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람들이 오클랜드를 피할까?

왜 사람들이 오클랜드를 피할까?

0 개 11,712 서현

 

bff17d1ff6f9407428089c66eaeb06aa_1469596676_5509.jpg

 

최근 국내의 한 언론에, “왜 사람들이 오클랜드를 피할까?(Why are people shunning Auckland?)”라는 다소 자극적인 제목과 함께 오클랜드의 심각한 주택난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지적하는 기사가 실렸다.

 

또한 이 기사에 며칠 앞서, 사람들이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역량을 나타내는 이른바 ‘Affordable housing’ 이라는 용어를, 해당 문제를 해결하려는 절박한 상황에서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정치인 등 관계자들이 자신들의 입장에 따라 마음대로 유리하게 해석하고 끌어다 쓰고 있다는 기사도 등장한 바 있다.

 

이 같은 기사들은 진작부터 한계에 다다른 상태에서 오히려 점점 더 악화되는 오클랜드 지역 주택난의 심각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함과 동시에 이제는 젊은 층과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을 지원해주는 일이 더 이상 미적거려서는 안 되는 국가적 과제로 대두했다는 사실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bff17d1ff6f9407428089c66eaeb06aa_1469596727_8618.jpg
 

 

<주택난이 불러온 교육현장의 인력난>

 

현재 오클랜드 관내에는 모두 480개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들 학교들 중 상당한 숫자의 학교에서 교직원 자리가 비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클랜드 교장협의회(Auckland Principals Association)에서 지난 6월에 설문조사를 한 바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240개 학교 중에서 현재 168개 학교에서 모두 220명의 신규 인력이 이번 3학기에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협회의 한 관계자는 이는 결국 오클랜드의 주택난 때문에 빗어진 일이라면서, 특히 5년에서 8년 사이의 중간 정도 경력을 가진 교직원들이 (결혼 등으로) 가정을 이루게 되면서 주택이 필요해지자 오클랜드 외곽이나 아예 다른 지방으로 떠나버리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현재의 급여 수준으로는 주택 문제를 안고 떠나는 교사들을 붙잡아 둘 수 없는 형편이라면서, 같은 이유로 타 지역에서 오클랜드 지역으로 들어오려는 교사들 역시 영입하기가 힘들다고 실태를 전했다.

 

이에 따라 몇 개월씩 신규 교사 충원이 어렵자 학교 측에서는 학급을 통합하거나 교사들끼리 업무를 분담하는 식으로 충원이 이뤄질 때까지 노력하고 있지만 이는 미봉책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 같은 일선 학교들의 어려움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정기적으로 교장을 비롯한 교육 관계자들과 논의하는 자리를 갖고 있으며, 해외에 있는 키위 교사 자원을 고국으로 불러오는 방안 등을 비롯해 여러 가지 해결책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놓고 따져본다면 이는 결국 교육부 단독으로는 해결책을 찾을 수 없는 일임이 분명하고, 그렇다 보니 교육부 관계자로서도 지극히 원론적 입장만 밝힐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사회안전, 복지분야 역시 인력난 발생 가능성 대두>

 

한편 뉴질랜드 구급차협회(New Zealand Ambulance Association)의 한 관계자 역시, 아직까지 오클랜드 지역에서 구급요원(paramedic)의 부족 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조만간 이 같은 상황이 바뀌게 될 것으로 믿어진다고 밝혔다. 

 

그는 오클랜드에서 살건 인버카길에서 살건 일선에서 활동하는 구급요원들의 임금은 똑같다면서, 주택대출금 이자나 생활비용 등을 감안하면 오클랜드가 아닌 곳에서 일하는 것이 훨씬 나은 상황임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관련 전문가들은, 아직은 현안으로까지 심각하게 떠오르지는 않았지만 평균적인 임금이 이들 교사나 구급대원들과 별반 차이가 없는 간호사들이나 경찰관 등 사회안전이나 복지 시스템에 반드시 필요한 직종의 종사자들 역시 주택난으로 인한 인력 부족 현상이 조만간 닥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녹색당의 한 의원은 국내 최대 규모의 도시에서 주민들을 위한 사회적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중간주택가격이 교사나 간호사, 경찰관들의 임금의 거의 15배에 달하는 현실에서 이들이 오클랜드 외곽의 주택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결코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실제로 금년 6월 현재 뉴질랜드 부동산협회(REINZ)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오클랜드 지역의 중간주택가격(median house price)은 82만 1천 달러에 달하고 있다.

