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인간의 맛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중용, 인간의 맛

0 개 1,252 김영안
동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전으로는 사서(四書) 삼경(三經)이 있다. 

사서는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그리고 중용(中庸)이다. 

사서 중 ‘논어’에서 사람다운 삶을, ‘맹자’에서 올바른 삶의 근원을, ‘대학’에서 삶의 진화를,‘중용’에서 기우뚱한 균형의 혁명 논리를 밝히고자 했다.

‘대학’과 ‘중용’은 원래 ‘예기(禮記)’의 한 편명(編名)에 지나지 않았다. 

송 나라 주희가 두 책을 독립시켜 ‘논어’,‘맹자’와 함께 읽어야 할 책, 즉 사서로 삼았다. 사서 중 가장 유명한 논어는 너무 유명해서 누구나 한 번쯤은 접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맹자, 대학 등 뒤쪽으로 가면 접할 기회가 줄어 든다. 특히 대학과 중용은 분량은 많지 않지만 사실 너무 어려운 책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근자에는 해설이나 현대적 감각으로 다시 해석하는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6496f0c6f59b3706b3121b76cf7dbb7d_1505257624_3961.jpg

‘중용,인간의 맛(통나무: 2011)’의 저자 도올 김용옥의 이력은 매우 특이하다. 일단 학력에서 일본의 동경대학, 대만의 국립대학, 미국의 하버드대학을 모두 섭렵한 학자이다. 

한·미·일·중의 최고대학을 모두 다닌 것이다. 집안 역시 명문으로 형님은 우리나라 최초 화학박사이고, 아내 역시 중문과 교수다. 모태 신앙으로 태어나 불교에 심취하다 동양사상에 빠져들어 철학자로서 손색없는 재원이다. 잦은 정치적 발언으로 구설수에 오르긴 했어도 이 시대를 대변하는 지성인임에는 틀림없다. 

본인의 ‘몸’철학을 위해 원광대 한의학과를 졸업하는 특이한 이력의 소지자이다. 근자에는 영화 시나리오도 쓰고, 교육방송에 동양철학 강의는 반응이 뜨겁다. 하지만 최근 교육방송 방송 통제(?)를 빌미로 출연 거부 사태를 빚은 약간 불미스러운 일도 만드는 문제아 기질도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국내 교수들의 외부 강의료를 높이는데 큰 공헌(?)을 한 바가 있다. 그 당시 통상 한 시간에 10만원 정도 하던 것을 최소 2시간에 시간당 50만원을 요구한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고 실제로 그렇게 받고 강의를 했다. 

이런 저런 기행으로 유명하지만 그래도 그의 책의 순도는 높다. 그는 다작이 특기이고 한 번 주제를 잡으면 일필 휘지로 써 내려가는 것이 그의 작품 활동의 특징이기도 하다. 

6496f0c6f59b3706b3121b76cf7dbb7d_1505257773_9487.jpg


동양사상 입문특강 ‘여자란 무엇인가(통나무: 1986)’이라는 책으로 도올과 첫 만남이었다. 너무나 충격적이고 신선해서 그 후로 그가 낸 저서 대부분을 읽었다. 직접 강의도 듣고 교육방송의 강의도 열심히 보았다. 김우중과의 ‘대화(1991)’, ‘나는 불교를 이렇게 본다(89)’,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86)’, ‘혜능과 세익스피어(98)’, ‘도올 김용옥의 신한국기(90)’, ‘너와 나의 한의학(통나무: 2000)’외에도 ‘노자와 21세기 1.2.3(2000)’등 많다. 

물론 한 사람의 주장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볼 수는 없다. 그래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도올의 도덕경에 대한 비판서는 이경숙의 ‘노자를 웃긴 남자(자인: 2000)’은 일반인으로 도올의 번역의 문제점을 지적해 세간의 주목을 끌었으며, 서병후의 ‘도올에게 던지는 사자후(화두: 2001)’는 도올의 불교에 대한 오해를 실랄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이 두 권의 책 외에도 그의 번역과 논리에 대한 비판서는 많다. 동양 철학적 관점에서 본 중용(中庸)에서 말하는 ‘중’은 물리적이고 산술적인 의미가 아니라 객관적인 맥락에서 어디에도 치우치거나 기울어지지 않는 균형과 공정을 말하고,‘용’ 은 일상생활에서 바람직한 행위를 반복하여 그 전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습성을 길들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서양 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중용이 양극단의 중간대로 살아가는 습성을 기르는 것이라고 본다. 예컨대 위험한 상황에서 무조건 피하고 보는 비겁과 앞뒤 가리지않고 덤비는 무모와 달리 용기가 중용이라고 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중용’은 이런 것이다. 용기(courage)는 비겁(cowardice)와 만용(rashness)의 중용이며, 너그러움(liberty)는 낭비(prodigality)와 인색(meanness)의 중용이며, 기지(ready wit)는 익살(buffoonery)과 아둔(boorishness)의 중용이며, 긍지(proper pride)는 허영(vanity)와 비굴(humil ity)의 중용이며, 겸손(modesty)는 수줍음(bashfulness)과 몰염치 (shamelessness)의 중용이다. 

