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 트럼프 같은 이들

뉴질랜드의 트럼프 같은 이들

0 개 7,645 JJW

 

ca9bae1d5fdab840739774f758babba0_1460611434_2358.JPG

 

미국 공화당 대선주자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지난해 7월 경선 후보로 나서면서 거친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미국의 대표들이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무슬림의 미국 입국을 전면 금지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해 무슬림들의 공분을 샀고, “멕시코는 문제 많은 사람들을 보내고 있다. 남쪽 국경에 거대한 벽을 쌓겠다”고 말해 대선후보답지 않다는 여론의 뭇매를 받았다. 트럼프 돌풍이 뉴질랜드 정가에도 불어서인지, 아니면 이민자가 너무 많이 들어와 이제 이민 빗장을 닫을 때가 다가왔는지 몰라도 이민에 비판적인 발언들이 뉴질랜드 정가에서 흘러 나오고 있다.

 

노동당 리틀 대표 “요리사 이민 제한해야”

 

지난해 오클랜드 집값 급등의 원인으로 중국인 구매자들을 겨냥한 발언을 해서 인종차별적이라는 비난을 샀던 앤드류 리틀(Andrew Little) 노동당 대표가 이번에는 중국과 인도 출신 요리사들이 대거 유입되고 있다며 이들과 같은 반(半)숙련 기술이민을 제한해야 한다고 말해 이민자들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다시 드러냈다. 

 

리틀 대표는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반숙련 이민자들이 너무 많이 들어와 특히 오클랜드 고용시장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정부는 상황이 개선될 때까지 이민자 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인 요리사들의 뉴질랜드 취업을 허용한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조항을 언급하며 “그러나 현실적으로 너무 많은 중국인 및 인도인 요리사들이 들어와 있어 요리사를 이민자에 의존하기 보다는 국내에서 확보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2008년 노동당 정부 시절 체결된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매년 최대 200명의 중국인 요리사가 뉴질랜드에서 일할 수 있도록 허용됐으나 200명이 모두 채워지는데 2008년부터 2011년 9월까지 3년이 걸렸다.

 

이에 대해 존 키(John Key) 총리는 “리틀 대표는 우리가 어디서 왔는지 모르는 것 같다”며“뉴질랜드는 이민에 기초한 국가이며 다문화 사회이다”라고 강조했다.

 

요리 과정 교육기관을 수료한 기술이민 영주권 신청은 높은 영어 조건 때문에 영주권 취득이 어려워진 한국인을 비롯한 많은 아시안 이민자들에게 인기있는 과정이 된 건 주지의 사실이다.

 

이민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년간 88개국에서 9,996명이 요리사로 워크비자를 받아 그 가운데 38.9%인 3,885명이 영주권을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이 2,378명의 워크비자와 1,032명의 영주권으로 가장 많고 인도인이 1,639명의 워크비자와 748명의 영주권으로 뒤를 이었다.

 

3위를 차지한 한국인은 1,060명이 요리사로 워크비자를 받고 일해 448명이 영주권을 취득하여 42.3%의 취득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일부 식당 주인들은 뉴질랜드 안에서 마땅한 요리사를 구하지 못해 여전히 이민자를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운트 마웅가누이(Mt Maunganui)에서 인도 식당을 운영하는 자틴더지트 싱 그레왈(Jatinderjit Singh Grewal)은 “지역에 사는 요리사를 채용하고 싶지만 적당한 후보자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피터스 대표 “요리사 이민 관련 사기 횡행”

 

여론의 질타를 받은 리틀 대표가 지지표 이탈을 의식해서인지 발언 다음날 “다양한 인종의 요리사는 국가에 매우 중요하고 나는 이 문제에 대해 정책으로 손대지 않을 것”이라며 입장을 바꾸자, 이번엔 반이민의 대명사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뉴질랜드퍼스트(New Zealand First)당 대표가 트집을 잡기 시작했다.

 

피터스 대표는 오클랜드 산드링햄(Sandringham) 로드와 도미니온(Dominion) 로드에 있는 식당들이 모두 순수한 식당들이라고 할 수 없고, 많은 식당들이 이민 사기의 정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민자들이 상당한 뒷돈을 주고 불법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피터스 대표는 “어떻게 그 거리의 모든 식당들이 영업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하며 “그들이 이민자들에게 많은 돈을 요구하는 뒷거래를 하지 않는 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못박았다.

 

그는 이는 결국 잘못된 것이며 뉴질랜드의 국가 수준을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피터스 대표의 의혹 제기에 대해 이 지역 식당 주인들이 들고 일어섰다.

