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이민자들의 꿈

새해 이민자들의 꿈

0 개 7,940 JJW
2016년 병신년의 해가 솟았다. 새해가 되면 누구나 한번쯤 소망을 품게 된다. 남태평양의 외진 섬 뉴질랜드에서 제2의 삶을 일구고 있는 이민자들에도 꿈은 있다. 다른 나라에서 오클랜드에 정착한 이민자들은 어떤 꿈을 가지고 있는지 세 가족에 물어 보았다.

중국웬한미아오가족.jpg

■ 중국 출신 웬한 미아오·크리스틴 왕 가족

웬한 미아오(Wenhan Miao)와 크리스틴 왕(Christine Wang)은 모두 중국에서 유학와서 이민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2007년 뉴질랜드로 유학온 미아오는 정보기술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 한 해 뒤인 2008년에 뉴질랜드에 온 왕은 유아교육에서 학사를 취득했다. 

2009년 친구의 소개로 만난 이들은 2012년 결혼하여 2014년 딸 포피(Poppy)를 낳았다.

이들은 뉴질랜드에 오지 않았더라면 서로 만날 수 없었을 것이라며 평생의 반려자를 만난 인연의 장을 제공한 뉴질랜드에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 

이들이 학업을 마친 후에도 계속 뉴질랜드에 남기로 결정한 이유는 여유있는 라이프스타일과 깨끗한 환경, 양질의 아동교육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들은 뉴질랜드의 장점으로 사람들이 매우 친절하고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아름다운 환경과 발달된 복지제도, 그리고 높은 식품안전 수준 등을 꼽았다.

반면 중국과 너무 멀리 떨어져 향수병을 앓게 되고 다음 세대인 포피가 자국의 언어와 문화를 잊어 버리지 않을까 우려된다는 것.

미아오 가족의 올해 꿈은 지난해 시작한 사업이 잘 되는 것이다.

왕이 근무하던 유치원까지 그만두고 부부가 매진하고 있는 데어리가 올해 좀더 안정되고 매출이 늘어나기를 바란다고 한다.

궁극적으로 이 젊은 중국인 이민자들의 꿈은 가족들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 은퇴한 왕의 부모를 초청하여 함께 사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말레이시아루이스리아가족.jpg

■ 말레이시아 출신 루이스 리아·아그레스 옹 가족

루이스 리아(Louis Liaw)·아그레스 옹(Agnes Ong) 부부는 지난 2007년 6월 뉴질랜드에 여행왔다가 아름답고 청정한 뉴질랜드의 자연 환경에 반해 외동딸 마비스(Mavis)를 리아의 어머니에 잠시 맡기고 2개월 후 워킹 홀리데이 비자로 뉴질랜드를 다시 찾았다. 

2008년 2월 옹은 NSIA에서 1년 과정의 파티세리(Patisserie) 과정에 입학했고 남편인 리아는 오픈 워크 비자로 체류했다. 

이 무렵 말레이시아에 있던 마비스도 데리고 와서 뉴질랜드에서 교육을 받게 했다.

NSIA를 졸업한 옹은 쉽게 케익 데코레이터 일자리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로부터 9개월 후 이들 가족은 뉴질랜드 영주권을 획득했다.

테이크 어웨이 점포를 운영하기도 했던 리아 부부는 뉴질랜드가 자녀를 양육하기에 훌륭한 곳이라고 밝혔다.

말레이시아와 비교해 마비스는 원하는 과목만 선택해서 공부하면 된다는 것.

리아 부부는 뉴질랜드가 인권이 평등하고 정부 체제에 인종차별이 없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들 부부는 또한 뉴질랜드의 자동차 가격이 비싸지 않고 더욱 많은 가족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된 것도 뉴질랜드 생활의 장점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사람들이 복지수당을 남용하는 점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들 부부의 올해 꿈은 마비스가 원하는 오타고 대학에 입학하면 가족 모두 남섬으로 이주하는 것이다.

집값이 너무 비싸고 복잡한 오클랜드를 떠나 한적한 남섬으로 내려가 더욱 심플한 생활을 즐기는 것이 이들 부부의 오랜 꿈이다.

또한 옹의 어머니를 초청하여 함께 사는 것도 이들 부부의 꿈의 일부이다.  

방글라데시아민가족.JPG

■ 방글라데시 출신 모하메드 아리풀 아민·문타하 밀리 아민 가족 

방글라데시 출신 아민(Amin) 가족은 남편인 모하메리 아리풀 아민(Mohammed Ariful Amin)이 2004년 먼저 뉴질랜드에 와서 기반을 잡고 5년 후인 2009년에 부인인 문타하 밀리 아민(Muntaha Mily Amin)이 합류했다.

