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 뜨겁게 달구는 교복 논쟁

추운 겨울 뜨겁게 달구는 교복 논쟁

0 개 6,033 서현

아침이면 집 정원은 물론 공원 잔디밭에도 하얗게 서리가 내려 앉은 가운데 하얀 입김을 불며 등교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별로 낯설지 않게 느껴질 만큼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었다.

겨울이 한창 깊어지는 이 때 한 여고생이 학교를 상대로 시작한 온라인 ‘청원(petition)’이 신문과 방송을 비롯한 각 언론에 보도되면서 관련 기사에는 물론 SNS와 같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의견과 함께 찬반 논쟁이 뜨겁다. 

청원 내용은 다름 아닌 학교 정규 교복에 이른바 ‘퍼퍼 재킷(puffer jacket)’을 포함시켜 달라는 것.
흔히 교민들도 겨울이면 외출복으로 많이 걸치는 두툼하게 부풀린 형태의 이 옷은 한국에서는 ‘패딩 점퍼’로 불리는데, 실제로 이미 많은 학생들이 추운 아침이면 입고 등교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학교에서는 이를 허용했지만 많은 학교들은 여전히 이를 금지하고 학교 고유의 정해진 재킷만을 입도록 규정하고 있다.
551.jpg
▲ 퍼퍼 재킷(puffer jacket)을 걸친 제니퍼 거쓰리(Jennifer Guthrie)

<기존 교복보다 퍼퍼 재킷이 경제적이라는 학생 입장>
문제를 제기한 주인공은 남섬의 최북단에 위치한 작은 도시인 ‘모투에카(Motueka)’에 있는 ‘모투에카 하이스쿨(Motueka High School)’ Y11에 재학 중인 금년 나이 15세의 제니퍼 거쓰리(Jennifer Guthrie) 양.

모투에카는 타스만해 서쪽에 자리 잡은 타스만 지방의 중심도시로 그보다 조금 남쪽의 말보로 지방의 중심도시인 넬슨에서도 1시간 여 북쪽으로 더 가야만 하는 인구 만 명이 채 안 되는 작은 도시이지만 여름이면 휴가객으로 크게 붐비는 곳이다.

또한 남녀공학으로 알려진 모투에카 하이스쿨에는 현재 700명 정도의 학생이 소수의 유학생과 함께 재학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쓰리 양은 작년에 이미 ‘학생회(student council)’에 이 문제를 제기했으며 이후 지난 6월 10일부터 온라인을 이용해 학교에서 퍼퍼 재킷을 정식 교복으로 허용해 줄 것을 요구하는 청원을 시작했는데, 재학생들을 비롯해 3일 만에 500명 이상으로부터 지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녀는 청원을 하게 된 이유로, 학교에서 정한 재킷이 ‘형편 없이 만들어졌고 값도 비싼(poorly made and expensive)’ 데다가 보온도 잘 안 된다면서, 반면 퍼퍼 재킷이 훨씬 더 따뜻하고 경제적이라는 이유를 대면서 학생들의 선택권이 더 넓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추운 날이면 많은 학생들이 이미 이 옷을 입고 등교하는 경우가 많은데 학교 측에서 이를 압수하기도 한다고 전하면서, 특히 점심시간이면 교실 난방을 끄기 때문에 일부 학생들은 뜨거운 물이 담긴 보온용기(hot water bottles)를 가지고 등교하기도 한다고 주장했다.
 
551 2.jpg
▲ 유학생들과 함께한 스쿳 하이네스(Scoot Haines) 교장

<15세 여자아이의 희망사항일 뿐이라는 학교 교장>
한편 이 같은 거쓰리 양의 행동에 대해 모투에카 하이스쿨의 스쿳 하이네스(Scoot Haines) 교장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이번 일은 ‘그냥 퍼퍼 재킷이 입고 싶은 15살짜리 여자아이의 행동일 뿐이다(this is just a fifteen-year-old girl wanting to wear a puffer jacket)’고 한마디로 일축했다.

또한 교장은, 청원과 관계된 그녀의 행동은 학교 측을 대표해서 하는 공식적 행동도 아닐 뿐만 아니라 학교 측을 놀라게 만들었다고 하면서 불쾌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학생들은 이미 규정에서 정해진 4가지 재킷과 저지(jerseys) 중에서 골라 입을 수 있다면서, 학교 측은 지난 2012년에 교복과 관련된 조사도 이미 했었으며 모두 856건의 의견을 접수한 바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 이후 하이네스 교장이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학부모들에게 공지한 바에 따르면, 당시 의견은 학생 572명, 학부모 195명 그리고 예비 학부모 32명과 57명의 직원들로부터 접수됐으며, 열거된 교복 관련 물품 중에서 지지하는 것을 고르도록 하는 방법으로 진행됐고 만약 또 다른 의견이 있다면 이를 제안할 수도 있었다.