 

산드링햄 로드에서 스리랑카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라마니 알위스(Ramani Alwis)는 “이쪽에서 식당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싸잡아 이민 사기꾼이라고 못박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라며 “우리는 식당을 유지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법을 준수하는 사람들”이라고 맞받았다.

 

도미니온 로드에서 대만 식당을 운영하는 클라우디아 쳉(Claudia Cheng)은 “이민 사기는 도미니온 로드나 산드링햄 로드에서뿐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다”며 “피터스 대표가 이 두 지역만 걸고 나온 것은 불공평하다”고 지적했다.

 

산티야(Santhiya) 레스토랑의 유게스와리 수브라마니암(Yougeswari Subramaniam) 주인은 “나는 도미니온 로드에서 10년 이상 식당을 운영해 오고 있지만 이민 사기를 저지른 적이 없다고 피터스 대표에 보장한다”고 말했다.

 

‘도미니온 로드 비즈니스 협회’의 개리 홈즈(Gary Holmes) 회장은 “우리는 많은 자영업자들을 개인적으로 알고 지내는데, 그들은 모두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라고 전했다.

 

비즈니스혁신고용부 대변인은 이민부 조사관들이 요식업계를 주시하고 있지만 피터스 대표가 언급한 지역에서 특이한 움직임이 있다는 정보는 없으며 이민부는 언제든 제보가 들어오는 즉시 조사를 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질랜드의 트럼프는 누구?

 

이번 일로 내년 총선에서 노동당 표가 상당히 깎일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졌다.

 

지난해 중국인들을 오클랜드 집값 급등의 원흉으로 지목해 홍역을 치렀던 리틀 대표가 또다시 중국인 및 인도인 요리사들을 들고 나와 반이민 정치인으로 낙인찍힌 때문이다.

 

한편 피터스 대표는 트럼프 대선후보와 가장 닮은 정치인으로 새삼 부각되고 있다.

 

국민당의 데이비드 베넷(David Bennett) 의원은 “피터스 대표는 뉴질랜드 정치계의 도널드 트럼프이다. 왜냐하면 그는 뉴질랜드 연안에 벽을 쌓고 싶어하기 때문이다”며 피터스 대표의 반이민 노선을 꼬집었다.

 

베넷 의원은 그러나 피터스 대표는 트럼프보다 높은 벽을 쌓지는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당의 크리스 핀라이슨(Chris Finlayson) 의원도 피터스 대표를 뉴질랜드의 도널드 트럼프라고 얘기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그는 그 이유에 대해 피터스 대표가 저질스런 내용의 신문 헤드라인 주인공이 되고 싶어 안달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와 비슷하다는 타이틀이 모욕이라고 인식되는 상황에서 리틀 대표를 포함한 노동당 필 타이포드(Phil Twyford), 국민당 크리스 비숍(Chris Bishop) 등 몇몇 의원들이 뉴질랜드 정치계의 트럼프로 거론되고 있지만 피터스 대표를 따라올 사람이 없다는 점에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다.

 

피터스 대표가 트럼프보다 정치 경력이 휠씬 많은 점을 고려하여 트럼프가 미국의 피터스라는 표현이 더욱 정확하다는 지적도 있다.

 

아시안 이민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뉴질랜드 정치권에서 아시안 이민에 대해 부정적인 발언이 자주 나와서인지 몰라도 아시안 이민자들에 대한 뉴질랜드인들의 태도가 냉각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시아뉴질랜드재단이 지난해 1,001명의 뉴질랜드인들을 조사해 지난달 발표한 ‘2015 뉴질랜드인의 아시아인과 아시아 국가에 대한 인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뉴질랜드인들의 대 아시아 관계에 대한 시각은 지난번 조사 때보다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측면이 줄었고 아시아인에 대한 호감도도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아시아인에 대한 인식조사는 지난 1997년부터 매년 시행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중국인과 인도인에 대한 따뜻한 감정은 100점 만점으로 했을 때 각각 64점으로 이전 조사 때보다 모두 4점씩 떨어졌다.

 

동남아 국가 사람들에 대한 좋은 감정도 65점으로 5점이나 떨어졌다.

 

그러나 한국인에 대한 감정은 66점으로 2점밖에 떨어지지 않았다. 