방글라데시의 다원(茶園)에서 성장해 아름다운 곳들을 방문하는 것이 꿈이었다는 문타하 밀리는 뉴질랜드로 이민올 것이라곤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지만 뉴질랜드의 산과 해변, 폭포 등의 자연을 접하면서 뉴질랜드 이민이 잘한 일이었다고 생각하게 됐다는 것.

처음 2년 동안 언어 장벽을 느끼고 뉴질랜드에서 새로운 직업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문타하 밀리는 팍 액 세이브(Pak’N Save)에서 5년째 근무하고 있다.

그녀는 올해 좀더 공부를 해서 더 나은 직업을 가질 꿈을 가지고 있다.

방글라데시 국교인 이슬람교 신자인 이들 가족은 뉴질랜드가 쉽게 술을 마실 수 있는 등 방글라데시와 문화가 너무 다르고 이슬람 학교가 별로 없어 아쉽지만 자국 출신 커뮤니티를 통해 소풍을 가는 등 교류하고 있다.

아민 부부는 뉴질랜드의 교육체제가 훌륭해서 만하 사리나(Maanha Sarrinah)와 메시하 루카야트(Mersiha Rukayat), 두 아이가 즐겁게 교육기관에 다니고 있어 행복하다고 했다.

또한 뉴질랜드가 대기오염과 수질오염이 덜 하고 보건제도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사하라 사막처럼 목마른 노스 캔터베리

댓글 0 | 조회 7,377 | 2016.01.14
지구촌 곳곳이 17년 만에 다시 도래한 ‘슈퍼 엘니뇨(El Nino)’ 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미국 뉴욕은 144년 만의 최고기온인 … 더보기
Now

현재 새해 이민자들의 꿈

댓글 0 | 조회 7,941 | 2016.01.13
2016년 병신년의 해가 솟았다. 새해가 되면 누구나 한번쯤 소망을 품게 된다. 남태평양의 외진 섬 뉴질랜드에서 제2의 삶을 일구고 있는 이민자들에도 꿈은 있다.…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15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5,236 | 2015.12.23
■ 시중 은행들의 전례없는 대출 경쟁 연초부터 시중 은행들이 대출 고객들에 현금 또는 사은품을 제공하는 등 치열한 대출 경쟁을 벌였다. Kiwibank는 중앙은행… 더보기

개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면?

댓글 0 | 조회 6,812 | 2015.12.23
지난 12월 1일(화) 아침 6시 30분 무렵에 더니든의 한 주택가에서 신문을 배달하던 50대 여성이 3마리의 개들로부터 공격을 당해 큰 부상을 입는 사고가 났다… 더보기

꾸물거리는 오클랜드 주택 개발

댓글 0 | 조회 7,106 | 2015.12.10
오클랜드의 주택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와 오클랜드 카운슬은 지난 2013년 오클랜드 주택협정을 체결하고 그해 10월부터 ‘특별주택구역(Special Housing… 더보기

해수면 상승, 남의 일 아닌 NZ

댓글 0 | 조회 8,227 | 2015.12.09
지난 11월 28일(토)에 오클랜드와 웰링톤, 크라이스트처치를 비롯한 뉴질랜드의 주요 도시들에서는 많게는 수만 명, 적게는 수백 명씩의 남녀노소 군중들이 모인 가… 더보기

인종차별의 저류를 경계하며

댓글 1 | 조회 5,733 | 2015.11.26
지난 3일 국회에서 나온 인종차별적 발언이 무엇보다 우려되는 점은 한 국회의원의 의견을 넘어 많은 뉴질랜드인들이 이에 공감하고 있지 않는가 하는 것이다. 정치권과… 더보기

기나긴 싸움의 승자는 ‘H’

댓글 0 | 조회 3,902 | 2015.11.25
북섬 서해안에 자리 잡은 ‘왕가누이(Wanganui)’가 150년 만에 자기 이름을 되찾게 됐다. 도시 이름이 완전히 바뀌는 것이 아니라 단지 ‘h’라는 글자 하… 더보기

형제(?)의 나라, 호주에서 짖밟히는 키위 인권

댓글 0 | 조회 8,327 | 2015.11.12
뉴질랜드와 호주의 정상들이 만나면 양국간의 특별한 관계를 언급하며 가족 또는 형제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신임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호주… 더보기

위급한 어린이 환자를 살려라!

댓글 0 | 조회 3,617 | 2015.11.11
태어나자마자 목숨이 경각에 달렸던 한 신생아를 살려낸 기적 같은 이야기가 최근 국내 언론에 소개됐다. 이 아기를 구하는 데는 당연히 전문 의료진들의 신속했던 대응… 더보기

특별 세일이 ‘특별’ 하지 않은 이유

댓글 0 | 조회 7,258 | 2015.10.29
뉴질랜드는 세일 천국이다. 연초 ‘January 세일’부터 시작되는 세일은 연말 세일에 이르기까지 다른 제목으로 거의 연중 진행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가로 … 더보기

인명구조와 준법, 무엇이 우선일까?