 

반면 정부의 임금 관련기관(careers.govt.nz)의 통계에 나타난 교사와 간호사, 경찰관, 구급대원의 평균적인 임금은 아래와 같았다.

 

교사: $46,000 ~ $72,000

간호사: $47,000 ~ $64,000 (경력 1~5년차)

경찰관: $53,000 ~ $58,000 (경력 1-4년차)

구급요원: $58,000 to $72,000

 

 

bff17d1ff6f9407428089c66eaeb06aa_1469596756_4933.jpg
 

 

<제각각 해석하는 ‘Affordable housing’>

 

이런 가운데 ‘Affordable housing’ 이라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분명하게, 그리고 좀더 고차원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사회적으로 널리 쓰이는 경제 용어 중 하나인 이 말은, ‘일반적인 사람들이 소득수준과 비교해 주택을 소유할 수 있는, 혹은 구입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정도)’을 표시할 때 쓰이는 용어이지만 딱히 적절한 우리말로 간단하게 표기하는 게 좀 어렵다.

 

그러나 문제는 용어 자체가 아니라 이 용어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해석하는 데 정부나 각 정당에 속한 정치인들, 그리고 경제 관계자들과 언론이 제각각 자기들 유리한 대로 갖다 붙인다는 점인데, 최근 한 언론 지면을 통해 공공주택 공급 전문가 중 한 명이 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동시에 그 해결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그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이 용어가 오클랜드를 비롯한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문제를 거론하면서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고는 했지만 정작 용어 자체에 대한 정확한 개념의 정의 없이 중구난방으로 사용됐으며, 그러다 보니 해결책을 제시하고 실행하는 점에 있어서도 미흡하기 그지 없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전문가는 소득이 높은 층에서는 부동산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든지 이에 개의하지 않고 언제든지 집을 구매하거나 파는 경제 행위가 가능하지만, 국민 대다수를 차지하는 저소득층이나 중간 규모 소득층에서는 이 같은 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계층에서는 특히 ‘Affordable housing’이 갖는 비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ffordable housing’은 인권 차원의 문제>

 

이 전문가는 통상적인 개념의 ‘Affordable housing’이란 용어 하에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감내할 수 있는, 즉 ‘Affordable’ 하다고 할 수 있는 주택가격은 해당 지역의 ‘주택중간가(median house price)’의 75% 수준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렇다고 하면 향후 빠른 시일 내에 주택중간가가 100만 달러 대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클랜드 지역에서의 ‘Affordable housing’은 75만 달러라는 셈인데, 과연 얼마나 되는 오클랜드 주민들이 이 수준을 맞출 수 있겠냐는 자조적인 질문을 던졌다.

 

또한 그는 또 다른 측면에서 볼 때 ‘Affordable housing’ 이라는 개념은 사람들이 자신들 수입에서 주거 관련 비용으로 40% 정도를 쓴다면 이 역시 ‘Affordable’ 하다고 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이런 개념 하에서도 오클랜드 주민들에게 지금의 주택시장은 현실적으로 감내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오클랜드 가정의 주당 중간가계수입(median family income)은 1,575달러였으며 여기에서 세금과 키위 세이버를 감안하면 1,183 달러가 남게 되는데, 이 소득의 40%는 473달러라고 계산하고 과연 이 비용으로 임대료도 비싼 오클랜드에서 주거비용을 감당할 수 있겠냐는 게 그의 논지였다. 

 

이 전문가가 현재의 은행 대출이자 등을 감안해 계산한 바에 따르면, 주당 473 달러라는 소득으로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은 가격이 36만 달러, 더 여유 있게 잡아본다고 하더라도 44만 달러를 넘기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오클랜드 지역에서 이 정도 자금이면 침실 1개짜리 아파트 구입도 빠듯한데, 이는 가정을 꾸린 젊은 부부들이 살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규모이고, 결국 이들의 입장에서 주택 구입이라는 꿈은 신기루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결국 실질소득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집값을 비롯한 임대료가 계속 오르면 주거가 불안해진 서민들의 삶 역시 불안해지고, 이는 나아가 사회 전체의 안정을 해칠 뿐만 아니라 빈부 격차까지 확대되면서 흔히 이야기하는 사다리를 통한 계층간 이동도 불가능한, 한 마디로 희망 없는 사회가 될 수 밖에 없다.