 

6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일본인에 이어 두 번째 높은 점수였다. 일본인도 감소 폭은 4점으로 중국인이나 인도인과 같았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아시아인이나 아시아 문화와 어느 정도 관련을 맺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조사 대상자의 51%로 지난 1998년 30%와 비교할 때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인들의 절반 정도는 아시아인들의 뉴질랜드 투자가 너무 많이 이루어지면서 뉴질랜드 집값 상승을 부채질했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그리고 뉴질랜드인 4명 중 1명은 아시아인들이 뉴질랜드에서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인식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인에 대한 호감도가 떨어진 것은 오클랜드 부동산 시장에 아시아 투자자들이 집값을 올렸다는 인식이 널리 퍼진 데다 언론보도도 다소 부정적이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에드위나 피오(Edwina Pio) AUT대학 교수는 뉴질랜드 매체들이 아시아인에 대해 보도할 때 폭넓게 접근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오클랜드대학의 매닝 입(Manying Ip) 아시아학 교수는 뉴질랜드인들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성공을 거두려면 아시아를 이해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신의 성공에 희생양이 된 클라크 전 총리

댓글 0 | 조회 6,786 | 2016.10.27
뉴질랜드에 사는 한국 교민들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후임으로 헬렌 클라크(Helen Clark) 전 뉴질랜드 총리가 선출되기를 바랬을 것이다. 1999년부터 9… 더보기

부자동네 가난한 동네

댓글 0 | 조회 11,158 | 2016.10.26
▲ NZ 최고 부자 동네인 웰링턴 전경​2013년 센서스 기준으로 67개 지역으로 세분화된 뉴질랜드 전국의 행정구역 중 가구당 수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웰링턴, … 더보기

올 여름, 벼룩들이 몰려온다

댓글 1 | 조회 10,746 | 2016.10.13
겨울이 거의 끝나가던 지난 9월말, 국내 각 언론들에는 따뜻했던 지난 겨울과 예년보다 더 길 것으로 예보된 올해의 여름 날씨 때문에 각종 해충이 극성을 부릴 것이… 더보기

교육계에 부는 개혁 바람

댓글 0 | 조회 6,465 | 2016.10.12
뉴질랜드 교육계가 30년 만에 가장 대폭의 개혁을 맞이하고 있다. 일부 개편은 벌써부터 교육 일선에서 반발하고 있다. 중요한 변화가 무엇인지 알아 보았다.취학교육… 더보기

평균 집값 100만달러 시대의 명암

댓글 0 | 조회 10,552 | 2016.09.28
이제 오클랜드에서 웬만한 주택을 구입하려면 100만달러의 거금을 주어야 한다. 오클랜드의 평균 주택 가격이 심리적 분기점인 100만달러를 마침내 넘어섰다. 오클랜… 더보기

사기 결혼의 덫에 걸렸던 키위 남성

댓글 0 | 조회 10,076 | 2016.09.28
인생의 새로운 동반자를 찾던 중년의 한 뉴질랜드 남성이 ‘결혼사기(marriage scam)’에 걸려들었다가 우여곡절 끝에 간신히 사기를 당했던 돈을 돌려 받게 … 더보기

새로운 도시로 오클랜드 탈바꿈되나?

댓글 0 | 조회 11,504 | 2016.09.15
오클랜드 유니태리 플랜(Auckland unitary plan, 오클랜드 통합 계획)이 지난달 오클랜드 시의회를 통과해 오는 16일까지 이의신청을 받은 후 곧 시… 더보기

실종 한 달 만에 구조된 등반객

댓글 0 | 조회 6,736 | 2016.09.14
▲ 출동한 구조 헬리콥 ​8월 24일 국내 언론들은 체코 출신의 한 여성이 남섬 산악지대의 외딴 산장에 머물다가 한 달 만에 극적으로 구조됐다는 기사를 일제히 실… 더보기

42년 만에 기록된 높은 인구증가율

댓글 0 | 조회 10,546 | 2016.08.25
지난 6월 30일 기준으로 뉴질랜드 국내 총인구가 469만 명을 넘었다는 통계국 자료가 8월 중순에 발표됐다. 이 중 여성은 238만 명인데 비해 남성은 231만… 더보기

주식처럼 사고 파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9,745 | 2016.08.24
오클랜드 주택시장이 점점 주식시장과 비슷해지고 있다. 많은 투자자들이 주택을 마치 주식처럼 빨리 사고 팔아 치우고 있다. 비워 있는 채로 매매 가격만 오르면서 주… 더보기

NZ의 억만장자들은 누군가?