551 1.jpg
▲ 수업 중인 모투에카 하이스쿨 학생들
      
그 결과 430명의 응답자가 기존의 교복과 함께 방수가 되는 ‘캔터베리 스타일(Canterbury style)’의 학교 재킷을 지지했으며, 326명이 ‘소프트셸(softshel)’ 재킷을, 그리고 139명이 ‘폴라 플리스(polar fleece)’ 재킷을 선호한 반면 단지 12%에 해당하는 82명만이 ‘후디(hoodie)’와 같은 또 다른 선택을 추가하길 바랬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는 학교 구성원 대다수가 현재까지 지켜지는 교복 규정을 원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하면서, 거쓰리 학생의 의견과 이에 대한 권리를 존중하기는 하지만 언론을 통해 공론화하기 전에 학교 측에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절차에 따라 논의하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을 나타냈다.

한편 이번 문제가 크게 이슈화되자 ‘뉴질랜드교장협의회(president of the NZ Principals’Federation, NZPF)’는 하이네스 교장을 지지하고 나섰다.

협회의 데니스 토레이(Denise Torrey) 회장은, 교복 문제를 포함해 학교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매년마다 컨설팅을 할 수도 없으며 교복은 변덕스러운 어린아이들 옷처럼 유행에 따라 쉽게 바꿀 수 있는 게 아니라면서, 또 만약 학생들이 원하는 게 있다면 학교 이사회를 통해서 정식으로 처리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거쓰리 양의 아버지는, 이미 많은 학생들이 어떤 형태로든지 이 옷을 입고 있으며 다수 학생들의 생각이 같을 것이라면서, 남섬의 상당수 학교들이 이를 허용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자기 딸의 행동이 자랑스럽다고 전했다. 
 
<언론사 댓글 통해 쏟아진 다양한 의견>
한편 이번 기사가 보도되자마자 인터넷 상에서는 언론사의 댓글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과 함께 찬반 양론이 뜨겁게 나오는 가운데 언론사들에서는 현재 각 학교의 관련 규정이 학교 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취재한 후속기사를 내보냈다.

이 기사들에 따르면 웰링톤 보이스 하이스쿨의 경우 3년 전부터 교복규정에 ‘단정하고 따듯한(tidy and warm)’이라는 전제를 달아 이미 이 같은 재킷 착용을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학교의 로저 모세(Roger Moses) 교장은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를 구입하거나 개인적으로 구입한 재킷을 입을 수 있다면서, 그러나 교복 규정은 각 학교별로 결정될 문제라고 전하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크라이스트처치에서는 링컨(Lincoln) 하이스쿨이 이 같은 옷을 허용하고 있는 반면 남섬에서 가장 학생수가 많은 번사이드(Burnside) 하이스쿨의 경우 이를 금지하고 있는데, 이 학교의 필 홀스타인(Phil Holstein) 교장은 교복 재킷은 학교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의미도 있다고 지적했다.

551 3.jpg
                   ▲ 한 학교의 블레이저 교복 상의  ▲ 한 학교의 폴라플리스 교복 상의

현재 많은 고등학교는 물론 초등학교와 중학교들이 ‘폴라 플리스(polar fleece)’ 재킷과 학교 ‘블레이저(blazer)’를 교복 상의로 채용하고 있는데, 일부 학교에서는 학교의 교복 규정을 어겼을 경우 이를 압수했다가 학부모나 보호자에게 반환한다.

그러나 랑기오라(Rangiora) 하이스쿨 같은 경우에는 학교 규정을 어긴 다른 물건들과 마찬가지로 의류 역시 일단 압수했다가 다음 번 사복착용일(mufti day), 또는 학기 끝나는 날 중 먼저 도래하는 날에 돌려주기도 하는 등 후속 처리도 각 학교별로 모두 다른 게 현실이다.

