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肥滿)의 사회경제적 비용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비만(肥滿)의 사회경제적 비용

0 개 1,332 박명윤

5537e001756bbdb115bceb46e58c1ad1_1548475661_7335.jpg
 

우리가 가난했던 시절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배가 불뚝 나온 것을 ‘사장님 배’ 라고 부르면서, 비만이 부(富)의 상징이기도 했다. 朴正熙(1917-1979) 대통령이 주도한 경제개발로 집안 살림이 풍족해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비만 인구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한 마디로 많이 먹고 덜 움직여 생기는 병이다. 

 

세계적으로 소아ㆍ청소년의 2형 당뇨병(糖尿病) 발병의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매년 2.3%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소아와 청소년 비만율이 증가하는 만큼 2형 당뇨병 위험도 올라가고 있다. 대개 소아와 청소년은 췌장(膵臟)의 문제로 인슐린(insulin)이 생성되지 않는 1형 당뇨병만 걸린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육류와 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고 활동량이 적은 생활습관으로 인하여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2형 당뇨병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어릴 때부터 비만이 되지 않도록 생활습관을 잘 관리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비만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연구 결과를 12월 10일에 발표했다. 이 연구는 2003-2004년 일반건강검진 수검자 중 비만관련 질병에 대한 과거력이 없는 1009만125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2016년 기준 건강보험 검진ㆍ자격ㆍ진료내역 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연계하여 연구를 했고, 병ㆍ의원 및 약국에 지출되는 의료비를 비롯해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부대비용 등 직접의료비와 조기사망 및 생산성 손실 및 저하로 인한 간접비용을 합한 총 비용으로 추계했다. 

 

한국인이 비만으로 인해 지불하는 사회경제적 손실 규모는 2016년 기준 1년간 11조4679억원으로 조사됐다. 즉, 의료비(병원비, 약값)가 절반이 넘는 51.3%로 5조8858억원, 업무생산성 저하 2조3518억원, 업무 공백에 따른 손실(의료기관 방문 등) 1조4976억원, 조기사망(早期死亡)에 따른 미래소득 손실 1조1488억원, 간병비 4898억원, 교통비 940억원 등이다. 비만으로 인한 의료비의 경우, 2013년 4조4000억원에서 2016년 5조9000억원으로 1조5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비만에 기인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에 대한 성별 비중은 남자가 56.6%(6조4905억원), 여자는 43.4%(4조9774억원)을 기록해 남자가 여자에 비해 1.3배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비중은 50대가 3조4370억원(26.8%)으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60대 2조4349억원(21.2%), 40대 2조908억원(18.2%), 70대 1조8272억원(15.9%), 30대 9051억원(7.9%), 80대 이상 8390억원(7.3%), 20대 이하 3003억원(2.6%) 순으로 나타났다.  

 

질병군별로 손실비중은 전체 사회경제적 비용 중 손실규모가 가장 큰 것은 당뇨병에 의한 비용으로 22.6%(2조624억원), 고혈압 21.6%(1조9698억원), 허혈성심장질환 8.7%(7925억원), 관절질환 7.8%(7092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비만관련 1인당 진료비는 전라남도 337,844원, 전라북도 324,980원, 부산광역시 315,820원, 강원도 306,650원 순으로 지출 비용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특별시로 251,762원이며, 전체 평균은 278,120원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肥滿)은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疾病)으로 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규정한 이래로 인류가 극복해야 할 중요한 질병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비만(obesity)이란 단순히 체중(體重)이 많이 나가는 것을 의미하기보다 체내에 과다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體脂肪)이 쌓여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비만인 경우 체중이 많이 나가지만 비만이 아니더라도 근육(筋肉)이 많은 사람은 체중이 많이 나갈 수 있다. 

