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칼럼 | 지난칼럼 |
최근 19세기 말 인천을 배경으로하는 소설책을 읽다 ‘가비’라는 단어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상류층의 초대를 받는 자리에 주인공은 ‘가비’를 대접 받는 장면있다. 바로 커피를 지칭한 것이다.
커피는 이렇게 한국에 가비라는 한자식 이름으로 소개되었고 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바로는 구한말 청나라를 통해 서양문물이 들어오면서 외국인들의 왕래가 늘어났고 임오군란 이후엔 미국, 영국등 서양의 외교사절이 들어오면서 그 외교관들이 조선왕실과 귀족들에게 커피를 진상했다고 한다. 처음 한국에 커피가 들어왔을 때인 1890년 전후에는 커피를 가배 혹은 가비, 그리고 양탕(洋湯)국 으로 불렀다. 가배차나 가비차는 커피의 영어 발음을 따서 붙인 것이고 일반 민가에서 불렸던 양탕국은 커피의 색이 검고 쓴맛이 나는 것이 마치 한약탕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고종이 가배차, 가비차라 부르며 커피를 애호한 것은 유명한 이야기이다. 운 좋은 서민들은 보약을 빼다박은 색에 잠을 쫓아준다는 양탕국을 맛보기도 했지만 커피가 적게나마 대중화하기 시작한 것은 일제 점령기인 1920년대라고 한다. 100년이 지난 오늘 대한민국 국민의 일일 커피 소비는 평균 1.2잔이라는 통계가 나왔다. 일년이면 438잔을 마시는 셈이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가 물 다음으로 많이 소비하는 음료가 커피라고 한다. 커피 사랑은 이곳 뉴질랜드도 예외가 아니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커피를 즐기는 사람들을 우리는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한국인에게는 봉지커피로 대표되는 인스탄트 커피를 식후에 찾는 것이 너무나도 자연스럽다. 아무리 원두커피의 진한 향과 맛에 익숙해져 있더라도 가끔은 달달한 봉지커피 한잔이 유독 생각나는 때가 있다.
음식과 음료 등의 취향이 저마다 다르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왜 발생하는 것인지는 명확히 알지 못한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사람이 쓴맛과 단맛을 원하는 것은 미각 유전자가 아닌 정신 상태에 작용하는 유전자의 영향 때문인것으로 나타났다. 술을 포함한 여러 음료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사람은 기분이 좋아지기 때문에 쓴 음료를 마시는 것이지 그 ‘맛’을 좋아해 커피나 술을 마시는 것이 아니다”로 결론 내렸다.
잘 볶아낸 원두향 가득한 따끈한 커피 한잔이 주는 행복감은 굳이 커피 매니아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느껴봤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왜 커피는 사람의 기분을 좋아지게 하는 것일까? 일차적으로 커피의 주성분인 카페인 때문일 것이다. 카페인은 뇌에 흡수가 잘 되며 뇌의 여러 부분을 자극하여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커피가 대중의 사랑을 받는 또 다른 큰 이유는 커피 한잔의 여유이다.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커피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일상의 큰 쉼표다. 혼자 즐기는 커피도 좋고 타인과 함께 하는 커피도 좋다. 가끔 드라마에서 커피를 앞에 두고 이별을 통보하는 장면은 예외로 하기로 하자.
경험상 외로운 독거 노인분들에게 커피한잔이 가져다 주는 의미는 남다르다. 커피가 기분을 좋게 해주는 음료여서라기 보다 누군가 커피를 매개로 함께 시간을 보내 주는 것이 바로 기분을 좋게 해주기 때문이다. 최근 우울증이 악화된 할머니를 찾아 도움을 드린일이 있었다. 가족이 없은 이분은 일주일에 한 번씩 똑같은 카페에 가서 비슷한 연배의 친구들과 커피를 즐기는 것이 큰 즐거움이었다. 그러나 코로나 봉쇄기간 동안 당연히 이 즐거움을 누릴 수 없었다. 게다가 그 한두달 사이 건강이 나빠져서 거동까지 불편해 지니 이제 더 이상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 꽃을 피우며 시간을 같이 한다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다행히 독거 노인 방문 봉사자를 연결하여 아쉬운대로 홈카페(?)에서 커피 한잔의 즐거움을 유지해 나가실 수 있게 되었다.
의학적으로 커피의 효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다. 골다공증 위험을 높힌다는 주장부터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파킨슨씨 병에도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우리 각자는 누구나 유전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쪽 의견에 편향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밀가루도 감기약인 줄 알고 먹으면 감기가 낫는다는 속설도 있으니 말이다.
오랜동안 시간 내기 어려워 차일피일 만남을 미뤄 두었던 지인에게 이번 주말에는 꼭 “가비 한잔 하실래요?” 라고 물어봐야 겠다.
<새움터 장요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