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부동산시장 10대 예측

하반기 부동산시장 10대 예측

0 개 9,332 JJW

fd7c3d1e8f63ae19fe9e057251ba2955_1562735982_7438.jpg

상반기 부동산시장과 관련해서 정부의 양도소득세 도입 계획 철회,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사상최저 수준 인하 등 많은 일들이 있었다. 하반기에 부동산시장은 또 어떻게 변화할지 부동산 정보회사 코어로직(CoreLogic)이 발표한 10가지 예측을 알아본다.

 

 

1. 주택 거래량 현상 유지

 

경제성장률 둔화 등 주택 거래량을 하락시키는 요인들은 낮은 모기지 금리 등 긍정적 요인들에 의해 대부분 상쇄될 것이다. 코어로직의 매매 모델에 따르면 올해 연간 주택 거래량은 8만5,000-9만건으로 예측된다. 이는 지난 10년 동안의 평균 거래량과 비슷하다.

 

fd7c3d1e8f63ae19fe9e057251ba2955_1562736028_8014.jpg
연간 주택 거래량 (자료: 코어로직) 


2. 평균 주택 가격 제한적 상승

 

평균 주택 가격은 여전히 상승하지만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이다. 집값이 저렴한 마을과 도시들이 큰 상승폭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주택 구매자들이 때를 기다리는 오클랜드에서는 집값 약세가 지속될 것이다.  

 

fd7c3d1e8f63ae19fe9e057251ba2955_1562736350_3698.jpg
 연간 주택가격 상승률 (자료: 코어로직) 

3. 주택담보인정비율(LVR) 추가 완화

 

올 초에 완화된 주택담보인정비율이 11월에 추가로 완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르면 현행 20%인 주택 실수요자에 대한 주택담보인정비율이 15%로 인하될 것으로 보인다. 즉 본인이 거주할 주택을 구입하려는 사람은 현행 주택가격의 최소 20%의 본인 돈이 있어야 하지만 앞으로는 15%만 있어도 은행 대출을 받아 주택 구입이 가능해진다는 얘기다. 주택 투자자의 경우 현행 30%인 주택담보인정비율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한 은행이 주택가격의 70%이상 빌려주는 고(高)주택담보인정비율 신규대출 비중이 현행 전체 신규대출의 5%에서 10%로 확대될 전망이다.

 

4. 시중은행들에 대한 자본비율 강화


중앙은행이 11월말까지 시중은행들에 추가 자본요건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5년 정도에 걸쳐 단계적으로 시행될 이번 조치는 현행 8.5%의 위험 가중 자본비율을 16%로 강화할 예정이다. 시중은행들은 이 같은 조치가 모기지 금리를 상승시킬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이 조치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시중은행들이 대출자 상환능력에 따라 금리를 차별적으로 적용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5. 시중은행 금리 전쟁 재연


고개 유치를 위한 시중은행들의 대출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ANZ의 고정 모기지 금리 인하로 촉발된 시중은행들의 금리 전쟁은 지난 5월 8일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인 1.5%로 인하한 이후 가열됐다. 중앙은행이 하반기에 다시 한번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것에 관계없이 시중은행들의 금리 전쟁은 재연될 전망이다.

 

6. 외국인 주택 구입 금지로 일부 지역 부동산시장 영향 지속

 

지난해 10월부터 시행에 들어간 외국인 주택 구입 금지가 센트럴 오클랜드와 퀸스타운의 부동산시장에 가져온 침체가 지속될 것이다. 외국인 비중이 높은 퀸스타운의 주택시장은 외국인 주택 구입 규제 조치 이후 호가가 약 19% 급락하는 등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7. 주택 보유자들의 상급 주택 이동 증가

 

침체된 시장을 이용해 주택 보유자들이 더 크거나 새로운 집, 또는 좋은 지역의 집으로 이동하는 일이 늘어날 것이다. 이처럼 더 좋은 집으로 갈아타려는 현상은 특히 오클랜드에서 많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8. 렌트 수익률 상승 

 

렌트 수익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렌트 수익률은 평균 집값 상승률보다 높은 5% 정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다른 여러 가지 비용 상승 압력을 받고 있는 주택 투자자들에게 좋은 소식일 것이다. 

 

9. 주거용 주택 신축 허가 제자리 걸음

 

건설인력과 건축자재 부족 등으로 주거용 주택 신축 허가가 제자리 걸음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키위빌드(KiwiBuild)’ 사업을 정부가 최근 재편하겠다고 밝힌 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동당 정부가 주택 구매력을 향상하기 위해 오는 2028년까지 10만채의 주택 건설을 목표로 하는 키위빌드 사업은 현재까지 판매된 주택이 200채도 안되면서 완전 실패작이라는 평가와 함께 지난달 필 트와이포드(Phil Twyford) 주택장관이 경질됐다.  

 

10. 주택보험료 인상 

 

웰링턴의 주택 보험료 산정 방법과 인상에서 보았듯이 보험사들의 건물보험에 대한 보험료 인상이 예상된다. 이는 부동산 가치에 영향을 주고 특히 아파트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2,252 | 6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1,321 | 8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560 | 8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822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503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620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417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57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67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16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29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57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14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983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34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12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83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84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35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27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90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58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72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89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505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