 

비만의 원인은 섭취하는 열량에 비해 소비 에너지가 적을 때 여분의 에너지가 체지방의 형태로 몸에 축적되는 현상이다. 즉, 음식물을 먹은 것에 비해 활동이 부족할 때 생긴다. 또 비만은 다양한 신경내분비학적 물질들과 에너지 대사에 관련되는 여러 요소들의 이상이 유전적 또는 현상적으로 복잡하게 연관되어 나타난다. 이에 불규칙한 식습관, 과다한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내분비계통 질환, 유전적 요인, 정신적 요인, 약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비만 진단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생체전기저항측정법(BIA: bioimpendence analysis), 허리둘레기준, 내장지방기준 등으로 진단한다. 체질량지수(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말하며, 신장에 비해 체중이 적당한지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근육과 지방량을 구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동양인의 BMI 기준은 23.0-24.9 과체중, 25-29.9 비만, 30 이상 고도비만이지만, 서양인은 30 이상을 비만으로 본다. 

 

생체전기저항측정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 결과 체지방율이 여성의 경우 30% 이상, 남성은 25% 이상을 비만이라고 한다. 허리둘레기준은 전신비만 이외에 복부비만을 진단하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동양인 남성의 경우 90cm 이상, 여성은 85cm 이상을 복부비만이라고 한다. 복부비만을 분석하기 위한 정밀한 수단으로 복부 CT촬영을 들 수 있으며, CT를 이용한 내장지방 측정이 가장 정확하다. 

 

내장지방형 비만(內臟脂肪形肥滿, intra-abdominal fat accumulated obesity)이란 지방이 복강 안쪽의 내장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비만형을 말한다. 대개 비만을 상박이나 넓적다리, 엉덩이 등에 지방이 붙은 피하지방형을 말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복부의 장기 사이 장간막 부분에 지방이 축적되는 내장지방형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내장지방이 많을수록 당뇨병, 고혈압, 심장병 등의 합병증이 많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만의 증상은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 숨찬 증상, 관절통, 각종 합병증에 의해 매우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비만한 사람은 정상체중인 사람보다 2배 이상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이는 주로 혈관동맥경화를 통한 심혈관질환에 의한 것이다. 또한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담석증, 수면무호흡증, 생리불순, 난소질환, 불임증, 성욕감퇴, 우울증, 퇴행성관절염, 통풍 등과 관련이 있다. 또한 대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등이 생길 위험성도 증가한다. 

 

치료는 비만과 연관되어 있는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를 말한다. 비만의 대부분은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생활습관의 변화가 기본이다. 즉,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식사량은 줄이고, 운동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식이요법이 중요하므로 평소에 섭취하던 열량보다 500kcal 정도를 덜 섭취하도록 한다. 하루 총 섭취 칼로리에서 500kcal를 줄이면 체중을 1주일에 약 0.5kg 감소할 수 있다. 약물로 비만을 치료하기도 한다. 사용되는 약물은 크게 식욕(食慾)억제제와 지방(脂肪)의 흡수를 저해하는 약으로 나눌 수 있다. 

 

비만 예방을 위하여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 시간을 별도로 내기 어려운 경우에는 일상생활에서 활동량을 최대한 늘리도록 한다. 즉 가까운 거리는 걸어 다니고, 승강기 대신 계단을 이용하도록 한다. 식이요법과 운동요법과 더불어 행동요법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매일 체중을 측정하면서 비만 탈피 의욕을 다지고, 과식을 피하기 위해 작은 접시를 사용하고 간식을 먹지 않도록 한다. 

 

건강의 적(敵)인 내장지방(內臟脂肪)을 태우려면 저녁식사와 아침식사 사이 12시간 이상 공복(空腹)을 유지해야 하므로 야식(夜食)은 금물이다. 내장지방이란 혈액 속으로 지방산(脂肪酸)이 빠져나와 심장, 뇌혈관에 쌓이며, 지방 세포 사이에 염증세포가 끼어들어가 염증(炎症) 물질을 분비한다. 피하지방(皮下脂肪)은 내장지방만큼 치명적인 위험은 없다. 

