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저의 기준금리

사상 최저의 기준금리

0 개 5,413 JJW

뉴질랜드 기준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인 1.5%로 인하됐다. 

새로운 저금리 시대를 연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이 적절한 지에 대한 논란과 그 동안 경험하지 못한 최저 금리가 가져올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4aebd177724824757dc524d7d42c1079_1559020407_9672.jpg
 

기준금리 역대 최저1.5%로 인하

 

중앙은행은 지난 8일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인 1.5%로 0.25%포인트 내렸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변경한 것은 지난 2016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중앙은행은 이날 통화정책회의 이후 낸 성명에서 정책 목표에 맞게 고용과 물가상승률 전망을 떠받치는 데 더 낮은 기준금리가 필요하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중앙은행 아드리언 오어(Adrian Orr) 총재는 “국내 성장률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둔화했고 고용은 지속 가능한 최고 수준에 근접했으나 향후 전망은 제한돼 있다”며 “지금은 더 낮은 금리가 우리의 목표 달성과 더 균형 잡힌 금리 전망에 가장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도 결정 배경으로 지목됐다.

 

중앙은행은 지난해 중반 이래로 둔화한 세계 경제성장으로 외국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입장이 완화했으나 세계 경제 전망에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중앙은행은 또 교역 파트너의 성장이 안정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징후가 일부 있지만, 무역 우려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기준금리 인하 직후 외환시장에서 뉴질랜드달러는 장중 한때 1뉴질랜드달러당 0.6527미국달러로 1.2%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기준금리 인하 시기 적절성 논란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지난 3월 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에서 오어 총재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예견된 결정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경제성장 둔화가 중앙은행이 믿는 만큼 아직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5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50% 정도로 봤었다.

 

이 때문에 이번 기준금리 인하가 일각에서 성급한 결정이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는 지난 1일 경제 활동의 견조한 흐름이 계속되면서 기준금리를 동결했고 호주 중앙은행도 지난 7일 기준금리를 뉴질랜드와 같은 1.5%로 유지했다.

 

뉴질랜드의 1분기 실업률은 4.2%로 전분기의 4.3%에서 낮아졌으나 경제활동 참가율이 70.4%로 하락하고, 임금상승률은 전분기 대비 0.3%를 기록, 시장 예상치인 0.5%를 밑돌았다. 

 

하지만 IRD 자료에 따르면 작년 4월부터 올 3월까지 1년간 PAYE가 전년에 비해 7.4% 증가했고 고용된 납세자 수도 2.2% 늘어 고용시장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은행의 고용시장 전망 분석에는 이러한 IRD 자료를 포함하지 않는다.

 

수출 상품 가격도 연초 이후 올라 ANZ의 상품가격지수는 1년 전에 비해 8.4% 상승했다.

 

그렇다면 현재 경제 상황에서 0.25%포인트의 기준금리 인하가 무슨 효과를 가져올지 궁금해진다.

중앙은행은 고용을 지속 가능한 최대 수준으로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을 1-3%의 목표 범위대 중간에 지키는데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BNZ의 스티븐 톱리스(Stephen Toplis)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준금리 인하 효과는 경제 사이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현재 상황에서는 실물 경제의 흐름을 곳곳에서 막을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작 경제가 하강하여 부양책이 필요할 때 기준금리 정책의 효과를 볼 수 없는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현 시점에서의 기준금리 인하는 중앙은행이 기대하는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할 것이라는 얘기다.

 

기준금리 인하로 주택시장 반등 전망 - 웨스트팩

 

기준금리 인하가 침체에 빠진 주택시장에 다시 활력을 불어 넣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오클랜드 집값은 2011년에서 2017년 사이의 상승 이후 2년째 조정을 받고 있고 다른 지역의 집값 상승세도 둔화하고 있다.

 

웨스트팩의 도미닉 스티븐스(Dominick Stephens)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모기지 금리는 지난 2개월 하락했고 기준금리 인하로 추가 하락의 원인을 주고 있다”며 “이로 인해 주택시장이 올 하반기부터 반등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기준금리 인하 이후 시중은행들은 앞다투어 금리를 내렸다.

 

뉴질랜드 최대 시중은행인 ANZ은 변동금리를 0.1%, 고정금리를 0.06-0.14% 각각 인하했다.

 

2016년 11월 기준금리 인하 이후 점진적으로 금리를 내렸던 ANZ은 이제 1년 고정 특별금리를 3.89%에 적용하고 있다.

 

ANZ의 안토니아 왓슨(Antonia Watson) 이사는 “현재의 초저금리는 새로 주택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에 좋은 기회를 줄 뿐만 아니라 기존 주택 대출자들에게도 빚을 가능한 많이 갚을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ANZ은 정기예금 금리도 인하, 90일 정기예금 금리를 0.15% 내렸고 60일 및 120일 정기예금 금리는 0.25% 인하했다.