 

이 전문가는, 사람들이 적절한 주거 환경을 보장받는 것은 지난 1948년에 유엔에 의해 작성되고 뉴질랜드 정부도 서명했던 ‘세계인권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에 담긴 항목 중 하나이기도 하다면서 더 늦기 전에 정부가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남섬지국장 서 현 

Now

현재 왜 사람들이 오클랜드를 피할까?

댓글 0 | 조회 11,713 | 2016.07.27
최근 국내의 한 언론에, “왜 사람들이 오클랜드를 피할까?(Why are people shunning Auckland?)”라는 다소 자극적인 제목과 함께 오클랜드… 더보기

오클랜드는 공사중

댓글 0 | 조회 7,865 | 2016.07.14
요즘 오클랜드 어디를 가든지 건물을 새로 짓거나 도로 공사를 하는 모습을 흔히 목격한다. 정부와 오클랜드카운슬이 체결한 오클랜드 주택협정의 기한이 임박하면서 주택… 더보기

돈 빌려서라도 내 차 바꾼다

댓글 0 | 조회 8,468 | 2016.07.13
뉴질랜드인들 중 1/3 가량은, 자신이 몰고 다니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른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당하고 있다고 느끼며, 돈을 빌려서라도 차를 바꾸는 사람도 덩달아… 더보기

학교 등급 폐지될 듯

댓글 0 | 조회 8,969 | 2016.06.23
‘데실(Decile)’로 잘 알려진 학교 등급 제도가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학교 지원금 배정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는 교육부가 지난달 고문단을 … 더보기

범죄를 당할 위험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댓글 0 | 조회 11,644 | 2016.06.22
▲ 크라이스트처치 경찰청의 상황실 모니터​최근 ‘정보공개법(Official Information Act)’에 따라 공개된 정부의 관련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보다 높은 수익의 투자

댓글 0 | 조회 12,438 | 2016.06.09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기가 바닥을 보이던 지난 2009년 3월 10만달러의 현금을 오클랜드 부동산과 주식에 각각 투자했다고 가정하면 7년이 지난 지금쯤 얼마나 만질… 더보기

겨울은 ‘불조심’의 계절

댓글 0 | 조회 6,332 | 2016.06.08
매일 뉴스를 접하다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게 교통사고, 그리고 또 하나가 화재 소식이다. 특히 불기를 가까이 하는 겨울이면 화재 발생이 더 많아져 소방 당국… 더보기

‘학비대출금 난민’ 등장하나?

댓글 1 | 조회 9,127 | 2016.05.26
지난 1월 18일(월) 오클랜드 공항에서는 출국 수속을 밟던 쿡 아일랜즈(Cook Islands) 출신의 한 40대 남성이 경찰에 체포됐다. 체포된 남성의 이름은… 더보기

이민자들의 팍팍한 삶

댓글 0 | 조회 10,973 | 2016.05.25
통계청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연간 순 이민자 수가 6만7,619명을 기록하며 20개월 연속 최고치를 갈아 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자 유입이 지속되면서 이민자들… 더보기

주택 붐, 도대체 언제까지 계속될까?

댓글 3 | 조회 10,395 | 2016.05.12
정부 당국의 부동산 투기 대책이 시행된 지난해 10월 이후 한동안 잠잠하던 오클랜드 주택시장이 최근 들어 다시 들썩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 동안 … 더보기

살짝 스치기만 해도 아픈 ‘대상포진’

댓글 0 | 조회 11,508 | 2016.05.11
최근 뉴질랜드 신문에 ‘shingles’라는 단어가 자주 눈에 띈다. 이는 이른바 ‘대상포진(帶狀疱疹)’이라는 질병을 의미하는데, 대상포진은 특히 중년의 나이를 … 더보기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

댓글 0 | 조회 11,216 | 2016.04.29
우리가 사는 이 지구 상에 있는 수 많은 길 중에서 가장 ‘위험한 길(road)’은 어디에 있을까?이 질문에 답을 원하는 독자들이라면 인터넷에서 www.dange… 더보기