한편 또 다른 남섬 지역 언론에 따르면, 와이미아 중학교(Waimea Intermediate)와 사우스 오타고(South Otago) 하이스쿨에서는 겨울철에는 평이한 스타일의 퍼퍼 재킷 착용을 허용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현재 인터넷에 올라오는 의견들 역시 아주 다양하고 찬반 양론도 제 각각인데, 이는 거주지역이나 연령대, 성별, 그리고 학생인 경우에는 자신이 재학 중인 학교별로 상이한 교복 규정에 따라 각자의 입장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학교에서 입는 옷인 만큼 교육적 차원에서 엄격하게 규정을 지켜야 한다는 보수적 의견도 많이 개진된 가운데 이번 일을 한 마디로 ‘옷에만 신경 쓰는 철 없는 어린아이의 돌출행동’으로 간주하는 성인들도 많았다.

반면 겨울철 방한 등 실용적인 면에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기를 나타내는 패션의 한 방편으로서, 나아가 유행 감각에도 뒤떨어지는 기존의 교복 규정이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도 실제 교복을 착용하는 학생들을 비롯한 주로 젊은 세대로부터 많이 제기되었다.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이번 일이 의외로 큰 전국적 관심을 끌면서 향후 각 학교 현장에서는, 단순히 퍼퍼 재킷의 허용 여부를 떠나 교복 규정에 대한 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시대 변화와 세대별로 달라진 가치관에 따른 의견 차이를 조율하려는 노력도 함께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남섬지국장 서 현>

정부의 근시안적인 키위세이버 정책

댓글 0 | 조회 7,065 | 2015.06.24
오는 7월이면 키위세이버(KiwiSaver)가 시행된지 8주년을 맞는다. 뉴질랜드 국민의 저조한 가계 저축을 높여 노후에 대비하고 가계 부문의 높은 부동산 자산 … 더보기
Now

현재 추운 겨울 뜨겁게 달구는 교복 논쟁

댓글 0 | 조회 6,034 | 2015.06.23
아침이면 집 정원은 물론 공원 잔디밭에도 하얗게 서리가 내려 앉은 가운데 하얀 입김을 불며 등교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별로 낯설지 않게 느껴질 만큼 본격적인 겨울로…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새로운 부동산 세금

댓글 0 | 조회 8,053 | 2015.06.10
지난달 17일 존 키(John Key) 총리는 주택 구입 후 2년 이내에 매각한 투자 주택에 대해 오는 10월부터 새로운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키 총… 더보기

앉지 말고 서서 일하자

댓글 0 | 조회 7,166 | 2015.06.10
최근 뉴질랜드의 한 신문에서 ‘서서 일하기’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해당 신문은 특집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빌리는 방식으로 직장인들이 앉아서 일하는 지금… 더보기

‘옥션’으로 팔 때 집값 높다

댓글 0 | 조회 6,132 | 2015.05.27
주택 시장의 열기가 식을 줄 모르면서 주택 매매도 계속해서 활기를 띠고 있다. 집을 팔려고 내놓는 집주인들은 누구나 더욱 높은 가격을 받고 싶어할 것이다. 오클랜… 더보기

QS 평가로 본 NZ 대학의 학과별 위상

댓글 0 | 조회 9,551 | 2015.05.27
지난 4월말 영국의 대학평가 전문기관인 ‘쿼커렐리시먼즈(Qucquarelli Symonds, QS)’가 ‘QS 세계 대학 36개 전공별 순위(QS World Un… 더보기

어려워진 NCEA를 통과하려면

댓글 1 | 조회 5,258 | 2015.05.13
지난호 포커스에서는 고등학교 NCEA, 특히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요구되는 UE(University Entrance)가 어려워져 많은 학생들이 본인이 원하는 대학… 더보기

사이버 사기꾼의 e메일 “날 잡아봐라!”

댓글 0 | 조회 3,267 | 2015.05.13
▲ 피해자가 전송 받았던 강아지 사진 <사이버 사기 피해금액이 연간 4억불?> 오늘날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컴퓨터를 포함한 인터넷으로 사회 구석… 더보기

대학에 낙방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댓글 1 | 조회 4,468 | 2015.04.30
지난해 고등학교 NCEA 합격률은 레벨 1, 2, 3 모든 과정에서 2013년에 비해 향상됐다. 그러나 유독 UE(University Entrance)는 급격하게… 더보기

Smoking-Free 2025, 목표대로 이뤄질까?