 

키위뱅크 역시 모기지 금리와 정기예금 금리를 내렸다.

 

변동 모기지 금리는 0.15% 내렸고 정기예금 금리도 대부분 0.15% 인하했다.

 

ASB, BNZ, 웨스트팩도 변동 모기지 금리와 정기예금 금리를 0.1-0.16% 내려 모기지 금리 인하 경쟁에 가세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 “다음 금리 인하는 11월”

 

중앙은행의 예상에 따르면 향후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있다. 

 

평균 기준금리 전망치는 연말까지 1.48%, 내년 3분기까지 1.36%다.

 

키위뱅크의 자로드 커(Jarrod Kerr)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앙은행이 여기서 멈출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기준금리를 1.25%로 내릴 가능성이 40% 정도 있는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영국 시장조사회사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중앙은행이 오는 11월에 다시 한번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지난 8일 중앙은행이 경제성장과 고용 둔화를 근거로 기준금리를 1.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지난 1분기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세가 당분간 중앙은행을 금리 동결로 유도할 것이라면서도 실업률이 오르고 하반기에 성장세도 둔화할 것으로 판단했다.

 

결국 중앙은행이 6개월 뒤인 11월에 금리를 1.25%로 0.25%포인트 낮출 것이라고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예상했다.

 

NZ 인구지도, 어떻게 변했나?

댓글 0 | 조회 6,800 | 2019.11.27
지난달 말 뉴질랜드 통계국(Stats NZ)은 2019년 6월 말 기준으로 전국 각 지역에서 1년 동안 인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잠정 추계한 자료를 발표했다.이… 더보기

잊혀진 실버 세대

댓글 0 | 조회 3,994 | 2019.11.26
정부가 최근 노년층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발표했다.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취업을 하려는 노인들을 돕고 연령차별주의를 없애 나간다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 더보기

뉴질랜드는 ‘레지오넬라’의 수도?

댓글 0 | 조회 5,830 | 2019.11.13
한낮 최고기온이 30C까지 올라가면서 계절이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이 즈음이면매년 뉴질랜드 언론들에 등장하는 뉴스가 하나 있다.정원작업에 나설 때 ‘레지오넬라… 더보기

가난한 자식은 부모도 초청할 수 없는 나라

댓글 0 | 조회 8,907 | 2019.11.12
3년 동안 빗장을 걸어 잠궜던 부모초청이민이 마침내 내년 2월부터 다시 열린다. 그 동안 부모초청이민을 신청해놓고 기다렸던 대기자들이나 앞으로 부모를 초청할 계획… 더보기

한국계 시의원 등장한 2019 지방선거

댓글 0 | 조회 4,890 | 2019.10.23
뉴질랜드 각 지역의 일꾼들을 뽑는 ‘2019년 지방자체단체 선거(local elections)’가 끝났다.10월 12일(토) 정오에 마감됐던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더보기

우버 이츠가 업계에 몰고 온 변화

댓글 0 | 조회 8,690 | 2019.10.22
지난 2017년 3월 뉴질랜드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우버 이츠(Uber Eats)는 지난해 27억달러의 총매출을 기록하며 5.7%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우버 이… 더보기

표류하는 키위빌드 정책

댓글 0 | 조회 7,378 | 2019.10.09
노동당 정부가 7개월의 숙고 끝에 지난달 재조정한 ‘키위빌드(KiwiBuild)’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10년 동안 10만채의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더보기

다양성 더욱 뚜렷해진 NZ

댓글 0 | 조회 4,276 | 2019.10.09
논란이 많았던 ‘2018년 센서스(Census)’ 분석 결과가 실시된 지 1년도 훨씬 더 경과한지난 9월말에야 공식적으로 발표됐다.작년 센서스는 참여율이 목표였던… 더보기

왈라비! 너마저도......

댓글 0 | 조회 5,292 | 2019.09.25
최근 국내 언론들에는‘왈라비(wallaby)’가 갈수록 국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보도가 나왔다.이 소식을 전해 들은 교민… 더보기

위장결혼인가, 생이별인가

댓글 0 | 조회 7,981 | 2019.09.24
온라인 만남이 흔해지면서 이를 통해 발전한 파트너쉽 비자 신청이 증가하고 있고 기각 사례 또한 늘고 있는 실정이다. 기각 당한 신청자들은 그들의 관계가 사실인데도… 더보기

변화하는 주택시장

댓글 0 | 조회 7,860 | 2019.09.11
세계 금융위기 이후 뉴질랜드 주택시장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유례 없는 저금리 시대를 맞고 있는 현재도 주택시장은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지난 10년 동안 집값이 … 더보기