댓글 0 | 조회 4,369 | 2015.10.28
지난 10월 16일(금) 카이코우라 지방법원에서는 한 헬리콥터 조종사의 항공법 위반 혐의에 대한 재판이 진행됐다. 이날 재판정 안팎에는 그를 지지하는 많은 사람들… 더보기

2038년, 아시안이 마오리 인구 앞선다

댓글 1 | 조회 6,149 | 2015.10.15
뉴질랜드에서 ‘인종적 다양성(ethnic diversity)’이 계속 확대되는 가운데 오는 2038년에는 아시안 인구수가 마오리를 앞설 것을 예상한 통계국(Sta… 더보기

NCEA에 대한 오해와 진실

댓글 0 | 조회 3,989 | 2015.10.14
다음달 6일부터 NCEA 외부고사가 전국적으로 실시된다. 수험생을 둔 가정에서는 요즘 학생이 최대한의 성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여념이 없을 것이다. 뉴… 더보기

투기판이 돼버린 주택시장

댓글 0 | 조회 6,633 | 2015.09.23
오클랜드 주변에서 팔린 지 얼마 안된 주택이 다시 매물로 나오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심지어 새로운 주인을 맞은 신축 주택이 이틀 후에 매물로 나와 화제… 더보기

부동산 세금 추적에 열 올리는 세무당국

댓글 0 | 조회 5,897 | 2015.09.10
부동산 거래가 급증하면서 세무당국의 활동 또한 분주해지고 있다. 뉴질랜드 세무당국인 IRD는 특별팀을 구성하여 부동산 투자자들의 탈세 행위를 적발하는데 혈안이 돼… 더보기

유효기간 10년으로 늘어나는 NZ여권

댓글 0 | 조회 9,059 | 2015.09.10
뉴질랜드 여권(passport) 유효기간이 기존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된다. 여권 업무를 담당하는 내무부(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 더보기

NZ국기, 정말 바뀌려나?

댓글 3 | 조회 6,838 | 2015.08.27
▲ 뉴질랜드(왼쪽)와 호주 국기 최근 뉴질랜드 국내언론에 가장 빈번하게 오르내리는 주제는 단연 ‘국기 교체’와 관련된 기사들이며 이에 대한 논쟁은 오는 11월에 … 더보기

‘캐주얼’ 인종차별의 증가

댓글 0 | 조회 7,240 | 2015.08.26
지난달 노동당이 부동산 중개회사 바풋 앤 톰슨(Barfoot & Thompson)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나와 있는 성(姓)을 근거로 오클랜드 주택시장 과열… 더보기

드론, 우리에게 어떤 존재?

댓글 0 | 조회 5,884 | 2015.08.13
▲ 미사일과 폭탄을 장착한 리퍼(Reaper) 지난 7월 22일(토) 뉴질랜드 ‘민간항공국(Civil Aviation Authority, CAA)’은 새로운 ‘드… 더보기

부동산 시장에 일고 있는 물결효과

댓글 1 | 조회 5,556 | 2015.08.12
부동산 시장에서 물결효과(ripple effect)는 어떤 한 지역의 부동산 가격 오르내림세가 나라 전체 부동산 가격에 파급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 … 더보기

한 여고생의 발언에 담긴 교육 현실

댓글 0 | 조회 5,493 | 2015.07.29
변변한 교과서가 없고 참고서도 풍부하지 않을뿐더러 내용도 불충분한 뉴질랜드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할 수 밖에 없다. 교사가 성실하게 지도하지 않는다면 … 더보기

마오리 개는 왜 사라졌을까?

댓글 0 | 조회 6,430 | 2015.07.29
▲ 웰링톤 박물관에 남은 쿠리 박제 뉴질랜드 국립박물관인 웰링톤의 ‘테 파파(Te Papa)’에 가면 지금은 볼 수 없는 개 한 마리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고 다른… 더보기

뉴질랜드 달러화의 추락

댓글 0 | 조회 8,541 | 2015.07.15
많은 뉴질랜드인들은 지난 4월 7일 뉴질랜드 달러화가 사상 처음으로 호주 달러화와 동등한 가치가 될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그 전날 99.78호주센트에 마감된 환… 더보기

인공위성 품은 로켓 발사의 꿈

댓글 0 | 조회 5,352 | 2015.07.14
▲ ‘Electron’ 로켓 앞에 선 피터 벡(Peter Beck) 대표 지난 7월 초에 국내 각 언론에는 크라이스트처치 외곽의 한 목장지대에 인공위성을 탑재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