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칼럼 | 지난칼럼 |
매년 10월 29일은 세계건선협회연맹(IFP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Psoriasis Associations)이 지정한 세계 건선의 날(World Psoriasis Day)이다. 2004년에 처음 시작된 ‘세계 건선의 날’은 건선(乾癬) 질환에 대한 편견과 오해로 일상생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세계 약 1억2500만명의 건선 환자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건선 유병률은 서양인에서는 약 3% 정도이며, 동양인에서는 1% 내외로 추산된다. 이에 국내 건선(질병코드 L40) 환자는 50만명 내외이다. 그러나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건선으로 진료를 받은 건강보험 환자 수는 최근 5년(2014-2018)간 16만명 선(2018년 163,531명)을 유지 했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1.4배 이상 많았다. 최근 우리나라 건선 유병률은 한창 사회생활에 활발해야 할 20대, 10대, 30대 순으로 비교적 젊은 층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환자 1인당 진료비는 5년간 26만원에서 41만원으로 증가했다.
대한건선학회(乾癬學會, Korean Society for Psoriasis)는 건선관련 연구와 치료환경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건선환자들이 전문의와 함께 제대로 된 치료를 이어갈 수 있는 사회적 환경조성을 위해 학회차원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건선 질환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건선에 대한 편견(偏見) 극복을 위해 대국민 건강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학회는 일반인 및 건선 환자들을 위해 질환정보를 상세히 접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개편했다.
대한건선협회(乾癬協會, Korea Psoriasis Association)가 창립 20주년을 맞아 만 10세 이상의 건선 환자 6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2019)를 실시했다. 설문에 참여한 건선 환자들의 42%는 경증(건선 환부 크기가 손바닥 3개미만), 33%가 중등증(건선 환부 크기가 손바닥 3-10개), 25%는 중증(환부 크기가 손바닥 10개 이상)이었다.
건선으로 인해 어떤 어려움을 느끼는지 묻는 질문에 공중시설 이용(수영장, 찜질방 등)이라고 응답한 환자들이 24%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직장 및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느낀다가 21%,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낀다가 20%로 나타났다. 이는 건선환자들이 질환으로 인한 고충과 함께, 건선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 기인한 사회적 차별의 고충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건선 치료 환경에 대한 어려움이나 제약(制約)에 대해서는 치료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으며, 1순위 응답이 32%, 1-2순위 응답은 54%가 넘었다. 생물학적 제제 산정 특례 엄격한 기준(1순위 26%, 1-2순위 42%)과 치료비 부담(1순위 12%, 1-2순위 31%)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치료제에 대한 정보 부족도 어려움으로 꼽혔다.
건선 환자들이 현재 받고 있는 치료법으로는 바르는 약(연고제)이 58%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는 광선 치료(23%), 대체의학(21%), 생물학적 제제(19%), 먹는 약(16%) 순으로 나타났다. 피부 개선 효과가 좋은 생물학적 제제는 고가(高價)로 중증 환자에게 급여되고 있다. 대다수 건선 환자들은 깨끗하게 개선된 피부가 장기간 유지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로 두고 있다.
건선(乾癬)이란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볼록한 반점)이나 판으로 주로 구성된 발진(發疹)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조직 검사상 표피(表皮)의 증식과 진피(眞皮)의 염증이 특징이다. 한번 걸리면 10-20년은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일시적으로 좋아지더라도 평생 재발 가능성이 있다.
건선은 피부에 작은 좁쌀 같은 발진이 생기면서 그 위로 새하얀 비듬 같은 각질이 겹겹이 쌓이는 만성 피부병이다. 좁쌀 같은 발진은 주위에서 발생할 새로운 발진들과 서로 뭉쳐지거나 커지면서 주위로 퍼져 나간다. 이에 많이 퍼지는 경우에는 전신의 거의 모든 피부가 발진으로 덮이기도 한다. 건선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데 때로는 저절로 조금씩 좋아지기고 한다.
건선은 통상적으로 무릎과 팔꿈치에 가장 많이 생기며, 그 다음으로 엉덩이나 팔, 다리 및 몸의 다른 부위에 생기며 손, 발 등에 생긴다. 손발톱 무좀과 유사한 변형이 손발톱에 나타나기도 하며, 관절염(關節炎)이 발생하기고 한다. 건선은 가려움증이 동반되기도 하지만, 습진 등의 다른 피부병에 비해서 심하지 않은 편이다.
건선은 특징적인 피부 발진의 모양, 생긴 부위, 병의 경과와 병력 등을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건선은 임상적인 양상으로 진단이 내려지는 경우도 많으나 병변을 3-6mm 정도 떼어내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확진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건선은 만성질환이므로 대개 질병 초기에 확진을 위해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건선의 원인은 피부에 있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활동성이 증가되어 그 결과 분비된 면역 물질이 피부의 각질세포를 자극하여 각질세포의 과다한 증식과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피부세포가 빠르게 자라나고 정상적인 분화에 장애가 발생되어 피부 위에 비듬 같은 각질이 겹겹이 쌓이게 된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건선은 면역이 약해져서 생기는 질환이라 오해하고 있지만 오히려 비정상적으로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이 발생하는 이유는 분명치 않지만 면역 관련 유전자 이상이 어느 정도 관여한다고 여긴다. 건선은 잠시 증상이 호전된다고 하더라도 치료를 임의로 중단하거나 대체의학 등에 의존하게 된다면 어느 새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건선은 당뇨병,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들과 같이 증상을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건선 환자의 평균 유병기간을 약 9년이며, 3차 의료기관에서는 20년 이상 건선으로 고통을 받는 환자들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됨에 있어서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약물, 피부 자극, 건조, 상기도 염증,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경우에 따라 감기를 앓고 나서 혹은 약을 잘못 복용한 후 전신에 작은 반점이 갑자기 번지는 경우도 있다.