뜨겁게 달아오르는 럭비 열기

댓글 0 | 조회 3,418 | 2019.09.11
최근 TV 화면에 ‘Sky TV’에 가입하라는 광고가 부쩍 늘었다. 이는 이달 20일(금)부터 시작되는 ‘2019 럭비 월드컵(Rugby World Cup)’ 때… 더보기

줄었지만 여전한 남녀 간 임금 격차

댓글 0 | 조회 3,641 | 2019.08.28
금년 들어 뉴질랜드의‘성별 임금 격차(gender pay gap)’가 1998년부터 자료를 발표하기 시작한 이래 3번째 규모로 축소됐다.그러나 여전히 여성들은 남… 더보기

금리 마이너스 진입할까?

댓글 0 | 조회 4,717 | 2019.08.27
기준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인 1%로 인하됐다.중앙은행은 지난 7일 기준금리를 기존 1.5%에서 1%로 0.5%포인트 낮추면서 향후 마이너스 금리도 가능하다며 추가… 더보기

오늘 저녁 반찬은 ‘메뚜기’ 볶음?

댓글 0 | 조회 4,300 | 2019.08.14
지난 7월 말 국내 언론에는, “곤충으로 만들어진 식품이 등장한다면뉴질랜드인들은 ‘질겅질겅 씹기’ 보다는 ‘아삭아삭 깨물어 먹기’를 더 선호한다”는설문조사 결과가… 더보기

순자산의 일곱 계단

댓글 0 | 조회 3,859 | 2019.08.13
보통 뉴질랜드인들은 재정적으로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통계청은 뉴질랜드인들이 소유한 자산과 빌린 부채를 대규모로 조사해 그러한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제시했다. 특… 더보기

다시 부는 이민 바람

댓글 0 | 조회 13,739 | 2019.07.23
한동안 감소했던 순이민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민정책을 강화하여 이민자가 크게 줄 것으로 예상했던 노동당 연립정부에서 순이민자 반등은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더보기

하반기 부동산시장 10대 예측

댓글 0 | 조회 9,314 | 2019.07.10
상반기 부동산시장과 관련해서 정부의 양도소득세 도입 계획 철회,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사상최저 수준 인하 등 많은 일들이 있었다. 하반기에 부동산시장은 또 어떻게 … 더보기

위기의 뉴질랜드 임산부들

댓글 0 | 조회 7,552 | 2019.07.09
최근 국내 언론들에는 출산과 관련된 기사들이 빈번하게 등장했는데, 대부분이 관련 의료시설이나 인력 부족으로 분만 과정에서 큰 어려움이나 위기를 겪었다는 내용들이었… 더보기

유출 파문에 묻힌 ‘웰빙 예산’

댓글 0 | 조회 4,004 | 2019.06.26
정부는 올해 예산안을 공개하면서 세계 최초의 ‘웰빙 예산’이라고 강조했다.해외 언론들에서도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며 관심있게 보도했다.그러나 정작 국내… 더보기

지구를 위협하는 플라스틱

댓글 0 | 조회 3,777 | 2019.06.25
▲ 목장에 등장한 플라스틱 울타리 기둥​만약 인류에게 ‘플라스틱(plastic)’ 이 없었다면 우리의 삶이 어땠을까?이런 질문은 의미가 없을 정도로 이미 인류에게… 더보기

마약 실태, 하수구를 보면 알 수 있다

댓글 0 | 조회 5,540 | 2019.06.12
지난 5월에 영국의 언론들은, 런던 인근의 시골 하천들에 서식하는 ‘민물새우(freshwater shrimp)’에서 마약 성분이 발견됐다고 일제히 보도한 바 있다… 더보기

외부고사 비중 늘어날 NCEA

댓글 0 | 조회 4,169 | 2019.06.11
교육부가 고등학교 학력 평가 제도인 NCEA(National Certificate of Educational Achievement)의 내부평가 비중을 줄이고 외부… 더보기

남섬에는 정말 흑표범이 살까?

댓글 0 | 조회 5,439 | 2019.05.29
지난 몇 년 동안 남섬 일원에서는 외형은 고양이로 보이지만 야생 고양이보다는 체구가 훨씬 큰 정체 모를 동물에 대한 목격담이 여러 차례 전해졌다.지난 4월에도 이… 더보기
Now

현재 사상 최저의 기준금리

댓글 0 | 조회 5,414 | 2019.05.28
뉴질랜드 기준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인 1.5%로 인하됐다.새로운 저금리 시대를 연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이 적절한 지에 대한 논란과 그 동안 경험하지 못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