태평양의 스위스를 꿈꾸는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7,364 | 2016.04.28
몰타의 집권 노동당 부당수인 콘라드 미찌(Konrad Mizzi) 보건·에너지 장관과 멕시코 재벌 주안 아만도 히노조사(Juan Armando Hinojosa)는… 더보기

뉴질랜드의 트럼프 같은 이들

댓글 0 | 조회 7,496 | 2016.04.14
미국 공화당 대선주자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지난해 7월 경선 후보로 나서면서 거친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 더보기

아무도 말해 주지 않은 NZ에 대한 15가지 사실들

댓글 1 | 조회 12,954 | 2016.04.13
최근 국내의 한 일간신문에 뉴질랜드에서 2년간 거주했다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한 여성이 자신이 그동안 겪었던 뉴질랜드 생활의 이모저모를 올려 화제가 됐다.‘15 t… 더보기

뉴질랜드 대학 졸업장의 가치는?

댓글 0 | 조회 14,107 | 2016.03.24
오는 2019년까지 뉴질랜드 대학생 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유인즉 굳이 대학을 가지 않고도 취업할 수 있는 고용 기회가 많다는 것이다. 학생융자를 … 더보기

총기관리, 이대로 두어도 좋을까?

댓글 0 | 조회 8,972 | 2016.03.23
최근 국내 곳곳에서 각종 총기 사고가 끊임없이 이어지면서 총기관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총기 소지가 비교적 자유로운 뉴질랜드에서 최근에 벌어… 더보기

휴대폰은 알고 있다. 당신이 휴가 갔던 곳을

댓글 0 | 조회 7,811 | 2016.03.10
매년 그렇듯 지난 연말연시 동안에도 수많은 뉴질랜드인들이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집을 떠나 국내외 여러 휴양지들을 찾아 각양 각색의 방법으로 휴가들을 즐기고 돌아… 더보기

‘균형’ 있는 세무조사 이뤄져야

댓글 0 | 조회 7,029 | 2016.03.09
세무당국이 올해 들어 세금 추적의 고삐를 더욱 세게 죄고 있다. 현금거래 조사를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처음으로 학생융자 체납자를 체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 더보기

가자 뉴질랜드로

댓글 1 | 조회 12,030 | 2016.02.25
이민과 유학, 관광 등을 목적으로 뉴질랜드를 찾는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다. 지난해 순 이민자 수는 6만4,930명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고 관광객은 300만명을 … 더보기

키위 손님은 사절?

댓글 1 | 조회 10,104 | 2016.02.24
최근 남섬 북부에 위치한 도시인 블레넘(Blenheim)에서 영업 중인 백패커스를 포함한 저렴한 비용의 숙소들이 내국인(Kiwi)들의 숙박을 아예 사절하고 나섰다… 더보기

사상 최저 금리 시대 오나

댓글 0 | 조회 9,148 | 2016.02.11
​2014년 기준금리를 네 차례에 걸쳐 0.25%포인트씩 인상했던 중앙은행은 지난해 네 차례에 걸쳐 같은 포인트씩 인하하여 2.5% 제자리로 돌려놨다. 2.5%의… 더보기

지구촌 주민들을 떨게 만드는 모기들

댓글 0 | 조회 6,574 | 2016.02.10
새해 벽두부터 2014년에 서부 아프리카에서 시작됐던 에볼라(Evola) 바이러스 악몽을 떠올리게 하는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해 지구촌 주민들을 걱정스럽게 만드는… 더보기

뉴질랜드에도 ‘하우스푸어’

댓글 1 | 조회 11,930 | 2016.01.28
한국에서는 몇 년 전 집을 보유하고 있지만 무리한 대출로 인한 이자 부담 때문에 빈곤하게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하우스 푸어(house poor)’라는 신조어가… 더보기

스피드 카메라 매출액이 100만불?

댓글 0 | 조회 6,957 | 2016.01.27
작년에 전국에 설치된 경찰의 과속 단속용 카메라, 일명 스피드 카메라 중에서 가장 많은 운전자들을 적발해 낸 곳은 어디일까?경찰에 의해 확인된 정답은 웰링톤 북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