요즈음 세태가 하도 흉흉하고 지나친 흑백 논리로 상대를 매도하고 있어 더욱 중용의 미덕이 필요한 시대라고 본다. 

그렇다고 흰색도 아닌, 그런다고 흑색인 것도 아닌 애매함 회색을 중용이라고 보지 않는다. 두 극단 중에 하나는 더 잘못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덜 잘못된 것이다. 그래서 중간을 맞추기가 어렵다. 

어느 한 쪽에 치우쳐 부화뇌동(附和雷同)하는 것이 아니라, 비록 반대 의견일지라도 충분히 듣고 자기 논리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용기가 바로 중용이 아닌가 싶다. 

참고로, 중용의 흔적은 우리 궁궐 대문에 남아 있다. 서울 창덕궁의 대문의 이름인 돈화문은 ‘대덕돈화(大德敦化)’에서 온 것이며, 남대문의 이름인 숭례문은 ‘돈후이숭례(敦厚而崇 禮)’의 마지막 두 글자이며, 정도전이 그 이름을 짓고 양녕대군이 현판 글씨를 썼다.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252 | 3시간전
이번 칼럼부터는 뉴질랜드 의대 특집으로 연재하여 보고자 한다.의대 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심상치 않은 요즘, 뉴질랜드도 예외가 아니다. 또한 전문직에 대한 직업 안… 더보기

TMI TMI

댓글 0 | 조회 289 | 19시간전
요 며칠간 정원일을 좀 하다보니 얼굴이 꽤 많이 그을렸습니다. 선크림 바르라는 아내의 말을 귓등으로 스쳐들으며 ‘나는야~ 자연인~’을 흥얼거리더니만.. 댓가를 톡… 더보기

수도에서 흙탕물이 나와요!

댓글 0 | 조회 434 | 1일전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작년 큰 홍수로 비 피해를 입은 후, 갑작스러운 폭우가 내리면 마음이 불안해지시죠? 지붕에서 물이 떨어지고, 게러지로 물이 … 더보기

생각만 해도 기쁜 날

댓글 0 | 조회 190 | 1일전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파카 만년필로 손 편지를 써 보내고 싶고아저씨용 삼천리자전거로 동네를 돌고 싶고엿장수 가위소리에 병 하나 들고 나가 엿 한 가락과 바꾸고 싶… 더보기

남은 인생 10년

댓글 0 | 조회 303 | 1일전
마츠리(Matsuri; まつり)가 ‘이름도 몰라요, 성도 몰라’인 그녀를 소환했다. 긴 머리가 치렁치렁하고 앞머리는 이마를 덮을 만큼 동그랗게 자른 것이 눈썹위에… 더보기

6월의 북쪽 하늘을 바라보며 . . .

댓글 0 | 조회 196 | 1일전
계절은 한치의 어김이 없어 또 다시 6월을 맞이하게 되었다.우기(雨期)다운 질척한 겨울이여서 더 음산하고 어두운 나의 6월이다.“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 날을.… 더보기

반복적인 행동을 하거나 불안감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237 | 1일전
과거에 비해 무척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 사회 안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며 우리는 때로 무언 가에 쫓기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이처럼 사회가 복… 더보기

균형을 향해 가는 시간 화엄사의 공양

댓글 0 | 조회 103 | 1일전
구례 화엄사의 적멸보궁에 이르면 네 마리의 사자가 지키고 선 보물 제35호 4사자 삼층석탑을 만날 수 있다. 사자가 지키는 석탑의 중심에는 누군가가 합장을 한 채… 더보기

지피지기 백전백승, 파트너쉽 영주권

댓글 0 | 조회 632 | 2일전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의 파트너 자격으로 영주권을 신청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는 차고도 넘칩니다. 이 쪽 말이 맞는 것 같기도 하고 저 … 더보기