 

단식을 하면 혈당과 인슐린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서 지방 대사가 합성 모드에서 분해 모드로 바뀐다. 보통 단식 후 12시간이 지나야 지방 대사가 시작되므로 저녁식사와 아침식사 사이 12시간 공복을 유지하여야 한다.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사람은 지방 대사가 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더 길게 단식해야 한다. 

 

비만은 그 자체의 문제보다는 비만으로 인한 각종 합병증이 훨씬 더 무섭다. 한국인 30-50대가 비만으로 인한 총 손실의 52.9%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생산가능인구의 건강을 저해하고, 만성질환 진료비 증가에 기여하고 있으므로 비만관리 대상의 우선순위 설정 시 고려해야 할 연령층이다.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적극 추진하여야 하며, 일반 국민들이 비만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비만예방에 적극 동참하도록 하여야 한다.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607 | 11시간전
이번 칼럼부터는 뉴질랜드 의대 특집으로 연재하여 보고자 한다.의대 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심상치 않은 요즘, 뉴질랜드도 예외가 아니다. 또한 전문직에 대한 직업 안… 더보기

TMI TMI

댓글 0 | 조회 353 | 1일전
요 며칠간 정원일을 좀 하다보니 얼굴이 꽤 많이 그을렸습니다. 선크림 바르라는 아내의 말을 귓등으로 스쳐들으며 ‘나는야~ 자연인~’을 흥얼거리더니만.. 댓가를 톡… 더보기

수도에서 흙탕물이 나와요!

댓글 0 | 조회 444 | 2일전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작년 큰 홍수로 비 피해를 입은 후, 갑작스러운 폭우가 내리면 마음이 불안해지시죠? 지붕에서 물이 떨어지고, 게러지로 물이 … 더보기

생각만 해도 기쁜 날

댓글 0 | 조회 193 | 2일전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파카 만년필로 손 편지를 써 보내고 싶고아저씨용 삼천리자전거로 동네를 돌고 싶고엿장수 가위소리에 병 하나 들고 나가 엿 한 가락과 바꾸고 싶… 더보기

남은 인생 10년

댓글 0 | 조회 311 | 2일전
마츠리(Matsuri; まつり)가 ‘이름도 몰라요, 성도 몰라’인 그녀를 소환했다. 긴 머리가 치렁치렁하고 앞머리는 이마를 덮을 만큼 동그랗게 자른 것이 눈썹위에… 더보기

6월의 북쪽 하늘을 바라보며 . . .

댓글 0 | 조회 201 | 2일전
계절은 한치의 어김이 없어 또 다시 6월을 맞이하게 되었다.우기(雨期)다운 질척한 겨울이여서 더 음산하고 어두운 나의 6월이다.“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 날을.… 더보기

반복적인 행동을 하거나 불안감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238 | 2일전
과거에 비해 무척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 사회 안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며 우리는 때로 무언 가에 쫓기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이처럼 사회가 복… 더보기

균형을 향해 가는 시간 화엄사의 공양

댓글 0 | 조회 106 | 2일전
구례 화엄사의 적멸보궁에 이르면 네 마리의 사자가 지키고 선 보물 제35호 4사자 삼층석탑을 만날 수 있다. 사자가 지키는 석탑의 중심에는 누군가가 합장을 한 채… 더보기

지피지기 백전백승, 파트너쉽 영주권

댓글 0 | 조회 640 | 2일전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의 파트너 자격으로 영주권을 신청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는 차고도 넘칩니다. 이 쪽 말이 맞는 것 같기도 하고 저 … 더보기

10. 소장 내에 곰팡이와 세균이 득실거린다고…

댓글 0 | 조회 547 | 2일전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소장에는 낮은 밀도의 세균이 발견된다. 그것도 주로 유익균들이 발견된다. 그러나 어떠한 사유로 소장 내에서 곰팡이나 유해균이나 단세포 … 더보기

비즈니스파트너와 피고용인의 경계

댓글 0 | 조회 327 | 3일전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이 비즈니스파트너 또는 동업자와 같이 사업을 하는 경우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파트너가 있으면 자산을 함께 모아서 더 큰 … 더보기