댓글 0 | 조회 5,974 | 2015.04.29
▲ plain packaging 담뱃갑 뉴질랜드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는 나라 안에서 담배를 완전히 추방하겠다는 야심에 찬 목표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 제안은… 더보기

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Ⅱ)

댓글 0 | 조회 2,970 | 2015.04.15
▲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열린 컬쳐 갈로아 모습 지난 3월 10일 ‘아시아 뉴질랜드재단(Asia NZ Foundation)’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으로부터 … 더보기

총체적 난국에 빠진 오클랜드 市政

댓글 0 | 조회 4,473 | 2015.04.14
오클랜드 카운슬과 그 산하기관들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엄청난 빚에 허덕이면서 불필요한 곳에 돈을 펑펑 지출하는가 하면 시장과 시의원들이… 더보기

부모 도움 없인 내 집 마련 어렵다

댓글 0 | 조회 5,451 | 2015.03.25
천정부지로 오른 집값과 대출 규제 정책으로 젊은이들의 내 집 마련이 하늘의 별따기만큼이나 어려워졌다. 이제 부모의 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고서는 주택 구입이 힘들어… 더보기

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

댓글 1 | 조회 5,404 | 2015.03.24
지난 3월 10일에 ‘아시아뉴질랜드재단(Asia NZ Foundation)’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으로부터 뉴질랜드로 유입된 이민자들의 시대별 변화 추세… 더보기

외국인 자가운전 문제, 해법은 없나?

댓글 0 | 조회 5,680 | 2015.03.11
최근 들어 국내 언론에 하루도 빠짐 없이 거론되는 기사가 있다. 바로 외국 출신 관광객을 포함한 외국인 자가운전자들과 관련된 뉴스들인데, 그 중에는 대형사고로 이… 더보기

지진에 뒤흔들린 보험제도

댓글 0 | 조회 3,906 | 2015.03.10
지난달 22일은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리히터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한지 4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185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가고 수 천 명의 부상자를 냈던 크라… 더보기

시중 은행들의 전례없는 모기지 전쟁

댓글 0 | 조회 7,376 | 2015.02.25
시중 은행들이 앞다투어 모기지 금리를 내리고 전례없는 10년 고정 모기지 상품까지 내놓았다.1,800억달러 모기지 시장을 선점하고 더 많은 고객들을 확보하기 위해… 더보기

겨울을 후끈하게…. U20 월드컵 열린다

댓글 0 | 조회 5,371 | 2015.02.25
뉴질랜드 국민들의 럭비를 향한 뜨거운 열정은 그 실력만큼이나 세계인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번 겨울만큼은 축구 열기도 그에 못지 않게 뜨거워질 것으로… 더보기

허울 뿐인 ‘무료’ 공교육

댓글 1 | 조회 6,670 | 2015.02.11
개학하고 자녀들이 새로운 학년에 적응하느라 분주한 요즘이다. 뉴질랜드는 고등학교까지 ‘무료’ 공교육 제도를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기부금과 수업료, 교복 및… 더보기

건국의 뼈대이자 뜨거운 감자 ‘와이탕기 조약’

댓글 0 | 조회 5,661 | 2015.02.10
2월 6일 - 뉴질랜드에서 이 날은 한국으로 치자면 광복절만큼이나 의미가 깊은 날이다. 그것은 이 나라 건국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뼈대가 된 이른바 ‘와이탕기 조… 더보기

종잣돈 효과적으로 굴리기

댓글 0 | 조회 7,002 | 2015.01.29
새해가 되면 누구나 경제 형편이 좀더 나아지길 기대하게 된다. 그러나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치솟은 집값에 집은 구입할 엄두를 못내고 … 더보기

'세계 대통령’ 꿈꾸는 헬렌 클락

댓글 0 | 조회 6,097 | 2015.01.28
뉴질랜드 몇몇 언론들은 새해 들어서자마자 헬렌 클락 전 뉴질랜드 총리가, 이른바 ‘세계의 대통령’ 또는 ‘세계의 CEO’라고 불리는 ‘국제연합(United Nat… 더보기

을미년(乙未年) 새해 NZ 경제

댓글 0 | 조회 3,283 | 2015.01.14
러시아는 심각한 경제위기를 맞고 있고 유로존에 대한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다. 일본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ㆍ장기 경기침체)으로부터 벗어나려고 안간힘을 … 더보기

새로운 ‘Non-Emergency’ 비상전화 등장하나?

댓글 0 | 조회 4,852 | 2015.01.13
누구나 아는 내용이지만 뉴질랜드에서는 범죄나 화재, 위급환자 발생 등 긴급상황이 벌어지면 가장 먼저 할 일이 전화번호 ‘111’을 눌러 관련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1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3,931 | 2014.12.24
■ 불붙은 국기 교체 논쟁 존 키(John Key) 총리는 1월 29일 국기 교체 문제를 총선에서 국민투표에 부치는 방안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혀 국기 교체 논쟁에… 더보기