댓글 0 | 조회 12,568 | 2016.08.11
최근 국내 경제 전문지인 ‘The National Business Review(NBR)’가 ‘2016년도 뉴질랜드 부자 리스트(rich list)’를 발표했다. … 더보기

뉴질랜드 대졸 2년 후의 자화상

댓글 0 | 조회 10,090 | 2016.08.10
대학 교육이 졸업자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가장 종합적인 종단적(縱斷的) 연구의 1차 보고서가 지난달 발표됐다. 대학 졸업 후 2년이 지난 사람들의… 더보기

[부동산 플러스] 2016년4월 이후 처음으로 전국 주택 가격 하락

댓글 0 | 조회 6,720 | 2016.08.10
■ 오클랜드 수요둔화 전국적으로 중요한 변화지난 7월부터 전국 주택 평균 요청가격이 3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되었지만 수요는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최근 뉴질랜드… 더보기

소수만의 낙원

댓글 0 | 조회 7,844 | 2016.07.28
뉴질랜드의 국부는 증가했지만 상위 10%가 아니라면 자신의 부가 진정 늘어났다고 느끼지 못할 것이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몰아 닥친 부동산 광풍은 빈부격차를 … 더보기

왜 사람들이 오클랜드를 피할까?

댓글 0 | 조회 11,866 | 2016.07.27
최근 국내의 한 언론에, “왜 사람들이 오클랜드를 피할까?(Why are people shunning Auckland?)”라는 다소 자극적인 제목과 함께 오클랜드… 더보기

오클랜드는 공사중

댓글 0 | 조회 8,021 | 2016.07.14
요즘 오클랜드 어디를 가든지 건물을 새로 짓거나 도로 공사를 하는 모습을 흔히 목격한다. 정부와 오클랜드카운슬이 체결한 오클랜드 주택협정의 기한이 임박하면서 주택… 더보기

돈 빌려서라도 내 차 바꾼다

댓글 0 | 조회 8,628 | 2016.07.13
뉴질랜드인들 중 1/3 가량은, 자신이 몰고 다니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른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당하고 있다고 느끼며, 돈을 빌려서라도 차를 바꾸는 사람도 덩달아… 더보기

학교 등급 폐지될 듯

댓글 0 | 조회 9,139 | 2016.06.23
‘데실(Decile)’로 잘 알려진 학교 등급 제도가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학교 지원금 배정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는 교육부가 지난달 고문단을 … 더보기

범죄를 당할 위험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댓글 0 | 조회 12,101 | 2016.06.22
▲ 크라이스트처치 경찰청의 상황실 모니터​최근 ‘정보공개법(Official Information Act)’에 따라 공개된 정부의 관련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보다 높은 수익의 투자

댓글 0 | 조회 12,607 | 2016.06.09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기가 바닥을 보이던 지난 2009년 3월 10만달러의 현금을 오클랜드 부동산과 주식에 각각 투자했다고 가정하면 7년이 지난 지금쯤 얼마나 만질… 더보기

겨울은 ‘불조심’의 계절

댓글 0 | 조회 6,484 | 2016.06.08
매일 뉴스를 접하다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게 교통사고, 그리고 또 하나가 화재 소식이다. 특히 불기를 가까이 하는 겨울이면 화재 발생이 더 많아져 소방 당국… 더보기

‘학비대출금 난민’ 등장하나?

댓글 1 | 조회 9,318 | 2016.05.26
지난 1월 18일(월) 오클랜드 공항에서는 출국 수속을 밟던 쿡 아일랜즈(Cook Islands) 출신의 한 40대 남성이 경찰에 체포됐다. 체포된 남성의 이름은… 더보기

이민자들의 팍팍한 삶

댓글 0 | 조회 11,141 | 2016.05.25
통계청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연간 순 이민자 수가 6만7,619명을 기록하며 20개월 연속 최고치를 갈아 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자 유입이 지속되면서 이민자들… 더보기

주택 붐, 도대체 언제까지 계속될까?

댓글 3 | 조회 10,549 | 2016.05.12
정부 당국의 부동산 투기 대책이 시행된 지난해 10월 이후 한동안 잠잠하던 오클랜드 주택시장이 최근 들어 다시 들썩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 동안 … 더보기

살짝 스치기만 해도 아픈 ‘대상포진’

댓글 0 | 조회 11,812 | 2016.05.11
최근 뉴질랜드 신문에 ‘shingles’라는 단어가 자주 눈에 띈다. 이는 이른바 ‘대상포진(帶狀疱疹)’이라는 질병을 의미하는데, 대상포진은 특히 중년의 나이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