가난한 사랑의 노래

댓글 0 | 조회 154 | 3일전
시인 신 경림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너와 헤여져 돌아오는눈 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가난하다고 해서 두려움이 없겠는가두 점을 치는 소리… 더보기

커피만 마시며 사는 아주머니 이야기

댓글 0 | 조회 513 | 3일전
인간은 마음이 몸을 지배합니다. 어느 정도만 공부가 되어도 마음의 힘이 어떻다는 것을 압니다. 인간의 마음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아는 것이지요.마음 한 번 삐끗 잘… 더보기

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댓글 0 | 조회 1,001 | 6일전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암(癌)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가 추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6월 6일 보도했다. 한편 노지… 더보기

9. 장내 유익균들을 소멸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의외의 것들

댓글 0 | 조회 1,096 | 10일전
장내 미생물들이 사람의 정신건강이나 신체 건강과 매우 밀절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이미 말해왔다. 장내 미생물의 건강한 환경과 상태가 나의 건강과 일치한다. 그런데… 더보기

의사결정 취약자를 위한 법률 재심의

댓글 0 | 조회 256 | 10일전
어떤 사람이 치매나 뇌졸중 또는 학습장애 등으로 의사결정 능력이 없으면, 생활상의 중요한 결정들을 적법하게 처리하기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의료 치료에 대한 …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979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호흡으로 명이 길어질 수 있어

댓글 0 | 조회 485 | 2024.06.12
호흡의 길이와 명(命)의 길이는 관계가 있습니다. 요즘 호흡과 수명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더군요. 연구에 따르면 호흡의 길이와 동물의 수명은 상… 더보기

이 한 그릇의 마음으로 쉬어가기를

댓글 0 | 조회 371 | 2024.06.12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서 듣는동화 스님의 행복한 사찰음식 이야기‘행복으로 가는 길은 없다. 행복이 곧 길이다’동화 스님의 수업을 듣고 있자면 불가의 격언이 떠오른다… 더보기

2024 예산의 새로운 세율 기준

댓글 0 | 조회 1,368 | 2024.06.12
뉴질랜드 정부는 2024 예산을 발표하면서 소득 구간을 조정하여 $25.7억 뉴질랜드 달러의 세율 감면에 관한 핵심 선거 약속을 이행했습니다.소득 구간을 조정하여…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댓글 0 | 조회 430 | 2024.06.12
지난 한 달 동안, 리커넥트는 Henderson High School 에서 “Care to Self-care?” 프로젝트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리커넥트는 주기적으… 더보기

비 오는 날 이성계 능 앞에서

댓글 0 | 조회 340 | 2024.06.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비 오는 날동구릉 이성계 능 앞에 섰다능 위로 무성한 억새는아직도 그대의 뛰는 심장 소리를허공에 흩 뿌리고한 나라를 뒤엎은 결기새로운 나라를… 더보기

8. 설탕과 술이 지닌 위대한 마력들

댓글 0 | 조회 427 | 2024.06.11
원래 사람은 씨 맺는 모든 채소(허브 또는 푸성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식량으로 주셨다고 성경에는 적혀있다. 씨맺는 채소류, 허브류, 더 나아가 곡… 더보기

‘큰 북한’으로 변해가는 러시아

댓글 0 | 조회 411 | 2024.06.11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페이스북은 북한에서도 러시아에서도 차단돼 있지만, 주북 러시아 대사관은 여전히 페이스북 계정을 운영한다. 이 계정을 오랫동안 열심히 보면서… 더보기

낙타와 낙타풀

댓글 0 | 조회 124 | 2024.06.11
시인: 송 재학세상의 모든 낙타들은 다 길들여졌으나고비 사막 어딘가야생 낙타가 남아 있다고 한다신기루 따라 걷는 야생 낙타는 타박타박,그 소리는 사막아래의 지하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