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 한국인 (下)

뉴질랜드의 한국인 (下)

0 개 7,461 JJW
통계청이 실시한 ‘2013 인구조사’의 한국인 관련 자료 가운데 마지막으로 가구와 주택 등에 대한 관심가는 내용을 소개한다. 

가구
자녀가 있는 부부 가족 형태가 67.9%로 한인의 가장 많은 가족 유형이었다. 부부와 그들의 미혼자녀 이외에 더 넓은 범위의 친족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가족은 12.2%로 뉴질랜드 전체(11.7%)보다 높았지만 아시아인 평균(22.1%)보다는 낮았다. 18세 미만이면서 풀타임으로 고용되지 않은 부양아동 수가 6,930명으로 조사된 가운데, 그들의 77.1%는 양부모가 있는 가정에서 살고 있었고 나머지 22.9%는 편부모 가정에서 살고 있었다. 

■ 가구 구성 
fo 1.jpg

■ 가족 유형 
fo 2.jpg

주택
한인의 30.9%인 7,485명이 주택을 완전 또는 부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6년 인구조사 때의 37.1%에 비해 낮아진 수치이다. 45~54세 연령대가 36.4%로 가장 높은 주택소유율을 보였다. 렌트로 살고 있는 한인은 46.9%인 1만3,251명으로 2006년 39.8%에 비해 늘었다. 이는 또한 뉴질랜드 전체 평균 32.9%는 물론, 아시아인 평균 37.1% 보다 높은 것이다. 렌트로 살고 있는 한인의 렌트비를 살펴 보면 주당 400달러 이상이 61.2%로 가장 많고 300~399달러 26.5%, 200~299달러 9.5%, 100~199달러 1.8%, 100달러 미만 1.1%로 각각 조사됐다.

■ 주택소유율
fo 3.jpg

■ 연령대별 한인 주택 소유
fo 4.jpg

무급 활동
인구조사 기준일인 지난해 3월 5일 이전 4주일 동안 15세 이상 한인의 78.7%가 무급 활동을 했다고 답변했다. 가장 많이 한 무급 활동은 집안 일과 요리, 수리, 정원 관리 등 본인의 집을 위한 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30~64세가 65.9%로 가장 많이 무급 활동에 참여했고 성별로는 여성이 83.2%로 73.4%의 남성보다 높았다.

fo 5.jpg

한인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업종은 2,634명의 숙박 요식업으로 나타났고 소매업과 보건 사회 지원이 뒤를 이었다.

자동차
한인의 94.2%인 2만7,015명이 가정에 적어도 자동차 한 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자동차를 두 대 보유한 비율은 한인이 아시아인과 뉴질랜드 전체보다 높았다. 직장을 다니는 한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개인 자가용, 트럭 또는 밴(65.9%) 이었고 도보(10.6%)와 대중 버스(8.8%)가 뒤를 이었다.

fo 6.jpg

전화 및 인터넷
가정에 핸드폰을 사용하는 한인이 2만5,521명으로 전화를 이용하는 한인 수(2만5,428명)보다 많았다. 91.7%의 한인이 인터넷을 이용해 아시아인과 뉴질랜드 전체보다 높았다.

fo 7.jpg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3,172 | 2025.04.09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1,796 | 2025.04.08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654 | 2025.04.08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859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550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714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501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85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96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48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60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85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39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9,039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49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24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302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435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58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62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111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74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97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307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531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