건선 환자에게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동반질환으로 건선성 관절염(關節炎)을 꼽을 수 있다. 건선환자 중 11.2%에서 관절염을 겪으며, 이들 환자들의 70%는 유병기간이 약 10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선성 관절염은 장기간 방치할수록 관절의 모양이 영구적으로 변형되거나 통증이 만성화 될 수 있다.
건선 환자의 약 10% 가량은 손발바닥에 무균성 농포(고름이 동반된 물집)와 함께 붉은색 반점이 나타나는 손발바닥 농포증으로 고생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지방간 등의 만성질환이 동반되기도 한다. 특히 50세 이상 남성에서 건선 유병기간이 길수록, 중증도가 심할수록 대사증후군 동반 빈도가 높아진다.
심혈관계 질환인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같은 경우는 건선환자가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그 발생 위험도가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건선의 증상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 외에도 동반질환 위험을 인식하고 증상이 나타났을 때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건선 치료는 환자의 증상에 따라 나뉘며, 크게 바르는 약, 광선 치료, 경구 약, 생물학적 제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증상이 가벼우면 바르는 약치료를 먼저 진행하고, 효과가 없으면 광선치료를 진행한다. 광선치료는 임산부와 어린이도 치료받을 수 있을 정도로 안전하다. 광선치료에도 듣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등 면역조절제를 복용하게 된다. 이런 모든 치료법이 듣지 않거나 면역조절제를 장기간 복용해 부작용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한다.
최근 10-20년 사이 건선 발병 기전이 많이 밝혀졌다. 즉 면역 단백질인 인터류킨(interleukin) 17과 인터루킨 23이 염증을 유발하는 주요 물질이라는 것이 알려져, 이 물질을 조절하는 것이 건선 치료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인터루킨 억제제 등 생물학적 제제는 효과가 좋고, 간편하고, 면역조절제 복용 대비 오래 사용할 수 있지만 가격이 비싸고 신약이라 10-20년 이후 데이터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다.
인터루킨(IL) 억제제 출시 이전 건선 치료의 목표는 증상이 75% 정도 호전되는 것을 목표로 했다면, 인터루킨 억제제가 등장하면서 90% 이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생물학적 제제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인 T세포에 영향을 주는 약물이므로 반드시 중증환자에게만 사용돼야 한다. 미국, 유럽에서는 생물학적 제제 투여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관리하고 있다.
건선은 단순 피부질환이 아니라 면역 체계에 이상이 생긴 것이기 때문에 전신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환자들은 전신 염증으로 인해 건선성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 대사증후군 같은 이차적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예전에는 건선은 난치 질환이었지만 최근에는 생물학적 제제 같은 새로운 신약들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중증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관절염, 심근경색 같은 이차 질환을 막을 수 있다.
건선 관절염은 척추, 손가락, 손목, 팔꿈치, 발뒤꿈치, 무릎 등 인대(靭帶)가 닿은 자리에 잘 생긴다. 특히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부위는 손가락이므로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가락이 잘 붓거나, 손가락에 뻐근함이 느껴지거나, 손가락 전체가 소시지처럼 부었다면 전문의 진료를 받아봐야 한다. 건선으로 손발톱 변형이 일어난 환자에서 관절염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선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꾸준히 치료하며 조절하는 질환이다. 증상이 일시 호전됐다고 해서 전문의와 상의 없이 치료를 중단하거나 민간요법으로 전환하면 병을 더 키워서 다시 병원에 오는 경우가 많다. 건선을 유발하는 환경 요인으로 춥고 건조한 날씨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보습제를 충분히 바르고, 실내에서는 습도와 온도 조절을 잘 해야 한다.
흡연(吸煙)과 비만(肥滿)도 건선을 악화시키므로 금연(禁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영양 성분이 골고루 들어간 식단으로 체중조절을 하여 비만을 예방하여야 한다. 건선 환자는 피부에 마찰 또는 긁어서 상처를 입는 경우 상처 부위에 새로운 병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피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안다. 이에 목욕 시에도 과도하게 때를 밀지 않도록 한다. 평소 규칙적인 생활로 스트레스를 줄여야 한다.
건선은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는 비전염성 만성 피부질환이다. 툭하면 재발하는 만성질환이지만 관리만 꾸준히 하면 충분히 완치에 가까운 증상 개선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절한 치료를 받고 건선을 유발하는 요인을 피해 재발을 막아야 한다.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면 재발한다는 것과 정신적 스트레스도 건선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일반인들은 건선은 전염병(傳染病)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고 건선환자를 차별하지 않도록 행동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