억지로 공부해야만 했… 더보기

자녀와의 갈등, 공감으로 풀어보세요!

댓글 0 | 조회 250 | 2025.03.11
“환경을 바꾸면 학교에 잘 다닐까 싶어 이곳에 왔는데, 학교에 가지 않고 방 안에만 있으니 답답합니다.” “오늘은 배가 아프다며 학교에 가기 힘들겠다고 하네요. … 더보기

자동차 유리(윈드스크린) 손상 시 대처법

댓글 0 | 조회 399 | 2025.03.11
교체 vs. 수리, 보험 적용 여부자동차 윈드스크린에 손상이 가면, 수리와 교체 중 어떤 선택이 더 나은지 고민될 수 있습니다.자동차 윈드스크린은 더블 글레이징(… 더보기

폭설

댓글 0 | 조회 187 | 2025.03.11
시인 장 석남밤사이 폭설이 내려서 소나무 가지가 찢어지는 소리폭설이 끊임없이 아무 소리 없이 피가 새듯 내려서 오래 묵은 소나무 가지가 찢어져 꺽이는 소리, 비명… 더보기

정신질환(Mental Disease)

댓글 0 | 조회 403 | 2025.03.07
현대인은 누구나 정신질환을 하나는 가지고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정신질환이 매우 흔하다. 성인 중 거의 절반은 인생의 어느 시점에 정신질환의 증상을 경험한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