10. 소장 내에 곰팡이와 세균이 득실거린다고…

댓글 0 | 조회 539 | 2일전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소장에는 낮은 밀도의 세균이 발견된다. 그것도 주로 유익균들이 발견된다. 그러나 어떠한 사유로 소장 내에서 곰팡이나 유해균이나 단세포 … 더보기

비즈니스파트너와 피고용인의 경계

댓글 0 | 조회 324 | 2일전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이 비즈니스파트너 또는 동업자와 같이 사업을 하는 경우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파트너가 있으면 자산을 함께 모아서 더 큰 … 더보기

가난한 사랑의 노래

댓글 0 | 조회 152 | 2일전
시인 신 경림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너와 헤여져 돌아오는눈 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가난하다고 해서 두려움이 없겠는가두 점을 치는 소리… 더보기

커피만 마시며 사는 아주머니 이야기

댓글 0 | 조회 511 | 2일전
인간은 마음이 몸을 지배합니다. 어느 정도만 공부가 되어도 마음의 힘이 어떻다는 것을 압니다. 인간의 마음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아는 것이지요.마음 한 번 삐끗 잘… 더보기

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댓글 0 | 조회 997 | 6일전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암(癌)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가 추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6월 6일 보도했다. 한편 노지… 더보기

9. 장내 유익균들을 소멸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의외의 것들

댓글 0 | 조회 1,094 | 9일전
장내 미생물들이 사람의 정신건강이나 신체 건강과 매우 밀절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이미 말해왔다. 장내 미생물의 건강한 환경과 상태가 나의 건강과 일치한다. 그런데… 더보기

의사결정 취약자를 위한 법률 재심의

댓글 0 | 조회 253 | 9일전
어떤 사람이 치매나 뇌졸중 또는 학습장애 등으로 의사결정 능력이 없으면, 생활상의 중요한 결정들을 적법하게 처리하기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의료 치료에 대한 …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978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호흡으로 명이 길어질 수 있어

댓글 0 | 조회 483 | 2024.06.12
호흡의 길이와 명(命)의 길이는 관계가 있습니다. 요즘 호흡과 수명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더군요. 연구에 따르면 호흡의 길이와 동물의 수명은 상… 더보기

이 한 그릇의 마음으로 쉬어가기를

댓글 0 | 조회 371 | 2024.06.12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서 듣는동화 스님의 행복한 사찰음식 이야기‘행복으로 가는 길은 없다. 행복이 곧 길이다’동화 스님의 수업을 듣고 있자면 불가의 격언이 떠오른다… 더보기

2024 예산의 새로운 세율 기준

댓글 0 | 조회 1,364 | 2024.06.12
뉴질랜드 정부는 2024 예산을 발표하면서 소득 구간을 조정하여 $25.7억 뉴질랜드 달러의 세율 감면에 관한 핵심 선거 약속을 이행했습니다.소득 구간을 조정하여…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댓글 0 | 조회 428 | 2024.06.12
지난 한 달 동안, 리커넥트는 Henderson High School 에서 “Care to Self-care?” 프로젝트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리커넥트는 주기적으… 더보기

비 오는 날 이성계 능 앞에서

댓글 0 | 조회 338 | 2024.06.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비 오는 날동구릉 이성계 능 앞에 섰다능 위로 무성한 억새는아직도 그대의 뛰는 심장 소리를허공에 흩 뿌리고한 나라를 뒤엎은 결기새로운 나라를… 더보기

8. 설탕과 술이 지닌 위대한 마력들

댓글 0 | 조회 427 | 2024.06.11
원래 사람은 씨 맺는 모든 채소(허브 또는 푸성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식량으로 주셨다고 성경에는 적혀있다. 씨맺는 채소류, 허브류, 더 나아가 곡… 더보기

‘큰 북한’으로 변해가는 러시아

댓글 0 | 조회 410 | 2024.06.11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페이스북은 북한에서도 러시아에서도 차단돼 있지만, 주북 러시아 대사관은 여전히 페이스북 계정을 운영한다. 이 계정을 오랫동안 열심히 보면서… 더보기

낙타와 낙타풀

댓글 0 | 조회 122 | 2024.06.11
시인: 송 재학세상의 모든 낙타들은 다 길들여졌으나고비 사막 어딘가야생 낙타가 남아 있다고 한다신기루 따라 걷는 야생 낙타는 타박타박,그 소리는 사막아래의 지하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